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Learning Strategy, Learning Attitude, Achievement Motivation on Satisfaction of Online Extracurricular Participants

온라인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자의 학습전략, 학습태도, 성취동기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박혜진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대학교육혁신원 ) ;
  • 권영애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대학교육혁신원 )
  • Received : 2023.02.04
  • Accepted : 2023.02.22
  • Published : 2023.03.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n online extracurricular after COVID-19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learning strategy, learning attitude, and achievement motivation on satisfaction. After participating in the online extracurricular,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nd responses from 163 students were collect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study result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learning strateg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These results can be inferred that positive recognition worked in the process of actually applying the learning strategies acquired through the extracurricular to their own learning. Second, learning attitude had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The learner's learning attitude to develop necessary skills through experience and the sense of achievement experienced in the process of participating in the online extracurricular had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Third, achievement motiva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It can be inferred that the learner's active behavior by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acts as a motivation for achievement and affects satisfaction. Finally, through this study, a plan for effectively operating extracurricular in an online environment was presented.

Keywords

Ⅰ. 서론

대학생의 역량은 대학교육의 성과분석과 함께 학습성과, 직업기초능력 등 다양한 시각에서 파악되어야 하고, 대학의 교육은 교과에 대한 지식 전수는 물론 범교과적 차원에서 지식 영역을 포함하는 핵심역량을 개발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1]. 이러한 주장은 전공 교육의 변화 없이 유지되어 있어 개정이 쉽지 않고, 교양 교육은 핵심역량 개발의 한계가 주장되는 가운데 핵심역량 개발과 관련하여 화두로 등장한 것이 비교과 교육과정이다[2]. 비교과 교육과정은 정규과정에서 배우게 되는 학문적 지식과 별도로 역량 발굴, 증진을 위하여 정규 교육과정만을 이수하는 것보다 높은 교육적 효과를 얻는 것으로 선행연구[3, 4]에 의해 밝혀졌다.

비교과 교육과정은 각 대학에서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많이 불리는데, 재학 기간 중 교양이나 전공 수업 외 자기계발 교육 프로그램을 뜻하며, 학습을 포함한 개인심리 및 상담, 진로 및 취업, 기초학력증진 등 다양한 영역에서의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 비교과의 중요성이 증대되면서 최근 많은 대학에서는 비교과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체계화하는 등[5]의 시도가 계속되고 있으며, 대학의 교육 성과를 구분할 수 있는 요인으로 논의되고 있다[6].

비교과 프로그램의 중요성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교육부의 재정지원사업 등의 실적과 운영 결과 등이 성과지표로 사용됨에 따라 비교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에게 나타나는 교육적 효과 등을 검증하는 작업 등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특히, 대부분의 대학평가와 재정지원사업에서 요구하는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실적은 3년치를 기준으로 잡고 있어 참여 현황(참여자 수, 만족도 등)을 끊임없이 관리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COVID-19 출현 이후 갑작스러운 교육환경의 변화로 대학에서는 정규 수업을 정상화하기까지의 노력을 기울이는 동안 상대적으로 학점이 부여되지 않은 특징을 가지고 있는 비교과는 정상적으로 운영되기까지 상대적으로 시간이 더 많이 소요되었다.

