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Program To Promote Young Children's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 Focus on Cooperative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유아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그림책을 활용한 협동활동 중심으로

  • 송애란 (시립숲속어린이집) ;
  • 송승민 (수원대학교 아동가족복지학과)
  • Received : 2022.08.23
  • Accepted : 2023.01.26
  • Published : 2023.02.28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reative problem-solving(CPS) program conducive to the improvement of young children's creativity, creative problem-solving competence, social and communication skills. The program was based on the picture books, focusing on young children's cooperative activities. Method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99 five-year-old children were induced to participate in it.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data were analyzed in advance and post hoc test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Results: This program had positive effects on children's creativity, creative problem-solving competence, social and communication skills. Conclusion/Implications: The purpose of the program was to solve the problems we face in our daily life creatively through cooperative activities. The creative problem-solving(CPS) program for the young children focused on cooperative activities using the picture books was very effective in improving young children's creativity, creative problem-solving competence, social and communication skills.

Keywords

References

  1. 공자영 (2015). CPS 디자인 프로젝트가 유아의 창의성과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에 미치는효과.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곽아정 (2006). 유아의 학습과 관련된 사회적 기술 척도의 타당화 및 학습능력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 권유선, 최혜진 (2013). 창의성 기법을 적용한 유아 예술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7(3), 55-78. 
  4. 김나현 (2013). 그림책을 활용한 협동적 조형활동이 유아의 의사소통능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미옥 (2020). 음악활동을 통한 유아 창의․인성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6(6), 123-153. https://doi.org/10.14698/jkcce.2020.16.06.123 
  6. 김상림, 박창현 (2017). 유아의 인지 및 사회성 발달과 가정환경 및 유아-교사 교사 상호작용이 유아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창의력교육연구, 17(1), 111-128. 
  7. 김선진 (2015). 유아의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창의적 문제해결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김수향 (2005). 유아의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과 창의적 사고와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과정에서). 유아교육학논집, 9(3), 171-190. 
  9. 김수향, 정대련 (2004).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과정의 효과: 창의적 사고, 문제해결 수행능력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24(5), 291-310. 
  10. 김수향 (2011). 안전에 관한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이 유아의 안전문제해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1(2), 255-282. https://doi.org/10.18023/kjece.2011.31.2.012 
  11. 김영채 (2014). CPS 창의 프로그램과 창의적 문제해결. 유원북스. 
  12. 김자영, 최미숙 (2020).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25(3), 43-67. https://doi.org/10.20437/KOAECE25-3-03 
  13. 노은아 (2007). 협동적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류은주, 황희숙 (2012). 육색사고모 기법을 활용한 명화감상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언어 표현력 및 미술 감상능력에 미치는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1), 435-459. 
  15. 문용린, 최인수, 곽윤정, 이현주, 이화선, 이미나, 이채호, 백수현, 윤지윤, 박은정, 석수경 (2010).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창의인재 육성을 위한 창의.인성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16. 박인영 (2018). 창의성 기법을 활용한 유아의 사회적 창의 증진 개발 및 효과. 수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7. 박진영 (2019). 생명과학 수업에서 협력적 문제해결학습이 중학생의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배공민, 황희숙 (2015). 육색사고모 기법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인지발달중재학회지, 6(1), 19-33. 
  19. 백승선 (2018). 창의적 문제해결(CPS) 모형에 기초한 유아 수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중앙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 변영계, 김광휘 (2000). 협동학습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1. 서정숙, 남규 (2005). 유아문학교육. 창지사. 
  22. 신민희 (2015). CPS모형 기반 과학통합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 및 과학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안정은, 이효빈, 권연희 (2019). 그림책을 활용한 협력활동이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5(3), 61-81. https://doi.org/10.14698/jkcce.2019.15.03.061 
  24. 우혜진 (2012). 유아의 사회적 합의 능력 증진 프로그램의 구성 및 적용 효과.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5. 윤치연 (2012). 한국유아사회성기술검사. 테스피아. 
  26. 이나영 (2008). 유아의 협동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7. 이대균, 정명자, 백경순 (2005). 유아교사의 그림책 선정과 지도방법에 관한 연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6(2), 75-99. 
