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ffects in and of Archives : Focused on 4.16 Memory Storage

정동의 기록화 '4.16 기억저장소'를 중심으로

  • 이경래 (한신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협))
  • Received : 2022.09.29
  • Accepted : 2022.10.21
  • Published : 2022.10.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affective value' of records. Traditionally, records have been evaluated as having evidence value, information value, and artificial value. However, the 'affective turn'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which began in the 1990s, calls for discussion on the affective value of records. The overseas archive academia is in full swing discussing the emotional value of records after the 'affective turn'. However, there is no emotional discussion on records in the domestic archive academia. This study first conducts theoretical discussions to overcome these domestic limitations and explore the emotional value of archives in earnest. Following the theoretical discussion, a specific case will be dealt with next. As a representative storage of affect, which records the pain, sadness, and condolences of the domestic disaster era,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cord management case of the 4.16 Memory Storage. The Ferry Sewol disaster, which provided a dramatic opportunity to witness the unexpected ripple effect of affect in Korea, and the 4.16 Memory Storage as a recording activity, can be seen a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affective recording of the pain and sadness of survivors of the trauma incident. It will capture the differentiation of affet recording, which is different from the record management practice, and demonstrate empirically how this differentiation is implemented from collection to evaluation and service through the '4.16 Memory Storage'.

본 연구는 기록의 '정동적 가치'에 대한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전통적으로 기록은 증거 가치, 정보 가치, 그리고 실물 가치를 지니는 것으로 평가되어왔다. 하지만, 1990년대 이후 시작된 서구 인문사회학 전반에서의 '정동적 전환(affective turn)'은 기록이 가지는 권위 밖 이질적인 것으로 간주되던 '정동 가치'에 대한 논의를 촉구했다. 불행히도 서구에서 기록의 정동적 가치에 대한 논의를 본격화했던 반면 국내 기록학계 내 기록에 대한 정동적 논의는 거의 부재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기록의 정동적 가치를 본격적으로 탐색하기 위해 먼저 정동의 이론적 논의를 살핀다. 이어서 정동의 기록화를 보여줄 국내 사례를 구체적으로 다루고 있다. 재난 시대의 고통과 슬픔, 애도를 기록하는 대표적인 정동의 저장소로서 4.16 기억저장소의 기록관리 사례를 살펴본다. 이 연구는 사회적 정동의 예상치 못한 파급 효과를 드러냄과 동시에 극적계기를 제공한 세월호 참사, 그리고 이의 기록활동으로서 '4.16 기억저장소'를 동시대 트라우마적 사건의 생존자들과 유가족의 고통과 슬픔을 기록한 정동 기록의 대표 사례로 보고 집중적으로 관찰한다. 본 연구는 '4.16 기억저장소'의 사례를 통해 기존의 기록관리 관행과는 다른 정동 기록화의 차별성이 수집에서부터 평가 및 서비스에 이르기까지 어떻게 구현되는지를 구체적으로 드러내 보인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9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19S1A5B5A07110441).

