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Identity Formation of Korean Medicine in the 1920s: Focusing on the publication of Dongseo uihak youi

『동서의학요의(東西醫學要義)』 간행으로 본 1920년대 한의학 정체성 변화에 관한 고찰

  • KIM Hyunkoo (Dept. of Medical Classics and Medical History, College of Korean Medicine, Semyung University) ;
  • AHN Sang-woo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
  • Kim Namil (Dept. of Medical History, College of Korean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김현구 (세명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의사학교실) ;
  • 안상우 (한국한의학연구원) ;
  • 김남일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의사학교실)
  • Received : 2023.05.15
  • Accepted : 2023.05.30
  • Published : 2023.11.30

Abstract

This paper describes the transformation of the knowledge system of Korean medicine in the early 20th-century colonial context of the 1920s in terms of 'identity formation'. At the time, newly introduced Western medicine was the dominant form of medical knowledge due to strong support from the colonial government but had did not enjoy popular support from the general public especially when compared to Korean medicine. Furthermore,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needed to utilize Korean medicine practitioners' labor due to a serious shortage of Western medicine doctors. In this context, Dongseo uihak youi (Essentials of Eastern and Western Medicines) provides an overview of the role of Korean medicine practitioners in the colonial healthcare system of the time. The book contains a figure of a 'modern' Korean medicine practitioner working within a healthcare system influenced by colonial modernity. The association of Korean medicine doctors at that time not only published Dongseo uihak youi but also attempted to establish a school specializing in both Eastern and Western medicines or integrated Korean medicine, which would produce "the Chosŏn doctors" (Chosŏn ŭisa) on a par with doctors trained in Western medicine. Although their attempts did not materialized, they provide a clue as to how and in what direction Korean medicine pursued its identity in the 1920s.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입니다(NRF-2019S1A6A3A04058286).