COVID-19 이후 비교과를 주제로 연구된 주요 선행연구를 보면, 비교과 인식 연구[7, 8], 비교과 사례 연구[9], 프로그램 발전 방안 연구[10], 비교과 프로그램 인증제 연구[11-13] 등이 수행되었다. 관련 연구를 살펴보면, COVID-19 환경에서 실제 비교과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한 연구들보다는 대부분 비교과에 대한 인식과 비교과 활성화를 위한 발전 방안 등을 다루었던 연구와 비교과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인증제를 개발·적용하는 연구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COVID-19 상황에서 비교과 프로그램을 온라인으로 운영하고, 해당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습전략, 학습태도, 성취 동기를 측정하여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비교과 프로그램이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운영되는 환경적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참여자들이 인식하는 만족도는 어떠한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온라인 비교과 프로그램은 zoom, webex 등의 화상회의시스템을 활용하여 프로그램 진행자와 참여자가 면대면하지 않는 공간에서 진행된다. 또한, 학습관리시스템을 통해 온라인 콘텐츠를 활용한 비교과 프로그램도 운영된다. 즉, 비교과 프로그램을 탐색하고, 신청하고, 참여 이후 만족도를 조사하는 등 비교과 프로그램을 참여하는 전 과정이 온라인 환경에서 진행된다. 이와 같은 형태로 볼 때, 면대면 환경에서의 즉각적인 피드백, 프로그램이 운영되는 과정에서 현장의 분위기 등을 모두 경험할 수 없지만, 비교과 프로그램의 참여 자체에 대한 즐거움과 정규 수업 이외 새로운 경험의 기회를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전반적인 인식이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로 인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맥락에서 본 연구는 온라인 비교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이 COVID-19 이후로 확대되고 있는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주도적인 학습활동을 위해 필요한 학습전략과 학습태도와 성취동기의 정의적 영역이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지 탐색하였다. 이후 연구 결과를 통해 각 대학에서도 온라인으로 비교과 프로그램을 운영할 때, 고려해야 할 방안 등에 대해 제시하였다.

Ⅱ. 이론적 배경

2.1 학습전략

학습자의 학습 과정과 활동을 살펴보면, 모든 학습자가 같은 방법으로 학습을 하는 것은 아니며, 학습한 내용을 곧바로 자신의 것으로 만들거나 활용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14]. 이는 학습자들이 특정 내용을 습득하고, 받아들일 때 각기 다른 방법을 사용하고 적용한다는 것을 말한다. 특정 지식을 받아들일 때 이를 효과적으로 습득하고 활용하기 위한 기술인 학습전략은 비교적 오랜 시간에 걸쳐 발휘될 수 있으며, 다양한 학습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다. 대학생에게 있어 학습전략은 다양한 분야의 학습내용과 과정에서 얼마나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학습전략을 활용하고 있는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15]. 단순히 학습전략은 학습내용을 효과적으로 습득할 수 있게 하는 방법만이 아니라 학습에 방해가 되는 요소를 스스로 통제하고 관리할 수 있는 전략[16]도 포함되기 때문에 학습과정과 활동이 비교적 자유로운 대학에서의 학업에 필요한 방법적 기술이라고 볼 수 있다.

2.2 학습태도

학습태도는 학습자에게 주어진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교수자의 지시에 응하고 학습내용이나 과제에 주목하는 행동 등을 의미한다[17]. 이러한 학습태도는 학습을 통해 형성된 정의적인 특성으로 자기주도학습과 연관성이 있고, 학습활동을 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줄 수 있다[18]. 학습태도가 학교생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중요한 요인으로 시사되고 있다. 김정원과 김병숙[19]은 태도 자체가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반응의 경향으로 경험과 학습을 통하여 장기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성공적인 학습자의 경험은 학습태도 개선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의의를 둘 수 있다고 밝혔다. 이에 학습태도는 정의적인 특성 중 하나로 다양한 경험에 의해 발현되는 상태이며, 수업뿐만 아니라 교육환경 내에서 경험하는 모든 것들과 관계를 맺고 있는 종합적인 특성이다.

2.3 성취동기

성취동기는 도전적인 과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만족을 얻으려는 내적 의욕으로[20] 개인이 이루고 싶은 목표나 가치관에 따라 성취하려는 자기지향적 성취동기와 부모, 친구, 선생님 등 주변의 타인들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성취하려는 타인지향적 성취 동기로 구분할 수 있다[21]. 성취동기는 사회적 유능성을 위해 필요한 인지적, 정서적 능력으로 개인이 세운 목표나 기준에 대해 만족하기 위한 성취욕구를 보여줌으로써 긍정적인 정서를 경험하고, 삶에 대한 만족도 수준을 높인다[22]. 성취동기는 학교 적응이나 긍정적 정서 및 만족감을 높이는 매개변인으로 연구되어 왔는데[23], 성취동기는 사회적 적응에 중요한 역할[24]을 하고 있어 교양, 전공 등의 교육과정 이수는 물론 다양한 경험을 펼칠 수 있는 대학 환경에서 학습자의 성취동기는 교육만족도를 넘어 삶의 만족까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2.4 만족도