References

  1. 곽은희 (2020). 재난의 기록, 기억을 통한 연대, 인문연구 92, 59-94.
  2. 경빈엄마 전인숙 (2021). 단원고 4.16기억교실 원형복원, 기억의 연대 vol. 5. 4.16 기억저장소.
  3. 김명훈 (2010). 기록학적 관점에서의 구술의 의미와 역할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24, 73-112.
  4. 김미향 (2019. 11. 24.). 재난 이후의 재난, '슬픔의 구조자들' 손잡은 이유. 한겨레. https://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918174.html
  5. 김성일 (2016). 86호를 발간하며, 문화과학 86, 4-17.
  6. 박미선 (2015). 로렌 벌랜트 : "잔인한 낙관주의"와 신자유주의 시대의 감정, 여성이론 33, 도서출판여이연, 99-125.
  7. 박현선 (2016). 정동의 이론적 갈래들과 미적 기능에 대하여, 문화과학, 86, 59-81.
  8. 박현선 (2020). 재난, 아카이브, 이미지: 재난 기억의 문화적 실천, 한국극예술연구 68, 231-257.
  9. 브라이언 마수미 (2011). 가상계, 갈무리.
  10. 서경식 (2010). 고통과 기억의 연대는 가능한가?, 철수와영희.
  11. 설문원.김영 (2016). 공동체 아카이브를 위한 기록평가론의 재조명, 기록학연구 48, 209~251
  12. 유해정 (2018). 정치적 애도를 통한 삶의 재건: 세월호 참사의 시민 경험을 중심으로, 민주주의와 인권 18(2), 181-220.
  13. 이경래.이광석 (2017). 동시대 '대항기억'의 기록화: 용산참사 사례를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53, 45-77.
  14. 이종찬 (2016). 정동, 마음의 움직임, 문화과학 86, 294-309.
  15. 정원옥 (2014). 세월호 참사의 충격과 애도의 정치, 문화과학 79, 48-66.
  16. 정원옥 (2016). 재난 시대, 청년세대의 문화정치: '안녕들 하십니까' 대자보에서 포스트잇 추모 행동까지, 문화과학 88, 157-175.
  17. 정원옥 (2017). 재난 희생자들을 어떻게 기억할 것인가, 416세월호참사 작가기록단 재난참사기억프로젝트팀 지음, 반복된 참사 꺼내온 기억 대한민국 재난연대기: 재난을 묻다, 서해문집, 60-63.
  18. 정정훈 (2014). 재난의 시간을 살아간다는 것, 문화과학 79, 4-13.
  19. 정정훈 (2017). 이데올로기와 어펙트, 혹은 '인간학적 조건'을 어떻게 사고할 것인가?루이 알튀세르와 브라이언 마수미 사이의 쟁점을 중심으로, 문화과학 90, 402-429.
  20. 정정훈 (2019). '정동'이라는 전장: 어펙트 이론의 계보와 쟁점들, http://seogyo.net/lecture?board_name=lecture&mode=view&search_field=fn_title&order_by=fn_user_name&order_type=asc&board_page=1&list_type=list&board_pid=164
  21. 정혜진 (2014. 4. 27.). 18세 생일 지나 주민증 생긴다고 좋아했는데..., 서울경제.
  22. 조민지.이은화.이영남 (2020). 관계성 기반 기록정보서비스 연구, 기록학연구 66, 267-316.
  23. 주디스 버틀러 (2008). 불확실한 삶:애도와 폭력의 권력들, 양효실 옮김, 경성대출판부.
  24. 416세월호참사 작가기록단 재난참사기억프로젝트팀 (2017). 반복된 참사 꺼내온 기억 대한민국 재난연대기: 재난을 묻다, 서해문집.
  25. 4.16 기억저장소 (2019). 그날을 말하다: 예은 엄마 박은희, 4.16구술증언록 단원고 2학년 3반 제10권, 한울.
  26. 4.16 기억저장소 (2019). 그날을 말하다: 연화 아빠 이종해, 4.16구술증언록 단원고 2학년 1반 제6권, 한울.
  27. Ahmed, S (2004). The cultural politics of emotion. Edinburgh University Press, Edinburgh.
  28. Athanasiou, Athena, Hantzaroula, Pothiti and Yannakopoulous, Kostas (2008). Toward a New Epistomology: The 'Affective Turn', Historein.
  29. Caswell, Michelle (2014a). Archiving the unspeakable: silence, memory and the photographic record in Cambodia.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Madison.
  30. Caswell, M (2014b). Towards a survivor-centered approach to records documenting human rights abuse: lessons from community archives. Arch Sci 14(3-4), 307-322. https://doi.org/10.1007/s10502-014-9220-6
  31. Caswell, M, Cifor M (2016). From human rights to feminist ethics: Radical empathy in the archives. Archivaria 81, 23-43.
  32. Cifor, Marika (2015). Presence, absence, and Victoria's hair: affect and embodiment in trans archives. TSQ: Transgender Stud Q, 2.2, 645-649. https://doi.org/10.1215/23289252-3151565
  33. Cifor, Marika (2016). Affecting relations: introducing affect theory to archival discourse, Arch Sci 16, 7-31. https://doi.org/10.1007/s10502-015-9261-5
  34. Clough PT, Halley J (eds) (2007). The affective turn. Duke University Press, Durham
  35. Cvetkovich, Ann (2003). An archive of feeling: trauma, sexuality and lesbian public cultures. Duke University Press, Durham.
  36. Dunbar, AW (2006). Introducing critical race theory to archival discourse: getting the conversation started. Arch Sci 6: 109-129. https://doi.org/10.1007/s10502-006-9022-6
  37. Flinn, A (2011). Archival activism: independent and community-led archives, radical public history and the heritage professions. Inter Actions 7(2), 1-22.
  38. Gilliland, Anne J..Michelle Caswell (2016). Records and their imaginaries: imagining the impossible, making possible the imagined, Arch Sci, 16, 53-75. https://doi.org/10.1007/s10502-015-9259-z
  39. Gilliland, Anne (2014). Moving past: probing the agency and affect of recordkeeping in individual and community lives in post-conflict Croatia. Arch Sci, 14, 249-274. https://doi.org/10.1007/s10502-014-9231-3
  40. Halilovich, Hariz (2016). Re-imaging and re-imagining the past after 'memoricide': intimate archives as inscribed memories of the missing, Arch Sci 16, 77-92. https://doi.org/10.1007/s10502-015-9258-0
  41. Harris, V (2001). Seeing (in) blindness: South Africa, archives and passion for justice. http://scnc.ukzn.ac.za/doc/LibArchMus/Arch/Harris_V_Freedom_of_Information_in_SA_Archives_for_justice.pdf.
  42. Harris, V (2002). The archival sliver: power, memory and archives in South Africa. Arch Sci 2(1-2), 63-86. https://doi.org/10.1007/BF02435631
  43. Kim, Sara (2013). Landscape of personal digital archiving activities and research, Personal Archiving Preserving Our Digital Heritage, edited by Donald T. Hawkins, Information Today, Inc. Medford, New Jersey, 153-186.
  44. Lee, Jamie A. (2016). Be/longing in the archival body: eros and the ''Endearing'' value of material lives, Arch Sci 16, 33-51. https://doi.org/10.1007/s10502-016-9264-x
  45. Russell, Lynette (2018). "Affect in the archive: trauma, grief, delight and texts. Some personal reflections", Archives And Manuscripts, 46(2), 200-207. https://doi.org/10.1080/01576895.2018.1458324
  46. Shouse, E (2005). Feeling, emotion, affect. M/C J, 8(6). http://journal.media-culture.org.au/0512/03-shouse.php.
  47. Sedgwick, EK (2003). Touching feeling: affect, pedagogy, performativity. Duke University Press, Durham.
  48. Wilson, Jacqueline.Frank Golding (2016), Latent scrutiny: personal archives as perpetual mementos of the official gaze, Arch Sci 16, 93-109. https://doi.org/10.1007/s10502-015-9255-3
  49. 이은화(前 4.16기억저장소 기록관리팀장, 現 4.16민주시민교육원 기억관운영실 팀장) 인터뷰, 4.16기억저장소, 2022. 08.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