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dustrial Path Changes in Shipbuilding Cities: Focusing on the Decline of the Shipbuilding Industry Since 2010s

조선업 특화 도시의 산업 경로 변화: 2010년대 이후 조선업 불황을 중심으로

  • Byeungok Ko (Department of Geograph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Yangmi Koo (Department of Geography,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Institute for Korean Regional Studies, SNU, SNU Institute on Aging)
  • 고병옥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 ;
  • 구양미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서울대학교 국토문제연구소, 서울대학교 노화.고령사회연구소 )
  • Received : 2023.06.15
  • Published : 2023.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dustrial structural changes and types of specialized in the shipbuilding cities, which are representative sectors of industrial city decline, and explore regional responses. Most cities designated as special areas for industrial crisis response in 2018 are specialized in shipbuilding. While the shift from prosperity to recession since the 2010s is the main factor, each city has responded differently to the industrial crisis. The analysis, targeting seven shipbuilding cities, shows that regions where large shipyards of major corporations with high industrial competitiveness are located have relatively less decline during business fluctuations, and there is a tendency for a decrease in industrial structural diversity during prosperous periods and an increase during recessionary periods. Based on the resistance and recoverability to industrial crises, the industrial paths of shipbuilding cities a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Considering regional industrial structure and competitiveness, it is necessary to develop customized support strategies such as maintaining and declining shipbuilding industries and fostering new alternative industries.

본 연구의 목적은 산업도시 쇠퇴의 대표적 업종 중 하나인 조선업 특화 도시들의 산업구조 변화 및 유형을 분석하고 지역별 대응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2018년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으로 지정된 도시의 대부분이 조선업에 특화되어 있는데, 이것은 2010년대 이후 호황에서 불황으로 전환되는 경기변동이 주된 요인이지만 도시마다 산업위기에 대응하는 방식은 상이하였다. 조선업 특화 도시 7곳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조선업의 경기변동은 산업경쟁력이 높은 대기업 조선소가 입지한 지역들이 상대적으로 덜 쇠퇴하였고, 호황기에는 산업구조의 다양성이 감소하고 불황기에는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산업위기에 대한 저항력과 회복력으로 조선업 특화 도시의 산업 경로를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지역별 산업구조 및 경쟁력을 고려하여 조선업의 유지와 쇠퇴, 새로운 대안 산업의 육성 등 맞춤형 지원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0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20S1A5A2A01041269).

