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or Improving Quality of Classes in Liberal Arts Programming Classes Analysis of role of Instructor and Learning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교양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수업의 질적 개선을 위한교수자의 역할과 학습 성취도 및 만족도 분석

  • 김현아 (경기대학교 진성애교양대학 교양학부)
  • Received : 2023.03.30
  • Accepted : 2023.05.08
  • Published : 2023.05.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quality of classes by analyzing the role and learning achievement of instructors in programming subjects for non-major students.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universities provide various programs to strengthen the teaching capacity of instructors. Ultimately,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classes, instructors increase student participation in classes, respond sincerely to students' inquiries, and provide feedback that can assist students in various situations that occur during class and learning, thereby improving class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should try to improve. In this paper, based on the teaching method, learning achievement, and teacher role satisfaction survey conducted in the liberal arts programming course of K University, we study the influence of the teacher's role on the quality improvement of the class. Examine the relationship with satisfaction.

본 논문에서는, K대학의 교양 프로그래밍 강좌에서 실시한 교수법, 학습 성취도, 교수자 역할 만족도 설문을 기반으로 교수자의 역할이 수업의 질적 개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며 교수자의 역할 분석을 통해 학생들의 학습 성취도에 대한 만족도와의 관계에 대하여 연구한다. 비전공자를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래밍 교과목에서 교수자의 역할과 학습 성취도를 분석하여 수업의 질적 개선을 도모하고자 한다. 대학 교육의 질적 개선을 위해 대학에서는 교수자들의 교수 역량 강화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궁극적으로 수업의 질적 개선을 위해 교수자들은 학생들의 수업 참여도를 증진시키고 학생들의 질의에 성실한 대응을 하며 학생들의 수업 중 발생 하는 여러 상황 및 학습을 조력할 수 있는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수업의 만족도 및 성취도를 향상 시키도록 노력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K대학의 교양 프로그래밍 강좌에서 실시한 교수법, 학습 성취도, 교수자 역할 만족도 설문을 기반으로 교수자의 역할이 수업의 질적 개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며 교수자의 역할 분석을 통해 학생들의 학습 성취도에 대한만족도와의 관계를 검중한다.

Keywords

References

  1. B. K. Park, "Development of design thiking based teaching-learning model for fostering creative thinking in prospective teachers", 2022 Conference of KISM, pp. 187-188, 2022.
  2. E. K. Suh, E. H. Chon, and H. J. Jung, "Development of Lectoure to increase Under graduate Students' Creative Competency based on Design Thinking",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 16, No. 4, pp. 693-718, 2016. DOI: https://doi.org/10.22251/jlcci
  3. S. Y. Yang, Y. S. Park, M. S. Jung, H. A. Ahn, and K. Y. Kim, "The Effects of Learning Community on College Students' Core Competency and Learning Competency," Vol.18, No.9, pp.141-164, 2018. https://doi.org/10.22251/jlcci.2018.18.9.141
  4. H.S. Park. "Cognitive Factors in Adaptive Information Access,"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Vol. 6, No. 4, pp. 309-316, 2018. DOI https://doi.org/10.17703//IJACT2018.6.4.309
  5. K. H. Kim,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Teaching-Friendly Learning Activities on Adaptation to College Life,"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Vol.8, No.6, pp.397-404, 2022.
  6. Cho, M. Y., & Park, E. J. (2022). The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Oriented Teaching Methods by Subject on the Communication and ProblemꠓSolving Abil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8(6), 9-22. DOI : https://10.17703/JCCT.2022.8.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