DOI QR코드

DOI QR Code

중국 소비자의 틱톡 라이브 커머스 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계획적 행동이론 해체모델(DTPB)을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Chinese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on TikTok Live Commerce: Applying the Decomposed Theory of Planned Behavior(DTPB)

  • 장적 (동국대학교(서울) 미디어커뮤니게이션학과) ;
  • 한이신 (동국대학교(서울) 미디어커뮤니게이션학과) ;
  • 정용국 (동국대학교(서울) 미디어커뮤니게이션학과)
  • 투고 : 2022.06.30
  • 심사 : 2022.09.14
  • 발행 : 2022.10.28

초록

본 연구는 계획된 행동이론 해체모델을 적용하여 틱톡 라이브 커머스 이용자의 구매 행동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구매 의도의 선행 요인인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에 영향을 미치는 신념 구조를 라이브 커머스의 특성에 맞춰 다차원으로 구성하였다. 아직 초기 단계에 있는 한국의 라이브 커머스에 비해 성숙기에 다다른 중국의 라이브 커머스 환경을 고려하여, 중국 내 틱톡(더우인) 라이브 커머스 구매 경험이 있는 중국 이용자 512명에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틱톡 라이브 커머스 이용자들의 태도, 주관적 규범과 지각된 행동적 통제는 모두 구매 의도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태도에 미치는 신념 요인의 영향은 지각된 유희성, 지각된 유용성, 상호작용성 순으로 나타났으며 지각된 용이성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친구는 주관적 규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자기효능감은 지각된 행동 통제에 대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만 촉진 조건은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urchase intention of TikTok Live Commerce users by applying the Decomposed Theory of Planned Behavior(DTPB).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512 users with experience in purchasing TikTok Live Commerce in Chin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it was found that attitudes, subjective norm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ll had effect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TikTok live commerce. Second, it was found that perceived usefulness, interactivity, and perceived enjoy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attitudes, but perceived ease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The third,friend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subjective norms. It was found that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behavior control, but the facilitating condition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perceived behavior control.