만족도는 학자들마다 다양하게 정의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개인의 일이나 학업의 결과로 느끼는 전반적인 인식이라고 할 수 있다. 만족도는 개인의 여가나 특정 활동의 결과에 대한 평가 요소로 활용될 수 있는데, 다양한 교육환경에서도 사용된다. 특히 원격교육이나 온라인 환경에서의 만족도는 교수-학습 환경, 교수자, 교수방법, 학습자들 간 상호작용 등이 학습과정과 연관되기 때문에 만족도를 측정하는 것은 효과성을 검증하는 동시에 질적 측면을 보완하기 위한 개선 사항을 도출하는데 유의미하게 활용될 수 있는 지표이다[25]. 만족도는 개인이 특정 활동 참여에 대한 생각과 느낌 등을 측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참여자의 관점에서 결과나 반응에 대한 주관적 인식이 작용한다. 이에 특정 프로그램이나 활동에 대해 유익하게 생각하는 것, 특정 활동으로 인해 자신의 학습이나 과업에 의욕을 고취시키는 것, 전반적으로 만족하는 것 등으로 측정된다.

Ⅲ. 연구 방법

3.1 연구 대상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습전략, 학습태도, 성취동기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COVID-19 이후 온라인으로 운영된 비교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이에 비교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163명의 응답을 수집하였다.

<표 1> 연구 대상의 일반적 특성

DGTSA8_2023_v19n1_13_t0001.png 이미지

설문에 응답한 학생들의 성별 분포는 남학생 41명(25.2%), 여학생 122명(74.8%)이며, 학년별로 3, 4학년이 각각 53명(32.5%), 2학년 31명(19.0%), 1학년 26명(16.0%) 순으로 고학년이 저학년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단과대학은 인문사회융합대학 66명(40.5%), 의료생명대학 52명(31.9%), 과학기술대학 29명(17.8%), 디자인대학 16명(9.8%)으로 나타났다.

<표 2> 변인별 정의

DGTSA8_2023_v19n1_13_t0002.png 이미지

3.2 측정 도구

본 연구에서 활용된 측정 도구는 기존의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구성하였다. 학습전략은 박락영과 최완식[26]의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틀린 과제나 시험문제를 적어두고 다시 살펴본다.’를 포함하여 3문항, 학습 태도는 ‘내 능력을 기르는 것이 즐거워서 학습한다.’를 포함하여 3문항, 성취동기는 임선아와 강성은[27]의 선행연구를 수정하여 ‘내가 좋아하는 일을 찾고 계획하는 것을 즐긴다.’ 등 2문항, 만족도는 이재은, 유병민, 박혜진[28]의 선행연구를 수정하여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자체가 유익한 활동이었다고 생각한다.’ 등 5문항의 설문 항목을 수정하여 리커트(Likert) 5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측정을 위해 선정한 각 변인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3.3 자료수집 및 분석

본 연구를 위한 자료수집은 비교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수행했으며, 응답을 완료한 163명의 자료에 한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SPSS Statistics ver.26와 AMOS를 사용하였다. 먼저, 측정 도구의 타당성 및 적합성 검정을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Cronbach's ɑ 계수를 산출하여 문항 신뢰도를 검정하였다. 다음으로 기술통계분석을 통해 각 문항에 대한 평균 및 표준편차와 왜도와 첨도 등을 파악하여 정규성을 확인하였다. 이후 상관관계분석을 통해 다중공선성 여부를 확인하고, 최종적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변인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Ⅳ. 연구 결과

4.1 기술통계분석

본 연구에서 온라인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자의 학습전략, 학습태도, 성취동기, 만족도에 관한 인식을 확인하기 위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제시하였으며, 정규성 검증을 위하여 왜도와 첨도를 <표 3>과 같이 제시하였다. Kline[29]은 왜도의 기준치를 3 이하, 첨도 기준치를 8 또는 10 이하로 제시하여 왜도와 첨도가 제시한 기준치에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의 신뢰도 계수(α)는 학습전략 .813, 학습태도 .937, 성취동기 .719, 만족도 .903으로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표 3> 기술통계 및 신뢰성 분석

DGTSA8_2023_v19n1_13_t0003.png 이미지

4.2 타당성 분석

본 연구에서 학습전략, 학습태도, 성취동기, 만족도에 대한 측정모형의 적합도는 Chi-square=198.556(ρ<.001)으로 나타났으며, RMR=.020, CFI=.929, IFI=.930, TLI=.910으로 나타나 수용 수준에 해당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개념신뢰도(Construct reliability: CR)는 .965~.989으로 수용 기준 .7 이상이며, 평균분산추출(Average Variance Extracted; AVE)은 .931~.957로 수용 기준 .5 이상이므로 타당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30].

