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마이데이터 서비스 속성이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yData Service Attributes on Intention to Use

  • 투고 : 2022.07.22
  • 심사 : 2022.08.09
  • 발행 : 2022.10.28

초록

마이데이터 서비스는 개인의 금융, 신용 등 데이터를 통합 및 관리해 주는 서비스로, 점차 다양한 분야의 개인 데이터가 통합되면서 개인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마이데이터 서비스의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발견하는 것은 서비스를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주제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마이데이터 서비스의 속성들을 도출하고, 도출된 서비스 속성들을 유사한 것들끼리 묶어 "편리성", "유용성", "보안성", "통제성" 요인을 찾아냈으며, 이 요인들과 마이데이터 서비스의 이용의도와의 인과관계를 연구모형으로 설정하고 분석하는 탐색적 접근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마이데이터 서비스 이용의도에는 마이데이터 서비스 속성 요인들 중에, "편리성", "유용성", "통제성"이 유의미한 영향을 주며, "보안성" 은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통제성"이 마이데이터 서비스의 이용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마이데이터 서비스 사업자는 이용자가 자신의 데이터를 통제하고 있다는 인식을 가지도록 하고, 이용자에게 다양한 혜택이 제공될 수 있도록 서비스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MyData service integrates and manages user's personal data such as finance, credit, etc, and is expecte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the user as personal data in various fields are gradually integrated. Discovering factors that affect the intention to use of MyData service is a very important topic for understanding that service. To this end, in this study, the attributes of the MyData service were derived, and the derived service attributes were grouped together by using factor analysis. As a result, we found four factors such as "convenience", "usefulness", "security", and "control". After that, we established our research model to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se four factors and the intention to use of MyData service.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among the factors of the MyData service attribute, "convenience", "usefulness", and "control" had a significant effect, and "security"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control"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use. This study suggests that MyData service provider need to make users recognize they are controlling their data and develop services that provide various benefits to users.

키워드

과제정보

이 논문은 2022학년도 배재대학교 교내학술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수행됨

참고문헌

  1. F. D. Davis,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Vol.13, No.3, pp.319-340, 1989. https://doi.org/10.2307/249008
  2. 이수연, 박조원, "모바일 간편 결제 서비스 이용 의도에 관한 연구: 기술수용모델을 중심으로," 경영과학, 제33권, 제2호, pp.65-74, 2016. https://doi.org/10.7737/KMSR.2016.33.2.065
  3. 김수현, "스마트폰에 대한 지각특성이 스마트폰 채택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9호, pp.318-326,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9.318
  4. 곽수영, "기술수용모형이론을 기반으로 한 물류 플랫폼 이용 의도에 관한 실증연구," e-비즈니스연구, 제21권, 제1호, pp.93-109, 2020.
  5. 김아영, 김태성, 오하경, "전자인증 서비스 수용의도에 관한 연구: 모바일 금융서비스 중심으로," 한국통신학회논문지, 제43권, 제2호, pp.461-474, 2018.
  6.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마이데이터 서비스 안내서," 2019.12.30.
  7. 마이데이터 종합포털, "마이데이터란," https://www.mydatacenter.or.kr:3441/myd/mydsvc/sub1.do
  8. 서정호, "오픈뱅킹 시대의 도래와 향후 과제," 한국금융연구원 주간금융브리프, 제28권, 제13호, pp.3-12, 2019.
  9. 송민택, 이원부, "사용자의 오픈뱅킹 수용의도에 관한 영향요인 연구," Information Systems Review, 제23권, 제2호, pp.135-154, 2021. https://doi.org/10.14329/isr.2021.23.2.135
  10. 이종섭, 최재섭, 최정일, "오픈뱅킹 기반의 마이데이터 서비스 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한국IT서비스학회지, 제21권, 제1호, pp.1-19, 2022. https://doi.org/10.9716/KITS.2022.21.1.001
  11. 이석호, 장항배, "정보보호 관점의 금융 마이데이터 서비스 수용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전자거래학회지, 제27권, 제2호, pp.137-152, 2022. https://doi.org/10.7838/JSEBS.2022.27.2.137
  12. 백한종, 김지영, 유영민, 신용태, "지각된 위험이 마이데이터 서비스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IT정책경영학회논문지, 제11권, 제4호, pp.1287-1291,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