키워드

참고문헌

  1. 장정재, "코로나 19이후 중국 라이브 커머스의 부상과 시사점," 부산발전포럼, pp.66-79, 2021.
  2. 주용완, "국내 라이브 커머스 플랫폼 시장 진단," 2021 KISA REPORT, 2021.
  3. https://www.iimedia.cn
  4. 허민혜, 조상래, "중국 라이브 커머스 산업의 발전과정과 현황," 미디어 이슈 & 트렌드, 제37권, pp.25-36, 2020.
  5. 전수성, 장형유, "성별에 따른 태블릿 PC의 사용속성이 만족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제14권, 제1호, pp.69-87, 2014.
  6. J. F. Engel, R. D. Blackwell, and P. W. Miniard, Consumer Behavior(8th Ed), The Dryden Press., 1995.
  7. 온가신, 이혜미, "라이브 커머스는 어떻게 소비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나? 플랫폼 및 BJ 정보원천 특성이 중국 소비자들의 라이브 커머스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성별의 조절효과," e-비즈니스 연구, 제21권, 제5호, pp.215-234, 2020.
  8. 최규환, "관광교육 서비스 평가, 만족, 행동의도에 관한 연구," 소비문화연구, 제8권, 제1호, pp.135-152, 2005.
  9. V. G. Morwitz and D. Schmittlein, "Using segmentation to improve sales forecasts based on purchase intent: Which 'intenders' actually buy?,"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29, No.4, pp.391-405, 1992.
  10. M. Fishbein and I. Ajzen,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Philosophy and Rhetoric, Vol.10, No.2, 1977.
  11. I. Ajze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Vol.50, No.2, pp.179-211, 1991. https://doi.org/10.1016/0749-5978(91)90020-T
  12. S. Taylor and P. A. Todd, "Understanding information technology usage: A test of competing models,"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6, No.2, pp.144-176, 1995. https://doi.org/10.1287/isre.6.2.144
  13. S. Taylor and P. A. Todd, "Decomposition and crossover effects i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 study of consumer adoption inten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in Marketing, Vol.12, No.2, pp.137-155, 1995. https://doi.org/10.1016/0167-8116(94)00019-K
  14. F. D. Davis,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Vol.13, No.3, pp319-340, 1989. https://doi.org/10.2307/249008
  15. F. D. Davis, R. P. Bagozzi, and P. R. Warshaw, "User acceptance of computer technology: A comparison of two theoretical models," Management Science, Vol.35, No.8, pp.982-1003, 1989. https://doi.org/10.1287/mnsc.35.8.982
  16. E. M. Rogers, Diffusion of Innovation, (5th ED), Free Press., 2003.
  17. 김은진, 박재진, 박정연, "소비자의 해외 직접구매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광고 연구, 제103호, pp.139-175, 2014.
  18. A. Bandur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Vol.84, No.2, pp.191-215, 1977. https://doi.org/10.1037/0033-295X.84.2.191
  19. 박재진, "소비자의 인터넷쇼핑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광고학연구, 제15권, 제3호, 289-315, 2004.
  20. 사림비, 장병희, "중국 소비자의 유료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지불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방송학보, 제31권, 제1호, pp.38-77, 2017.
  21. 안은주, 양동우, "지각된 농식품 관련 모바일 SNS의 특성이 소비자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중소기업연구, 제41권, 제1호, pp.1-28, 2019.
  22. 김한성, 이명성, 박진호, "외식기업 키오스크의 정보시스템 품질이 소비자의 지각된 유용성과 이용 용이성,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IT정책경영학회 논문지, 제12권, 제6호, pp.2127-2138, 2020.
  23. 조상, 김미현, "브랜드 유통 채널로서 중국 라이브 커머스의 이벤트 콘텐츠에 관한 연구," 브랜드디자인학연구, 제18권, 제4호, pp.144-158, 2020.
  24. 이은선, "소셜미디어 인플루언서의 준사회적 상호작용과 관계가 이용자의 브랜드 태도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1권, 제3호, pp.270-281, 2021. https://doi.org/10.5392/JKCA.2021.21.03.270
  25. 장민, 동해양, 송영욱,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광고모델의 속성이 소비자의 차류에 대한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틱톡 플랫폼에서 왕홍과 왕홍 간부의 차이 연구," 한중사회과학연구, 제63권, pp.261-287, 2022.
  26. 고민환, "J 항공 인스타그램의 정보품질이 태도, e-WOM, 재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정교화 가능성 모델과 합리적행동이론을 활용하여," 호텔경영학연구, 제29권, 제2호, pp.181-197, 2020.
  27. V. Venkatesh, "Determinants of perceived ease of use: Integrating control, intrinsic motivation, and emotion into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11, No.4, pp.342-365, 2000. https://doi.org/10.1287/isre.11.4.342.11872
  28. R. E. Burnkrant and T. J. Page Jr, "The structure and antecedents of the normative and attitudinal components of Fishbein's theory of reasoned action,"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Vol.24, No.1, pp.66-87, 1988. https://doi.org/10.1016/0022-1031(88)90044-3
  29. 옥석재, 손지현, "인터넷뱅킹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세분화된 계획 행동 이론을 중심으로,"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제5권, 제1호, pp.117-138, 2005.
  30. 송예진, 이유리, "패션 제품 소셜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SLSS)의 인지적 공유를 통한 서비스품질 지각과 구매경험의 조절효과," 한국의류학회, 제44권, 제4호, pp.639-656, 2020.
  31. 최자영, 김경자, "계획적 행동이론을 적용한 소비자 들의 온라인 쇼핑행동 분석," 소비자학연구, 제14권, 제4호, pp.89-103, 2003.
  32. B. J. Babin, G. Mitch, and R. D. William, "Work and/or fun: Measuring hedonic and utilitarian shopping valu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20, No.3, pp.644-656, 1994. https://doi.org/10.1086/2093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