<표 5>의 학습전략, 학습태도, 성취동기, 만족도 간의 상관관계분석을 시행한 결과, 학습전략은 학습 태도(r=.707, p<.001), 성취동기(r=.410, p<.001), 만족도(r=.614, p<.001)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학습태도는 성취동기(r=.561, p<.001), 만족도(r=.733, p<.001)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성취동기는 만족도(r=.542, p<.001)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표 4> 타당성 분석

DGTSA8_2023_v19n1_13_t0004.png 이미지

<표 5> 상관관계분석 결과

DGTSA8_2023_v19n1_13_t0005.png 이미지

**. 상관관계가 0.01 수준에서 유의합니다(양측).

4.3 다중회귀분석

온라인 비교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들의 학습전략, 학습태도, 성취동기와 만족도 간의 영향 관계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AMOS 26을 활용하였다. 연구 표본을 활용하여 연구 모형의 경로계수를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에서 제시한 t값은 변인 간의 경로에 대한 유의 기준으로 하며, 이를 기반으로 지지와 기각을 판단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 모형의 R2값은 76.2%로 나타났으며, 학습전략, 학습태도, 성취동기, 만족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한 경로는 학습전략 → 만족도(.143), 학습태도 → 만족도(.359), 성취동기 → 만족도(.194)에서 모두 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DGTSA8_2023_v19n1_13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최종 모델

Ⅴ. 결론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비교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학습전략, 학습태도, 성취동기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전략은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습자의 학습전략이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의 요인이 된다는 이석렬, 가수정[31]의 연구와도 일치한다. 온라인 비교과 프로그램은 대학에서 학습에 필요한 다양한 지식, 기술, 태도 등을 함양하는 데 도움이 되는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K 대학에서 운영하는 온라인 비교과 프로그램 중 학습워크숍은 시간관리, 노트필기, 집중력 향상 등 다양한 학습전략을 안내해 주고, 실제 학습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일회성이 아닌 시리즈로 운영하고 있다. 이에 학습워크숍을 통해 습득한 학습전략을 자신의 학습활동에 실제로 적용해보는 과정에서 자신이 경험한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이 작용한다고 할 수 있다.

둘째, 학습태도는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습태도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교육적 성과를 제시한 차승봉, 남민우[32]의 선행연구와도 일치한다. 학습자가 경험을 통해 특정 영역에서 필요한 능력을 기르고 지속적으로 흥미로운 것을 습득하고자 하는 학습태도와 온라인 비교과 프로그램을 자발적으로 신청하여 활동에 참여하고, 최종적으로 이수하는 과정에서 경험할 수 있는 성취감 등이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온라인 교육에서의 만족도는 프로그램이 내실있게 구성되어야 한다[33]. 이에 각 대학에서는 교양이나 전공 등 정규 교육과정에서 채워줄 수 없는 활동을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개발하여 다양한 경험을 통해 도전하고, 긍정적인 학습태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여러 영역의 프로그램을 제공해 주어야 한다.

셋째, 성취동기는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취동기는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찾고 계획하는 것을 즐기는 것으로 본 연구의 대상자는 온라인 비교과 프로그램을 스스로 찾아보고, 자신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 프로그램을 신청, 참여하는 등의 경험을 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은 자신의 행동에 대해 성찰하고, 긍정적이었던 경험을 되새기게 된다. 즉, 학습자 스스로가 즐길 수 있는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적극적으로 활동하는 등의 행동이 성취동기로 작용하여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분석은 성취동기가 증가할수록 만족도에 긍정적인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34]의 결과처럼 성취동기는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온라인으로 운영한 비교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을 대상으로 학습전략, 학습태도, 성취동기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대상은 온라인으로 운영한 비교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설문 응답을 한정적으로 분석하였다. 이에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실제 비교과 프로그램이 온라인 혹은 오프라인 등 운영 형태별로 참여 학생들의 학습전략, 학습태도, 성취동기, 만족도 등에 차이가 있는지 등을 비교 분석하는 등의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는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한정하여 분석하였다. 이에 비교과 프로그램의 참여를 통해 만족도라는 반응평가에 치우친 분석을 넘어 다양한 온라인 비교과 프로그램별 사전-사후 효과성 검증,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역량 향상도 측정 등의 성과를 탐색할 필요가 있다.

