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LDA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국내 치유시설과 치유프로그램 연구 동향

Research Trends in Korean Healing Facilities and Healing Programs Using LDA Topic Modeling

  • 이주홍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조경.환경계획학과) ;
  • 이경진 (공주대학교 조경학과) ;
  • 성정한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조경.환경계획학과)
  • Lee, Ju-Ho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 Environmental Planning, Graduate School of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Lee, Kyung-Ji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Sung, Jung-Ha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 Environmental Planning, Graduate School of Kongju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23.05.09
  • 심사 : 2023.05.30
  • 발행 : 2023.06.30

초록

국내 치유 연구는 치유에 대한 사회적 관심 증가와 함께 최근 20년 동안 발전해왔다. 치유를 연구하는 분야는 다양하며, 법제화된 자연-기반(natural-based) 치유를 포함한다. 본 연구에서는 KCI와 RISS에 게재된 2,202편의 학술지, 석·박사학위논문 초록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LDA 토픽모델링을 활용하여 연구의 주제를 분류하였고, 시계열적 논문 발행 추이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국내 치유 연구의 주제가 5개의 유형과 4개의 매개어로 연결되었음을 규명하였다. 5개의 연구 유형은 "치유관광", "마음·예술치유", "산림치유", "치유공간", "청소년회복치유"였고, 4개의 매개 단어는 "산림", "자연", "문화", "교육"이었다. 또한 국내 치유 연구에서 법제화된 치유 연구만 추출하여 토픽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법제화된 치유 연구의 주제 유형이 4개로 분류되었다. 4개의 연구 유형은 "공간환경계획치유", "치유요법실험", "농업교육체험치유", "치유관광요인"이었다. 법제화된 치유에서 연구의 양이 가장 많은 산림치유, 식물을 매개로 유사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치유농업과 정원치유, 해양자원을 활용하는 해양치유의 연구 토픽 또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개별 치유 연구만의 독특한 특성을 보여주는 토픽과 모든 치유 연구에서 범용되는 것으로 생각되는 토픽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텍스트마이닝의 LDA 토픽모델링을 활용하여 국내 치유시설과 치유프로그램 연구의 전반적 경향을 파악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Korean healing research has developed over the past 20 years along with the growing social interest in healing. The field of healing research is diverse and includes legislated natural-based healing. In this study, abstracts of 2,202 academic journals, master's, and doctoral dissertations published in KCI and RIS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s for the research method, LDA topic modeling used to classify research topics, and time-series publication trends were examin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identified that the topic of Korean healing research was connected with 5 types and 4 mediators. The five were "Healing Tourism," "Mind and Art Healing," "Forest Therapy," "Healing Space," and "Youth Restoration and Healing," and the four mediators were "Forest," "Nature," "Culture", and "Education". In addition, only legalized healing studies extracted from Korean healing research and the topics were analyzed. As a result, legalized healing research classified into four. The four types were "Healing Spatial Environment Plan", "Healing Therapy Experiment", "Agricultural Education Experiential Healing", and "Healing Tourism Factor". Forest Therapy, which has the largest amount of research in legalized healing, Agro Healing and Garden Healing which operate similar programs through plants, and Marine Healing using marine resources also analyzed. As a result, topics that show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healing studies and topics that are considered universal in all healing studies deriv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dentified the overall trend of research on Korean healing facilities and programs by utilizing LDA topic modeling.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예지, 서정원, 김성학(2018) 산림복지시설 이용객의 산촌관광 선호 행태 분석. 한국산림휴양학회지 22(1): 35-47.  https://doi.org/10.34272/FOREST.2018.22.1.004
  2. 김민선, 박인실(2020) 학업중단 청소년의 예술치유과정에 관한 근거이론연구: 신체활동을 수반한 문화예술교육을 중심으로. 문화예술교육연구 15(4): 127-149.  https://doi.org/10.15815/KJCAES.2020.15.4.127
