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순천 환선정(喚仙亭)의 역사적 변천에 따른 경관 변화와 시사점

Changes and Implications of Landscape by Historical Transition of Suncheon Hwanseonjeong Pavilion

  • 김순기 (순천대학교 조경학전공)
  • Kim, Soon-Ki (Major in Landscape Architecture, Sunchon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22.08.18
  • 심사 : 2022.09.27
  • 발행 : 2022.09.30

초록

본 연구는 순천 환선정의 역사적 변천 과정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과거 본래의 환선정의 경관과 이를 구성하는 요소들을 파악한 후, 이를 현존하는 죽도봉 환선정의 경관과 비교함으로서, 현재의 복원이 가지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향후 복원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인 환선정은 관아의 원림 건축으로 1543년 당시 순천부사로 있던 심통원에 의해 창건되었다. 이후 여러 차례 중수되면서 과거 선향 순천을 대표하는 누정으로서 동천과 맞은편 죽도봉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위치에 인공적으로 조성된 호수와 다른 원림 요소들과 함께 자리 잡고 있었다.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도 무사히 유지되어온 환선정은 1968년 8월 28일 순천에 큰 수해가 나면서 유실되었다. 환선정이 다른 소실된 누정과 다른 점은 소실되기 이전인 1935년 환선정의 사정 역할을 분리한 또 다른 환선정을 죽도봉에 지었고, 해당 누정이 1988년 현재 위치로 이동되면서 현존하고 있다는 점이다. 환선정의 복원 사례는 누정 복원에 있어 중요한 다음의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누정의 가치는 건축물 그 자체가 아닌, 누정을 둘러싼 주변 경관과의 관계에서 형성된다. 따라서 누정의 복원은 단순히 건축물의 복원과 같은 방식으로 접근해서는 안 되며, 누정의 복원은 기존의 경관 가치를 이해하고 건축물과 함께 경관 요소를 복원하려는 노력이 요구된다. 둘째, 환선정과 함께 인공적으로 조성된 남북으로 긴 형태의 호수가 매우 중요한 경관 구성요소이자 경관 유람의 방법을 제공하는 수단이었다. 환선정의 문화적 맥락에서의 복원을 위해서는 과거 환선정에서 이루어진 문화적 행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통합적인 고증과 복원을 통해 문화적 행위에 대한 체험 등을 복원하는 노력 또한 요구된다. 셋째, 현존하는 환선정은 과거 본래의 환선정과 비교하여 건축물 복원에서도 과거와는 다른 형태 및 구성, 규모, 색채 등을 보인다. 건축물의 복원이라는 측면에서도 더욱 정확한 고증과 연구, 조사 등을 통해 복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historical transition process of Hwanseonjeong Pavilion in Suncheon, identifies the landscape of the original Hwanseonjeong Pavilion in the past and its constituent elements, and compares it with the landscape of the present Hwanseonjeong Pavilion at Jukdobong area. It was intended to identify the problems and draw implications for future restoration of Hwanseonjeong Pavilion. Hwanseonjeong pavilion,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built in 1543 by Tong-won Shim, the governor of Seungpyeong, as a garden architecture for government. Since then, it has been renovated several times, and as a pavilion representing "Seonhyang(immotal world)" Suncheon in the past, it was located along with an artificially created lake and other elements of the garden at a location where can be seen Dongcheon stream and Jukdobong Peak on the opposite side at a glance. Hwanseonjeong pavilion, which had been safely maintain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lost on August 28, 1968 due to a major flood in Suncheon. The difference between Hwanseonjeong Pavilion and other lost is that another Hwanseonjeong Pavilion for the role of archery was built on Jukdobong Peak in 1935, before it was destroyed. The restoration case of Hwanseonjeong pavilion provides the following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restoration of pavilions as a garden architecture: First, the value of a pavilion is not formed from the building itself, but from the relationship with the surrounding landscape. Therefore, restoration of a pavilion should not be approached in the same way as restoration of buildings. Restoration of a pavilion requires efforts to understand the existing landscape value and to restore landscape elements together with buildings. Second, an artificially created long north-south lake along with Hwanseonjeong pavilion was a very important landscape component and a means of providing a way to enjoy the landscape. For restoration in the cultural context of Hwanseonjeong pavilion, efforts are also required to restore not only the architecture, but also the experience of cultural activities through an integrated examination and restoration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the cultural activities performed in Hwanseonjeong Pavilion. Third, compared to the past original Hwanseonjeong Pavilion, the existing Hwanseonjeong Pavilion shows a different shape, composition, scale, color, etc. In terms of the restoration of buildings, it is thought that restoration will be possible only when restoration is done through more accurate historical evidence, research, and investigation.

키워드

과제정보

순천대학교 교연비 사업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참고문헌

  1. 이욱(2016). 임란 이후 순천지역 사족의 변화와 「승평지」 편찬. 대구사학. 124(-): 177-126.
  2. 이수광(1618). 승평지.
  3. 김현진(2018). 순천지역 누정제영시 연구. 경상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4. http://suncheon.grandculture.net/suncheon/toc/GC07601081
  5. 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ld=150905
  6. http://archive.history.go.kr/id/DSE010_00_00V0009
  7. http://www.art8013.net/cms.php?id=archive20
  8. http://suncheon.grandculture.net/Image?localName=suncheon&id=GC076P02272&t=middle
  9. https://db.itkc.or.kr/dir/item?itemld=MO#/dir/node?datald=ITKC_MO_02 32A_0050_010
  10. 정제문, 강명희(1985). 순천의 찬시가. 남도문화연구. 1(-): 295-344.
  11. 홍중징(1729). 신증승평지.
  12. https://db.history.go.kr/id/sa_037
  13. 순천부 지도. 규장각한국학연구소.
  14. 우승완(2008). 순천 근대기 도시화에 관한 연구. 순천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5. https://map.ngii.go.kr/ms/map/Aerial.do
  16. http://www.nsdi.go.kr/lxmap/index.do#
  17. 송인수(1907). 규암집.
  18. http://map.ngii.go.kr/ms/map/NlipMap.do?tabGb=daedong
  19. http://www.scculture.cx).kr/main/culture_db_filedown.php?no=2518
  20. http://map.ngii.go.kr/e-book/search/index.jsp
  21. 황병욱(1914). 운양집.
  22. https://www.iheadlin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6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