셋째, 비교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환경적 특성, 개별 프로그램들의 목적 등을 고려하여 학생들의 참여도와 몰입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즉, 특정 학습전략을 구현하기 위해 정보나 절차 등을 반복적으로 확인하고, 학습과정에 적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프로그램은 온라인으로 운영하여 보다 많은 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독려할 필요가 있다. 반면, 학습에 대한 구체적인 코칭, 진로 및 취업 등을 위한 진로 클리닉 등의 경우, 운영자와 참여하는 학생이 오프라인 환경에서 진행하여 밀착 지원을 할 필요가 있다. COVID-19 이후 온라인으로 운영하는 교육과정에 유연성이 생기는 것을 감안할 때, 비교과 프로그램도 특성에 맞춰 적용하고, 결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등의 연구가 요구된다.

References

  1. 김수동.권양이, "미국과 일본 대학의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비교 분석: 대학교육 및 평생학습에의 시사점," 한국일본교육학연구, 제20권, 제1호, 2015, pp.21-43.
  2. 김연, "비교과 프로그램 경험에 따른 비교과 프로그램 요구 차이 분석: K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인문사회21, 제13권, 제4호, 2022, pp.561-574. https://doi.org/10.22143/HSS21.13.4.40
  3. 양근우, 대학 비교과 교육과정 관리 및 인증시스템 U-CAAM의 구축 및 운영," 정보시스템연구, 제24권, 제3호, 2015, pp.115-131. https://doi.org/10.5859/KAIS.2015.24.3.115
  4. 이보영.김은정.유광수.이원경.장수철, "쌍방향(In/out Bound) 국제화를 지향한 대학의 교육 실태와 비교과과정에 관한 연구," 교양교육연구, 제6권, 제4호, 2012, pp.463-492.
  5. 김수연.이명관, "대학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 인식 및 수요조사를 통한 운영방향성 제고,"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6권, 제9호, 2016, pp.585-609.
  6. 배상훈.김혜정, "대학생의 학습참여(Student Engagement) 측정 모델의 타당성 검증," 교육행정학연구, 제30권, 제1호, 2012, pp.499-523.
  7. 윤지원.김시정.박미라, "IPA를 활용한 교수자의 교과 연계 비교과 교육 인식," 인문사회 21, 제13권, 제6호, 2022, pp.3333-3348. https://doi.org/10.22143/HSS21.13.6.230
  8. 김윤희.진재섭,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베트남 유학생의 인식 연구," 인문사회21, 제13권, 제5호, 2022, pp.3693-3704. https://doi.org/10.22143/HSS21.13.5.256
  9. 강연임, "교과-비교과 활동을 연계한 글쓰기 수업 사례와 교육 효과," 인문학연구, 제61권, 제4호, 2022, pp.5-28. https://doi.org/10.46346/tjhs.129..1
  10. 나은영, "전남 지역 대학의 CTL 글쓰기 프로그램 현황과 발전 방안: 참여 학생들의 설문 조사 분석을 중심으로," 인문사회21, 제13권, 제6호, 2022, pp.3207-3218. https://doi.org/10.22143/HSS21.13.6.221
  11. 하유경, 오지영, "대학의 비교과 프로그램 인증모형 개발 연구: D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문화와 융합, 제44권, 제12호, 2022, pp.233-248. https://doi.org/10.33645/cnc.2022.12.44.12.233
  12. 박지회.최화숙.이솔비, "대학 비교과 프로그램인증제 개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0권, 제18호, 2020, pp.1383-1402.
  13. 오미자.박수미, "대학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인증 지표 설계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 연구, 제20권, 제8호, 2020, pp.81-102.
  14. 이혜정.성은모, "대학교육에서 대학생 중심의 교수설계를 위한 최우수 학습자의 학습특성 및 학습전략 탐색," 교육공학연구, 제27권, 제1호, 2011, pp.1-35. https://doi.org/10.17232/KSET.27.1.1
  15. 박혜진, 차승봉, "대학에서 학습자의 학습전략 활용 사례 연구," 문화와융합, 제42권, 제2호, 2020, pp.207-226.