  28. 이은미 (2019). 협동적 문제해결을 통한 유아 인성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공주대학교박사학위논문. 
  29. 이정인, 장영숙 (2017). SCAMPER 기법을 활용한 이야기 나누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열린부모교육연구, 9(4), 347-366. 
  30. 이정화, 한희승 (2014). 유치원에서의 유아 협동활동 활용 실태. 어린이미디어연구, 13(3), 245-269. 
  31. 이정희, 최혜진 (2015). CPS모형을 활용한 협동미술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대인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교사교육연구, 54(3), 431-446. https://doi.org/10.15812/ter.54.3.201509.431 
  32. 이효림 (2016). 유아사회교육 실제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열린유아교육연구, 21(4), 401-427. https://doi.org/10.20437/KOAECE21-4-17 
  33. 임승렬, 남연정, 김정림 (2014). 유아 의사소통능력 측정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8(5), 53-77. 
  34. 임정희 (2020). 유아의 자기주도성과 친사회적 행동 신장을 위한 협동적 놀이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한국콘텐츠학회지, 18(2), 187-189. 
  35. 임현주, 최선녀 (2015). 기질(사회성) 및 가정환경과 또래와의 상호작용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5(4). 339-355. https://doi.org/10.18023/kjece.2015.35.4.015 
  36. 지숙영 (2012). 그림책을 통한 협동미술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7. 전경원 (2000). 유아 종합 창의성 검사. 학지사. 
  38. 전경원 (2004). 창의성을 중심으로 한 유아과학교육. 학문사. 
  39. 전경원, 전경남 (2010). 유아교육에서 창의성 개발 방안: 교사들에게 '행복한 창의성 교육'.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11, 27-41. 
  40. 전동석 (2000). 창의성 계발기법을 활용한 전래동화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신장에 미치는 효과. 인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1. 조여울, 권희경 (2016). 미술활동 중심의 STEM 교육이 유아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자기효능감,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아동과 권리, 20(1), 49-71. 
  42. 천미애, 황희숙 (2015). SCAMPER 기법을 활용한 창의성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가상적 내러티브 구성능력에 미치는 효과. 인지발달중재학회지, 6(3), 23-37. 
  43. 최병연, 박민희 (2004). 창의적 문제해결 모형(CPS)을 활용한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교육방법연구, 16(2), 1-28. 
  44. 최인수 (2011). 창의성의 발견. 쌤앤파커스. 
  45. 최혜원, 서현아, 박소윤 (2013). 명화감상과 연계된 확장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4), 5-29. https://doi.org/10.14698/jkcce.2013.9.4.005 
  46. 한국교육개발원 (2004). 영재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계발을 위한 교수-학습 자료개발. 한국교육개발원. 
  47. 홍미영 (2012).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한 이러닝 지원시스템 설계원리 개발연구: CPS 모형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8. 황희정, 장유진, 박천호 (2011). 창의성 기법을 적용한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인간식물환경학회지, 14(3), 155-162. 
  49. Amabile, T. M. (1996). Creativity in context: Update to The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Westview Press. 
  50. Connery, M. C., John-Steiner, V., & Marjanovic-Shane, A. (2015). 비고츠키와 창의성: 놀이, 의미 만들기, 예술에 대한 문화.역사적 접근(조현희, 정영철 옮김). 한국문화사. (원판 2010) 
  51. Doolittle, P. E. (1995. June 2-4). Understanding Cooperative Learning through Vygotsky's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Paper presentation]. Lilly National Conference on Excellence in College Teaching, Columbia, SC, United States. 
  52. Guilford, J. P. (1988). Some changes in the Structure-of-Intellect model.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48(1), 1-4. https://doi.org/10.1177/001316448804800102 
  53. Isaksen, S. G., & Dorval, K. B. (2004). CPS : 창의적 문제해결(김영채 옮김). 박영사. (원판 2000) 
  54. Jalongo, M. R. (1991). Developing learners and teachers: The school as a learning community. National Educational Service. 
  55. Johnson, D. W., & Johnson, R. T. (1994). Learning Together and Alone: Cooperative, Competitive and Individualistic Learning (4th ed.). Allyn and Bacon. 
  56. Mayer, J., & Salovey, P. (1990).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 Cognition & Personality, 9(3), 185-211. https://doi.org/10.2190/DUGG-P24E-52WK-6CDG 
  57. Osborn, A. F. (1953). Applied imagination. Scribner. 
  58. Osborn-Parnes, S. J. (1967). Creative behavior guidebook. Scribner. 
  59. Perkins, D. N. (1981). The mind's best work. Harvard University Press. 
  60. Slavin, R. E. (1995). Cooperative Learning: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Allyn & Bacon. 
  61. Stahl, R. J. (1994). The essential elements of cooperative learning in the classroom. ERIC, ED370881, 1-4. 
  62. Treffinger, D. J., Isaksen, S. G., & Dorval, K. B. (2000). Creative problem solving: An introduction (3th ed.). Prufrock Press. 
  63. Treffinger, D. J., & Isaksen, S. G. (2005). Creative problem solving: the history, development, and implications for gifted education and talent development. Gifted Child Quarterly, 49(4), 342-353. https://doi.org/10.1177/001698620504900407 
  64. Urban, K. K. (1995). On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in children. Creativity Research Journal, 4(2), 177-191. https://doi.org/10.1080/104004191095343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