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Vascular Plants in the Stone Retaining Wall of Gudeuljang Paddy Fields in Cheongsan-Island

청산도 구들장논 석축(石築)의 관속식물 특성 연구

  • Cha, Doo-Won (Dept. of Biological and Environmental, Graduate School, Dongguk University) ;
  • Kim, Ji-Yeon (Gildong Ecological Park)
  • 차두원 (동국대학교 대학원 바이오환경과학과) ;
  • 김지연 (길동생태공원)
  • Received : 2023.02.01
  • Accepted : 2023.03.17
  • Published : 2023.03.31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as basic data for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plant diversity in the Gudeuljang paddy fields stone retaining wall of Cheongsan-island by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vascular plants targeting Gudeuljang paddy fields stone retaining wall in Cheongsan-island. The total vascular plants of the Gudeuljang paddy fields stone retaining wall in Cheongsan-island have been identified with a total of 184 taxa of 60 families, 142 genera, 170 species, 5 subspecies, 9 varieties. Rare plants were 1 taxa, Korea endemic plants were 2 taxa,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were 28 taxa, rock vegetation was 20 taxa, and invasive alien plants were 25 taxa. Among them, Selliguea hastata (Thunb.) Fraser-Jenk., a rare plants, has been identified as a small number of individuals in the Gudeuljang paddy fields stone retaining wall in Buheung-ri and Cheonggye-ri, but it is necessary to conservation the habitat because there is a concern that the species and population will decrease due to damage and neglect of the Gudeuljang paddy fields stone retaining wall.

본 연구는 청산도 구들장논 석축을 대상으로 관속식물 특성을 파악하여 향후 청산도 구들장논 석축의 식물다양성 보존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수행되었다. 청산도 구들장논 석축의 전체 관속식물은 60과 142속 170종 5아종 9변종 총 184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희귀식물은 1분류군, 한국특산식물은 2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28분류군, 암벽식생은 20분류군, 침입외래식물은 25분류군이었다. 이 중 희귀식물인 고란초는 부흥리, 청계리 구들장논 석축에서 소수 개체로 확인되었으나 구들장논 석축 훼손, 방치로 인해 종·개체수 감소가 우려되므로 생육지 보존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농촌진흥청(2022). 농업기술길잡이 우리가 알아야 할 농업유산. 진한엠앤비.
  2. 조영재, 유학열, 윤원근, 최식인, 이영옥(2012). 청산도 구들장논의 분포와 물리적 구조에 관한 연구. 농촌계획. 18(3): 103-110.
  3. 완도군(2014). 국가중요농업유산 제1호 청산도 구들장논 종합계획 및 지표자원 조사.
  4. 신재열, 김장수, 고병천, 홍영민(2020). 청산도 구들장논의 수원 및 수리 체계.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6(2): 89-100.
  5. 김영모(2017). 알기 쉬운 전통조경 시설사전. 동녘.
  6. 장익식, 최기수(2010). 전통조경공간 석축기법 해석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0(1): 146-149.
  7. 장익식(2010). 전통조경공간 석축기법 해석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조경학석사학위논문.
  8. 노재현, 오현경, 최영현, 김영숙(2014). 제주 정의읍성 벽면식생에 근거한 벽면식재용 식물 선정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조경학회지. 42(2): 33-40. https://doi.org/10.9715/KILA.2014.42.2.033
  9. 정광중, 강성기(2020). 제주 돌문화경관 연구. 한그루.
  10. 차두원, 최동석, 김지석(2021). 남한산성 성벽의 관속식물 특성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9(1): 20-30. https://doi.org/10.14700/KITLA.2021.39.1.020
  11. 한국농어촌공사 지역개발지원단(2020). 2020년 세계중요농업유산 구들장논 모니터링 연구용역.
  12. 완도군(2021). 완도군 통계연보.
  13. 조양훈, 김종환, 박수현(2016). 벼과.사초과 생태도감. 지오북.
  14. 김진석, 김중환, 김종현(2018). 한국의 들꽃. 돌베개.
  15. 이창숙, 이강협(2018). 한국의 양치식물. 지오북.
  16. 김태영, 김진석(2021). 한국의 나무. 돌베개.
  17. 국립수목원(2022). 국가표준식물목록.
  18. 김철환, 문명옥, 안진갑, 황인천, 이승혁, 최승세, 이중효, 범현민, 김철구, 차진열(2018). 한국산 최신 식물구계학적 특정종. 국립생태원.
  19. 이창복(2003).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20. 김종원(2013). 한국식물생태보감. 자연과생태.
  21. 이정윤, 박정원, 명현호, 김하송(2007). 시간경과에 따른 청산도 식물상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연구. 19(2): 179-203.
  22. 오현경, 한윤희, 최송현(2011). 문경 봉암사 일대의 식물상 유형별 분류 및 보전관리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5(4): 447-469.
  23. 김종원, 이율경(2006). 식물사회학적 식생 조사와 평가 방법. 월드사이언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