  16. 유지현, "학업적 정서조절 척도개발 및 학업적 정서조절, 학습전략,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의 관계모형,"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17. 허인숙.유준상, "친사회적 행동과 학습태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교육심리연구, 제18권, 제4호, 2004, pp.217-232.
  18. 권재현.윤선영, "성인학습자들의 학습태도가 평생학습 참여 및 학습의 사회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평생교육학연구, 제15권, 제3호, 2009, pp.85-110.
  19. 김정원.김병숙, "학생이 지각한 교사특성과 학문적 자아개념 및 학습태도와의 관계," 유아교육, 제13권, 제2호, 2004, pp.253-262.
  20. McClelland, D. C., Human motivation, Glenview, IL: Scott, Foresman, 1985.
  21. 김의철.박영신, "한국인의 성공의식과 귀인양식: 토착심리학적 접근," 교육심리연구, 제12권, 제2호, 1998, pp.51-84.
  22. 성주희.홍혜영, "대학생의 완벽주의 성향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성취동기의 매개효과 검증," 상담학연구, 제13권, 제1호, 2012, pp.325-340. https://doi.org/10.15703/KJC.13.1.201202.325
  23. Carver, C. S., & Scheier, M. F., Optimism, In Snyder, C. R., & Lopez, S. J. (Ed),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24. Fyans, Jr., Salili, F., Maehr, M, L., & Desai, K. A., "A cross-culturual exploration into the meaning of achieve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44, No. 5, 1983, pp.1000-1013. https://doi.org/10.1037/0022-3514.44.5.1000
  25. 권영애.박혜진, "모바일러닝 시스템 품질과 학습몰입 및 만족도 간의 관계 탐색," 디지털산업정보학회 논문지, 제16권, 제4호, 2020, pp.111-121.
  26. 박락영.최완식, "이러닝 학습자의 학습전략 분석을 위한 측정도구 개발," 한국기술교육학회지, 제8권, 제2호, 2008, pp.103-124.
  27. 임선아.강성은, "성취동기 측정도구의 개발 및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제27권, 제3호, 2013, pp.575-593.
  28. 이재은.유병민.박혜진, "원격교육에서 성인학습자의 교육참여동기와 실재감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농촌지도와개발, 제22권, 제2호, 2015, pp.233-243. https://doi.org/10.12653/JECD.2015.22.2.0233
  29. Kline, T. J. "Psychological testing: A practical approach to design and evaluation," Sage Publications, 2005.
  30. Hair, E., Halle, T., Terry-Humen, E., Lavelle, B., & Calkins, J. "Children's school readiness in the ECLS-K: Predictions to academic, health, and social outcomes in first grade,"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Vol. 21, No. 4, 2006, pp.431-454. https://doi.org/10.1016/j.ecresq.2006.09.005
  31. 이석열.가수정, "대학생의 학습전략 분석과 수업 만족도의 관계,"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제6권, 제8호, 2016, pp.291-299. https://doi.org/10.35873/AJMAHS.2016.6.8.029
  32. 차승봉.남민우, "현장실습중심 농업교육프로그램의 교육내용적 특성, 학습태도, 만족도 간의 구조 관계 분석," 농촌지도와 개발, 제22권, 제4호, 2015, pp.435-444. https://doi.org/10.12653/jecd.2015.22.4.0435
  33. 김효정, "코로나19로 인한 원격 교육에서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사용용이성, 자기효능감, 우울이 대학생들의 학습만족도와 학업 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제18권, 제1호, 2022, pp.79-91. https://doi.org/10.17662/KSDIM.2022.18.1.079
  34. 황윤정.이재욱, "정서장애학교교사의 성취동기와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동서정신과학, 제9권, 2호, 2006, pp.45-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