  3. 김정숙(2022) LDA 토픽모델링 기반 프랑스어교육 연구 동향 및 토픽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3): 47-58. 
  4. 김종수(2021) MBSR에 사용된 '마음챙김'의 치유기제적위상과 초기불교경전적 기반 연구. 동아시아불교문화 46: 469-500. 
  5. 김진옥, 김남조(2019) 자연기반 치유프로그램에 참여한 관광객의 마음챙김(mindfulness), 치유회복환경지각, 주의회복, 삶의 질의 관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관광학연구 43(2): 55-78.  https://doi.org/10.17086/JTS.2019.43.2.55.78
  6. 김진옥, 이충기(2017) 한국형 치유관광의 개념모델 정립 및 치유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 자연기반 아웃도어레크리에이션 참여자를 중심으로. 관광연구저널 31(5): 5-21.  https://doi.org/10.21298/IJTHR.2017.05.31.5.5
  7. 문수희, 이상덕, 이동현(2022)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치유농업 의미연결망 변화에 관한 연구 -치유농업법 제정 전후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3(12): 780-792.  https://doi.org/10.5762/KAIS.2022.23.12.780
  8. 민경민, 연평식, 김진건(2022) 대상별, 질환별 산림치유 프로그램 주제범위 문헌고찰 -국내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산림휴양학회지 26(3): 11-26.  https://doi.org/10.34272/FOREST.2022.26.3.002
  9. 민제호, 김지인(2019) 치유관광 정책사업 성공요인의 우선순위 분석 연구. 인문사회 21 10(1): 1473-1486.  https://doi.org/10.22143/HSS21.10.1.103
  10. 박경렬, 남아란(2020)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해양치유정책 프레임 구조 분석: 언론과 학술논문 비교․분석. 관광레저연구 32(11): 407-425.  https://doi.org/10.31336/JTLR.2020.11.32.11.407
  11. 박미옥, 진혜영, 서주영, 이성준, 구본학(2022) 비의료적 치유수단으로서 정원활동의 치유 효과.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8(1): 35-42.  https://doi.org/10.22849/JKIGD.2022.8.1.004
  12. 박재민, 김용환, 성종상, 이상석(2021) 토픽모델링과 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국내 조경 분야 연구 동향 분석 -한국조경학회지를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지 49(2): 17-26.  https://doi.org/10.9715/KILA.2021.49.2.017
  13. 박천보, 최준성(2021) 산림치유 시설의 운영 및 치유 프로그램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2(2): 468-474.  https://doi.org/10.5762/KAIS.2021.22.2.468
  14. 송인준, 이가영, 송초롱(2022)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한 국내연구의 동향 분석. 한국산림과학회지 111(4): 651-666.  https://doi.org/10.14578/JKFS.2022.111.4.651
  15. 신원섭, 윤영균, 연평식, 박범진, 이주영, 송초롱(2022) 쉽게 읽는 산림치유. 산림청.
  16. 신중일(2022) 국내 해양치유 프로그램에 대한 동향분석.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14(1): 53-62. 
  17. 안득수(2015) 정신병원 치유정원의 음경관 디자인을 위한 소리효과 분석 -심리적 및 생리적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43(1): 82-95.  https://doi.org/10.9715/KILA.2015.43.1.082
  18. 오가영, 강원국(2021) 치료도우미견을 매개로 한 치유농업 프로그램이 농촌 지역 저소득층 아동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문화와융합 43(7): 731-750. 
  19. 유은하, 김재순, 정순진, 강용구, 권혜림(2021) 국내 치유농장의 운영 프로그램 분석 -치유농업 육성 시범사업 참여 농가를 중심으로-. 휴양및경관연구 15(3): 1-12.  https://doi.org/10.51549/JORAL.2021.15.3.001
  20. 이한석, 강영훈, 성해민(2020) 해양치유시설 계획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지 44(1): 20-31.  https://doi.org/10.5394/KINPR.2020.44.1.20
  21. 임백거(2015) 현대적 불교문화체험으로서의 템플스테이 명상 경험과 청소년 참여자들의 정신건강에 대한 연구. 동아시아불교문화 21: 31-69. 
  22. 장혜윤(2022) 문화예술치유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공공정책연구(구 법정리뷰) 39(1): 111-137.  https://doi.org/10.33471/ILA.39.1.5
  23. 조정실, 정제영, 정예화(2022) 학교폭력 피해학생 치유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열린교육연구 30(2): 19-38. 
  24. 최성철, 박한우(2020) 토픽모델링 연구동향 분석: 공학과 사회과학 분야 KCI 등재지를 중심으로.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2(2): 815-826.  https://doi.org/10.37727/jkdas.2020.22.2.815
  25. 최정란, 정공수(2011)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요양병원 입원환자의 심리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휴양및경관연구 5(2): 43-47. 
  26. 최환호, 이지현, 정은양, 백지은, 성시윤(2022) 해양치유 프로그램의 우울 완화 효과: '코로나블루' 극복 치유관광으로 해양치유프로그램 제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3(2): 704-712.  https://doi.org/10.5762/KAIS.2022.23.2.704
  27. Blei, D. M., A. Y. Ng and M. I. Jordan(2003) Latent Dirichlet allocation. Journal of Machine Learning Research 3(Jan): 993-1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