References

  1. 都鎭羽. 「東西醫學要義(再版)」. 漢城圖書株式會社. 1925.
  2. 「官報」 1899. 3. 28.
  3. 「醫士規則」 1913. 11. 15.
  4. 「警報內部」. 皇城新聞. 1905. 5. 11.
  5. 「衛生會組織」. 皇城新聞. 1910. 5. 26.
  6. 「東西醫學專門學校 京城에 設立決意」. 朝鮮日報. 1926년 5월 31일.
  7. 구현희. 「일제강점기 언해한의서 단방비요경험신편 연구」. 한국의사학회지. 2016;29(1):89-101. https://doi.org/10.15521/JKMH.2016.29.1.089
  8. 김남일. 「근현대 한의학 인물실록」. 파주:들녘. 2011.
  9. 김기욱, 김남일, 김도훈, 김용진, 김홍균, 김훈 외. 「한의학통사」. 서울:대성의학사. 2006.
  10. 김도원, 차웅석. 「조헌영의 婦人病治療法연구: 의학사상과 처방을 중심으로」. 한국의사학회지. 2021;34(1):11-22.
  11. 김도원, 안상우, 차웅석. 「조헌영의 神經衰弱症治療法 연구」. 한국의사학회지. 2021;34(2):11-23. https://doi.org/10.15521/JKMH.2021.34.2.011
  12. 김도원, 차웅석. 「조헌영의 東洋醫學叢書에 대한 의사학적 연구」. 한국의사학회지. 2022;35(1):119-134. https://doi.org/10.15521/JKMH.2022.35.1.119
  13. 김동율, 정지훈, 차웅석. 「청강 김영훈의 거서화중탕 임상 활용에 대한 연구: 1915-1924 김영훈 진료기록을 중심으로」. 한국의사학회지. 2015;28(1):143-158. https://doi.org/10.15521/JKMH.2015.28.1.143
  14. 김두종. 「한국의학사」. 서울:탐구당. 1981.
  15. 김현구, 안상우, 김남일. 「都鎭羽의 東西醫學要義에 대한 연구」. 한국의사학회지. 2023;36(1):99-112. https://doi.org/10.15521/JKMH.2023.36.1.099
  16. 김태우. 「식민지 조선에서의 의료의 근대적 변화: 동아시아국민국가 식민지의료체계 속 의생제도」. 의료사회사연구. 2018;2:75-101.
  17. 김훈, 이해웅. 「通俗漢醫學原論 陰陽篇에 관한 考察」. 한국의사학회지. 2011;24(2):17-24. https://doi.org/10.15521/JKMH.2011.24.2.017
  18. 신동원. 「한국근대보건의료사」. 서울:한울아카데미. 1997.
  19. 박규리, 백규환, 정지훈, 이상재. 「1920년-1945년까지의 동아일보 광고를 통해 본 여성의 건강과 질병」. 한국의사학회지. 2015;28(2):87-96. https://doi.org/10.15521/JKMH.2015.28.2.087
  20. 박윤재. 「한국 근대의학의 기원」. 서울:혜안. 2005.
  21. 박윤재. 「일제의 한의학 정책과 조선 지배」. 의사학. 2008;17(1):75-86.
  22. 박훈평. 「일제강점기 영년의생 연구」. 한국의사학회지. 2016;29(1):33-45. https://doi.org/10.15521/JKMH.2016.29.1.033
  23. 박훈평. 「일제강점기 달성의생 전석희의 진료기록 연구」. 한국의사학회지. 2019;32(2):71-78. https://doi.org/10.15521/JKMH.2019.32.2.071
  24. 신규환. 「위생의 개념사-청말민국기 중서의의 위생론」. 동방학지. 2007;138:179-223.
  25. 신규환. 「竝存과 折衷의 二重奏: 日帝下 韓醫學의 西洋醫學 認識과 受容」. 歷史敎育. 2007;101:227-256.
  26. 안상우. 「고의서 산책312 衛生錄」. 민족의학신문. 2006년 11월 3일.
  27. 안상우. 「고의서산책373 衛生神書」. 민족의학신문. 2008년 5월 30일.
  28. 안상우. 「고의서 산책464 衛生寶鑑」. 민족의학신문. 2010년 10월 19일.
  29. 안상우, 김현구. 「사상의학의 임상 응용과 저변 확대: 원지상의 동의사상신편을 중심으로」. 한국의사학회지. 2012;25(2):97-103. https://doi.org/10.15521/JKMH.2012.25.2.097
  30. 오재근. 「일제 시대 '의생(醫生)' 김광진의 황달 투병기: 김광진의 치안, 치달일기 분석」. 의사학2019;28(2):427-468.
  31. 이종찬. 「서양의학의 두 얼굴」. 서울:한울아카데미. 1999:29.
  32. 정유옹. 「일제시대 사암침법에 관한 의사학적 고찰: 문헌중심으로」. 한국의사학회지. 2009;22(1):47-56.
  33. 정지훈. 「韓醫學術雜誌를 중심으로 살펴본 日帝時代 韓醫學의 學術的 傾向」. 한국의사학회지. 2004;17(1):195-254.
  34. 정지훈, 김도훈. 「일제강점기 한의학술잡지에 실린 한약업자 광고 분석」. 한국의사학회지. 2013;26(2):111-122. https://doi.org/10.15521/JKMH.2013.26.2.111
  35. 조학준. 「일제강점기의 한의학 교재 중 하나인 漢方醫學講習書」. 한국의사학회지. 2010;23(1):77-104.
  36. 최성운, 황지혜, 장재립, 김남일. 「20세기 조선 왕실 처방집 어용탕제책(御用湯劑冊)연구」. 한국의사학회지. 2020;33(2):23-36. https://doi.org/10.15521/JKMH.2020.33.2.023
  37. 황지혜, 김남일. 「일제강점기 매약을 통해 본 한약의 제형변화와 새로운 한약 처방의 경향성에 대한 고찰」. 한국의사학회지. 2020;33(1):99-112. https://doi.org/10.15521/JKMH.2020.33.1.0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