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1960년대 보존원칙의 수립과 변화의 연구 - 남대문수리공사와 석굴암수리공사에서 원상, 원형, 복원 용어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and Change of Conservation Principles in the 1960s - Focus on the Terms of Historic State, Historic Form, and Restoration at Namdaemun and Seokguram Repair

  • 투고 : 2022.09.28
  • 심사 : 2023.02.28
  • 발행 : 2023.04.30

초록

This article focuses on the Namdaemum repair and the Seokguram restoration, which had begun in 1961, as an important repair conducted during the time of seeking the conservation principle of architectural heritage after liberation in Korea.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rinciples described in the repair report issued after the two repairs, meeting records, and related expert announcements, it is shown that the principle of 'preservation of the historic state' had been established at Namdaemun repair and later have changed to the principle of 'restoration of the historic form' which means reconstruction in Seokguram restoration. By analyzing the minutes of the Cultural Heritage Committee's meeting on the repair of other cultural properties during this period, it is revealed that the key terms related to the preservation principle, 'historic form' and 'restoration', were given meaning as 'object' and 'method' of preservation, and then 'restoration of the historic form' has been gradually used as a conservation principle.

키워드

과제정보

이 논문은 2022년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22S1A5B5A16050616)

참고문헌

  1. 서울특별시교육위원회, 「서울남대문수리보고서」, 1966
  2. 문화재관리국, 「석굴암수리공사보고서」, 1967
  3. 국립박물관, 「무위사극락전 수리공사 보고서」, 1958
  4. 이수정, 「문화유산 보존원칙 수립을 위한 가치의 정의 및 방법론」, 「문화재」, 국립문화재연구소, 2011, vol.44
  5. 이수정 「문화재 보존에 있어서 진정성 개념의 속성과 변화 고찰」, 「문화재」, 국립문화재연구소, 2012, vol.45
  6. 이수정, 「한국의 문화재 보존 관리에 있어 원형개념의 유입과 원형유지원칙의 성립 및 발달과정」, 「문화재」, 국립문화재연구소, 2016, vol. 49
  7. 이수정, 「문화재 보존철학과 보존윤리의 필요성과 과제」, 「보존과학회지」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18, vol.34
  8. 강현, 「한국의 건축문화재 보존원칙 재고- 목조건축수리공사 관련 국제적 원칙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건축역사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한국건축역사학회, 2017
  9. 강현, 「건축문화재의 원형(原形) 개념과 보존의 관계- 한국 목조건축문화재 수리 역사의 비판적 검토를 중심으로」, 「문화재」, 국립문화재연구소, 2016, vol. 49
  10. 정승진, 「동아시아의 건축보전에서 "원형의 진정성" 개념에 재고의 필요성」, 「아시아연구」, 한국아시아학회, 2004-06 7(1)
  11. 윤무병, 「남대문 해체부재에 대한 조사 보고 개요」, 「미술자료」, 국립박물관, 1961
  12. 김정기, 「남대문통신」, 「고고미술」, 1962
  13. 신영훈, 「쌍봉사 통신」, 「고고미술」, 1963
  14. 최용완, 「남대문 해체후 발견된 묵서」, 「미술자료」, 국립박물관, 1963, vol.4
  15. 최용완, 「서울 남대문공사를 참관하고」, 「건축」, 대한 건축학회, 1963, vol.7
  16. 안병욱, 「남대문 중수공사를 마치고」, 「신세계,」 1963(7)
  17. 신영훈, 「서울 남대문 지붕의 변천」, 「고고미술」, 1965, vol.6
  18. 나주시, 「나주향교 대성전 수리보고서」, 2008
  19. 문화재위원회 회의록(1952년 12월19일부터 1959년 10월 21일까지)」. 문화재관리국, 1992
  20. 문화재관리국, 「문화재」, 부록-문화재위원회회의록, 1965
  21. 문화재관리국, 「문화재」, 부록-문화재위원회회의록, 1966
  22. 문화재관리국, 「문화재」, 부록-문화재위원회회의록, 1967
  23. 문화재관리국, 「문화재」, 부록-문화재위원회회의록, 1971
  24. 문화재관리국, 「문화재」, 부록-문화재위원회회의록, 1972
  25. 1963.1.29. 문화재위원회 제1분과위원회 제1차회의. 국가기록원
  26. 1963.8.14 문화재위원회 제1분과위원회 제11차회의. 국가기록원
  27. 1963.10.12 문화재위원회 제1분과위원회 제16차회의. 국가가록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