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ploring Predictors of Preventive Behavior against COVID-19:Centered on Korean Collegians' Social Distancing

코로나19 예방행동 영향요인의 탐색: 우리나라 대학생의 사회적 거리두기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22.07.07
  • Accepted : 2022.08.29
  • Published : 2022.10.28

Abstract

For over two years, after COVID-19 was first reported in the last quarter of 2019, the world has suffered from the pandemic. The Korean government has taken an initiative and has implemented a variety of policies to protect people from COVID-19. These policies have resulted in some suffering and inconvenience for people. In this context, we aim to find out what factors influence Korean college students' intention to social distance. We surveyed with Google's online survey tool(Google Form) for 116 Korean college students using a convenient sampling from December 30, 2020, to January 8, 2021. We put perceived susceptibility, perceived severity, perceived health status, level of involvement, and trust in the policy as independent variables into a multiple regression equation using the stepwise method. We found that intention to social distance was predicted by perceived susceptibility, level of involvement, and trust in the policy in the final model. The findings mean that the more people perceive themselves susceptible to COVID-19, and the more they get involved with COVID-19, and the more they trust their governmental policies on COVID-19, the more they agree on social distancing.

2019년말 처음으로 코로나19가 보고된 이래로 2년 이상 동안 전세계는 팬데믹으로 고통을 받고 있다. 우리나라 정부는 주도적으로 코로나19 방어를 위해 다양한 예방정책을 펼쳤다. 일부 예방정책은 국민에게 고통과 불편을 다소 초래했다. 이러한 맥락에서 어떠한 요소들이 한국인들의 사회적 거리두기 동참에 영향을 미쳤는지를 이해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는 116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편의적 표집방법을 통해 구글의 온라인 서베이도구(Google Form)을 활용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는 2020년 12월 30일부터 2021년 1월 8일까지 10일간에 걸쳐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지각된 취약성, 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건강상태, 관여수준 및 정부정책에 대한 신뢰를 단계적 방법(stepwise method)으로 다중회귀방정식에 투입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최종모델에서 지각된 취약성, 관여수준, 및 정부정책에 대한 신뢰가 사회적 거리두기 의도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사람들이 코로나19에 대해 취약하다고 인식할수록, 또 사람들의 코로나19에 대한 관여수준이 높을수록, 그리고 사람들이 정부정책에 대해 신뢰할수록, 거리두기 실천에 더 동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극동대학교 교내학술연구지원(FEU2021R11)으로 수행되었습니다.

References

  1. "Coronavirus Pandemic(COVID-19) - the data," December 29, 2021https://ourworldindata.org/coronavirus-data
  2. 주지혁, "미세먼지 관련 건강행동에 대한 구조적 관계의 탐색: 다차원 건강통제소재, 지각된 취약성과 심각성 및 건강행동의도를 중심으로,"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8권, 제11호, pp.413-421, 2017. https://doi.org/10.15207/JKCS.2017.8.11.413
  3. 주지혁, "코로나 19 백신 접종영향 요인의 탐색: 건강통제소재와 건강신념모형의 융합,"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12권, 제11호, pp.347-357, 2021. https://doi.org/10.15207/JKCS.2021.12.11.347
  4. S. Deng, W. Wang, P. Xie, Y. Chao, and J. Zhu, "Perceived Severity of COVID-19 and Post-pandemic Consumption Willingness: The Roles of Boredom and Sensation-Seeking," Frontiers in Psychology, Vol.11, Article. 567784, 2020. https://doi.org/10.3389/fpsyg.2020.567784
  5. 이병관, 오현정, 신경아, 고재영, "행위단서로서의 미디어 캠페인이 인플루엔자 예방행동에 미치는 영향:건강신념모델의 확장을 중심으로," 한국공고홍보학보, 제10권, 제4호, pp.108-138, 2008.
  6. 주지혁, "우리나라 대학생의 미세먼지 관련 지각이 건강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 귀인양식, 관여도, 건강상태지각 및 예방행동의도를 중심으로,"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9권, 제7호, pp.269-276, 2018. https://doi.org/10.15207/JKCS.2018.9.7.269
  7. 강윤희, 김미영, 이건정, 정덕유, 마예원, "지역사회 노인의 사회적지지, 고독감, 수면의 질, 지각된 건강상태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간호학호지, 제26권, 제2호, pp.303-313, 2012.
  8. N. J. Pender,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2nd ed.), Norwalk, CT: Appleton-Lange, 1987.
  9. A. A. Mitchell, "Involvement: A potentially important mediator of consumer behavior,"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Vol.6, pp.191-196, 1979.
  10. E. Krugman, "Memory without recall, exposure without perception,"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Vol.7, No.4, pp.7-12, 1977.
  11. 곽지영, 지소영, "인터넷 구매결정과정에서의 관여도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경영정보학연구, 제18권, 제2호, pp.15-40, 2008.
  12. 주지혁, "한국대학생의 살충제 오염 달걀에 대한 건강인식에 관한 연구: 지각한 민감성과 심각성, 정부에 대한 신뢰성, 정부 출처 정보에 대한 평가 및 주관적 지식이 예방행동의도를 예측하는가?,"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9권, 제12호, pp.355-363, 2018. https://doi.org/10.15207/JKCS.2018.9.12.355
  13. 최명일, 김경환, 주지혁, "행위단서로서 광우병 관련미디어 노출이 미국산 쇠고기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취약성, 지각된 심각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3권, 제6호, pp.50-65, 2009.
  14. 박원우, 손승연, 박해신, 박해상, "적정 표본크기 (sample size) 결정을 위한 제언," 노사관계연구, 제21권, pp.51-85, 2010.
  15. 주지혁, "성별에 따른 몀품브랜드 구매행동의 차이: 과시소비성향과 준거집단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광고연구, 제94호, pp.70-93, 2012.
  16. 한상숙, 이상철, SPSS/PASW 활용 간호.보건 통계분석, 포널스, 2010.
  17. J. Schenker, 박성현 역, 코로나 이후의 세계, 미디어 숲,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