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교육부(2017a). 2015 학교 진로교육 목표와 성취기준. 2021년 3월 16일 인출, 서울특별시교육청 진로직업교육과 누리집 부서업무방 141번 게시물.
- 교육부(2017b).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바른생활 슬기로운생활 즐거운생활 1-1.
- 권난주(2006). 과학과 과학자에 대한 인식변화를 위한 초등학교 과학 체험활동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교육과학연구, 37(2), 239-264.
- 권난주, 권현주(2012). 초등학교 아침활동시간에 "사이언스 TV"를 활용한 과학 커뮤니케이션 활동 적용 및 학생들의 반응분석. 과학교육연구지, 36(1), 56-68. https://doi.org/10.21796/JSE.2012.36.1.56
- 김소임(2017). 과학관련진로에 대한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인식과 배경 탐색.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영신, 양일호(2005). 초등학교 학생들의 과학 태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초등과학교육, 24(3), 292-300.
- 김정화, 조부경(2002). 유치원과 초등학교 학생의 과학 및 과학활동에 대한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3), 617-631.
- 김지혜, 신영준(2013). 예술적 과학 활동을 통한 초등 저학년 학생들의 과학 태도 변화. 교육논총, 33(2), 1-28.
- 김효남, 정완호, 정진우(1998). 국가수준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의 평가체제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3), 357-369.
- 박혜원, 신영준(2012). 융합인재교육(STEAM)을 적용한 과학수업이 자기효능감, 흥미 및 과학태도에 미치는 영향. 생물교육, 40(1), 132-146. https://doi.org/10.15717/BIOEDU.2012.40.1.132
- 박효정(2014). 초등학교 과학교과 관련 진로교육 자료 개발 및 적용.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백진나(2011). 초임 교사의 자기성찰을 통한 초등과학 수업 개선.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송현아(2011). 직업인 되어보기를 활용한 진로통합 과학 교육 프로그램의 정의적 효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유소원(2015). STEAM기반 과학 진로교육이 초등학생의 과학 진로인식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교육 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동규, 임희준(2019). 여성 과학자 역할모델 사례를 활용한 진로교육이 초등학생의 과학진로인식에 미치는 효과. 초등과학교육, 38(4), 510-521.
- 이세희(2018). 4차 산업혁명의 직업변화를 강조한 과학 글쓰기가 초등학생의 과학진로인식, 진로흥미, 직업 포부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채희인, 노석구(2013). STEAM 활동이 초등학생의 과학 탐구능력 및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과학교육연구지, 37(3), 417-433. https://doi.org/10.21796/JSE.2013.37.3.417
- 최소영(2001). 초등교사와 초등학생들의 과학자에 대한 인식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한명순(1999). 과학자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 및 선호도 분석.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한재균, 권난주(2019). 미래유망직업을 활용한 초등학교 과학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에 대한 태도 및 진로발달에 미치는 효과. 교원교육, 35(4), 113-134.
- Chambers, D. W. (1983). Stereotypic images of the scientist: The draw-a-scientist test. Science Education, 67(2), 255-265. https://doi.org/10.1002/sce.3730670213
- Christidou, V. (2011). Interest, attitudes and images related to science: Combining students' voices with the voices of school science, teachers, and popular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and Science Education, 6(2), 141-159.
- Gulsen, L., Duygu, M., Esra Y., & Pinar S. C. (2011). The effect of informal and formal interaction between scientists and children at a science camp on their images of scientists. Science Education International, 22(3), 158-174.
- Lee K. J., & Rebeca L. R. (2021). A global comparison of the circumscription and compromise theory of career development in science career aspirations.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21(7), 381-394. https://doi.org/10.1111/ssm.12492
- Ozel, M. (2012). Children's images of scientists: Does grade level make a difference? Educational Sciences: Theory and Practice, 12(4), 3187-3198.
- Sara, R. A., Samantha, D. B., & Yunkyoung, L. (2017). Project HOPE: Evaluation of health science career education programming for Rural Latino and European American Youth. The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65(1), 57-71. https://doi.org/10.1002/cdq.12080
- Ting, S. R., Leung, Y. F., Stewart, K., Smith, A. C., Roberts, G. L., & Dees, S. (2012). A preliminary study of career education in middle school. Journal of Career and Technical Education, 27(2), 84-97.
- Tuckman, B. W. (1974). An age-graded model for career development education. Journal of Vatocional Behavior, 4(2), 193-212. https://doi.org/10.1016/0001-8791(74)9010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