References

  1. 관계부처합동, 2021, 세계일등 조선 강국 실현을 위한 K-조선 재도약 전략, 2021. 9. 9.
  2. 김기완.김형태, 2017, 지역산업구조 재편의 영향과 전략, KDI.
  3. 김영훈, 2020, "국내 중형.중소조선 산업생태계 및 경쟁력 회복방안,"
  4. 김우성, 2015, 조선산업의 주도권 변동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형보.박동현, 2011, "특화산업전략구축을 위한 산업구조의 특성과 변화 비교연구," GRI 연구논총 13(2), pp.133-150.
  6. 류수열.최기홍.윤성민, 2013, "산업구조 다양성이 지역경제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지역사회연구 21(1), pp.73-94. https://doi.org/10.22921/JRS.2013.21.1.004
  7. 류수열.윤성민, 2007, "광역경제권의 산업구조 다양성과 실업률," 지역연구 23(3), pp.27-43.
  8. 박경환.권상철.이재열(역), 2021, 경제지리학개론, 사회평론아카데미(= MacKinnon, D. and Cumbers, A.(eds.), 2007, An introduction to economic geography: globalization, uneven development and place, Pearson Education.
  9. 박승규.김도형, 2018, 조선업 침체에 따른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10. 박진호.김영순.이진우.송부용, 2019, "전통산업도시의 과제와 리빌딩 방향: 한국판 러스트벨트, 동남권 산업도시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경제연구 44, pp.53-84. https://doi.org/10.34282/krea.2019.17.3.3
  11. 박진희, 2016, 최근 조선업 고용변동 추이, 고용동향 브리프, 한국고용정보원.
  12. 배규식, 2016, "조선산업의 구조적 위기 어떻게 대응해야 하나," 월간 노동리뷰, 2016. 10., pp.9-21.
  13. 산업연구원 ISTANS 산업통계분석시스템, https://www.istans.or.kr/ (최종열람일: 2023년 6월 1일).
  14. 산업자원통상부.한국공학한림원, 2019, 한국산업기술발전사: 운송장비, 진한엔엠비.
  15. 성기종, 2016, 조선: 불확실성과의 전쟁, 한국고용정보원 제1차 산업고용포럼.
  16. 송부용.박진호, 2019, "환경 변화에 따른 영남권 전통산업도시의 현황과 과제," 국제컨퍼런스 한국 산업도시의 변화와 과제, 2019. 6. 12. 국토연구원.
  17. 송주연, 2021, "제조업 위기지역의 산업구조 및 경쟁력 변화: 군산시를 사례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5(2), pp.299-319. https://doi.org/10.23841/EGSK.2022.25.3.299
  18. 양승훈, 2019, 중공업 가족의 유토피아: 산업도시 거제, 빛과 그림자, 오월의 봄.
  19. 엄재연, 2019, 선박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불안정성, 금속노조 연구원 이슈페이퍼 2019-07.
  20. 유동훈.강동우, 2019, "고용보험DB를 통해 살펴본 통영. 군산 조선업 종사자의 일자리 이동," 월간 노동리뷰, 2019. 5., pp.7-19.
  21. 융합금융처, 2019, KOSME 산업분석 리포트 -조선산업-.
  22. 이강진, 2020, 군산 산업.고용위기 2년, 일자리 변화의 진단과 전망, 전북연구원, ISSUE BRIEFING 217.
  23. 이두희.김송년.유이선.김지수, 2019, 지역산업위기 유형분석과 위기대응방안 및 산업전환전략, 산업연구원.
  24. 이상욱, 2022.8.28., 시사저널, "거제시, 조선업 위주의 지역산업구조 바꿔내겠다", https://www.sisa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244932, (최종열람일: 2023년 6월 1일).
  25. 이상호, 2014, 산업집적 구조변화와 지역노동시장 성과, 한국노동연구원.
  26. 이상호, 2018, 지역고용 위기극복 방안 모색: 한.일 사례 비교 분석, 2018 한국지역고용학회 하계공동학술대회, pp.311-338.
  27. 이종화.송철종, 2014, "한국 서비스 산업의 생산성 분석," 한국경제의 분석 20(3), pp.1-55.
  28. 장철순.서태성.류승한.김진범.이윤석, 2014, 산업도시 진단 및 지속적 발전망안 연구, 국토연구원.
  29. 장철순.이윤석, 2015, 산업도시의 진단 및 경쟁력 강화 방안, 국토정책 Brief 506.
  30. 조성철, 2019, "한국 산업도시의 위기 진단과 회복력 제고를 위한 정책 방향," 국제컨퍼런스 한국 산업도시의 변화와 과제, 2019. 6. 12. 국토연구원.
  31. 천지은.김민곤, 2021, "신경제지리학적 관점을 적용한 쇠퇴도시의 잠금현상(locking-in)과 경제성장 격차 간 관계: 산업 특화 및 다양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국정관리연구 16(3), pp.115-163. https://doi.org/10.16973/JGS.2021.16.3.005
  32. 최성웅.허동숙, 2021, "지역적 조건을 고려한 산업단지의 구조적 전환 추진전략 모색," 대한지리학회지 56(4), pp.387-406. https://doi.org/10.22776/KGS.2021.56.4.387
  33. 통계청, https://mdis.kostat.go.kr/ (최종열람일: 2023년 6월 1일).
  34.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 조선자료집, 2018.
  35. 홍사흠, 2015, 안정적 지역성장을 위한 다차원적 지역산업구조 분석 연구, 국토연구원.
  36. 황진호, 2019, "산업도시와 지역의 변화: 울산광역시를 중심으로," 2019년 한국경제지리학회 춘계 학술대회 발표자료.
  37. Davies, A. and Tonts, M., 2010, "Economic diversity and regional socioeconomic performance: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Western Australian grain belt," Geographical Research 48(3), pp.223-234. https://doi.org/10.1111/j.1745-5871.2009.00627.x
  38. Essletzbichler, J., 2007, Diversity, stability and regional growth in the United States, 1975-2002. in Frenken, K.(eds.), Applied evolutionary economics and economic geography, Monograph Book, pp.203-229.
  39. Frenken, K., Van Oort, F. and Verburg, T., 2007, "Related variety, unrelated variety and regional economic growth," Regional Studies 41(5), pp.685-697. https://doi.org/10.1080/00343400601120296
  40. Hassink, R., 2010, "Regional resilience: a promising concept to explain differences in regional economic adaptability?," Cambridge Journal of Regions, Economy and Society 3(1), pp.45-58. https://doi.org/10.1093/cjres/rsp033
  41. Lazzeretti, L., Capone, F. and Cinti, T., 2010, "The regional development platform and "related variety": Some evidence from art and food in Tuscany," European Planning Studies 18(1), pp.27-45. https://doi.org/10.1080/09654310903343518
  42. Marshall, John, U., 1975, "City size, economic diversity, and functional type: the Canadian case," Economic Geography 51(1), pp.37-49. https://doi.org/10.2307/142701
  43. Martin, R., 2010, "Roepke Lecture in Economic Geography-Rethinking regional path dependence: beyound lock-in to evolution," Economic Geography, 86(1), pp.1-27. https://doi.org/10.1111/j.1944-8287.2009.01056.x
  44. Martin R., Sunley, P., Gardiner, B. and Tyler, P., 2016, "How Regions React to Recessions: Resilience and the Role of Economic Structure," Regional Studies 50(4), pp.561-585. https://doi.org/10.1080/00343404.2015.1136410
  45. Martin, R. and Sunley, P., 2006, "Path dependence and regional economic evolution," Journal of Economic Geography 6(4), pp.395-437. https://doi.org/10.1093/jeg/lbl012
  46. Martin, R. and Sunley, P., 2015, "On the notion of regional economic resilience: conceptualization and explanation," Journal of Economic Geography 15(1), pp.1-42. https://doi.org/10.1093/jeg/lbu015
  47. Martin, R., 2012, "Regional economic resilience, hysteresis and recessionary shocks," Journal of Economic Geography 12(1), pp.1-32. https://doi.org/10.1093/jeg/lbr019
  48. Shin, D. H. and Hassink, R., 2011, "Cluster life cycle: the case of the shipbuilding industry cluster in South Korea," Regional Studies 45(10), pp.1387-1402. https://doi.org/10.1080/00343404.2011.579594
  49. Stopford, M., 2008, Maritime economics, 3rd edition. Routled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