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Nuclear·Atomic Public Diplomacy: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oward New Issue Area

핵·원자력 공공외교: 새로운 영역으로의 확장 가능성

  • 이한형 (국방대학교 안보정책학과)
  • Received : 2023.02.09
  • Accepted : 2023.03.02
  • Published : 2023.03.31

Abstract

Objectives: Nuclear security and atomic energy industry have always been the domain of political and economical diplomatic affairs. The issue of nuclear proliferation must be resolved politically or militarily given the importance of the problem, the impact it has on global security, the influence of major powers, and non-proliferation regimes. Considering scope of the budget, manpower, and scale of the project, the atomic energy issue was also viewed from an economic perspective. Therefor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depart from the conventional viewpoint and investigate if public diplomacy may be extended to a new issue domain of nuclear security and atomic energy. Methods: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re are any areas that overlap, the uniqueness of Korea's position in the nuclear security and atomic power domains is evaluated and compared with the traits of public diplomacy. Results: It seems plausible to broaden the scope and function of public diplomacy in that field given Korea's uniqueness in nuclear security and atomic energy issue and overlap with public diplomacy. This is especially true given that the state must take the leading role and that ongoing policy demands are made in light of Korea's security and economic structure. In reality, it is assessed that the Summer Fellows Program, run by the KAIST Nuclear Nonproliferation Education and Research Center (KAIST NEREC), has had a considerable impact on public diplomacy in the area of nuclear security and atomic energy. Conclusions: Nuclear security and atomic energy issues have traditionally been handled from the perspectives of political diplomacy, summit diplomacy, and economic diplomacy. However, this paper evaluate that the possibility of enhancing the role of public diplomacy in this issue area is high and underscore that the budget support, programs, and manpower for similar public diplomacy activities are needed. Through this, South Korea's nuclear security policy and atomic energy industry could be supported from international community and it will advance national interest.

목적: 핵·원자력 분야는 전통적으로 정무외교·경제외교 영역에 속했다. 핵확산 문제는 사안의 중대성과 국제안보에 미치는 심각성, 강대국과 비확산레짐의 영향력 등을 고려했을 때 당연히 국가 간 해결해야 할 문제였고, 원자력 에너지 산업도 예산과 인력, 사업의 규모 등을 고려했을 때 경제적 관점에서 접근했던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관점에서 탈피하여 공공외교가 핵·원자력이라는 새로운 영역으로 확장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핵·원자력 분야에서 한국의 위치가 가지는 특수성을 살펴보고 공공외교의 특성과 비교하여 상호 중첩되는 영역이 있는지 분석한다. 결과: 핵·원자력 이슈에 관한 한국의 특수성, 공공외교와의 중첩 등을 고려했을 때 해당 분야에 대한 공공외교의 영역 확장과 역할 확대는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국가의 주도적 역할이 필요하다는 점과 한국의 안보 및 경제 구조를 고려했을 때 지속적인 정책적 수요가 있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실제로 카이스트 핵비확산교육연구센터(KAIST NEREC)에서는 하계장학생프로그램(Summer Fellows Program) 운영을 통해 핵·원자력 분야의 공공외교를 펼치고 있으며, 상당한 성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결론: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전통적으로 정무외교, 정상외교, 경제외교의 관점에서 접근해왔던 핵·원자력 이슈에 대해 공공외교의 역할 증진 가능성을 높게 평가하고 이와 유사한 공공외교 활동들에 대한 예산 지원, 프로그램 및 인력 확대가 필요함을 강조한다. 이를 통해 한국의 핵정책과 원자력 산업이 국제사회의 지지를 얻고 한국의 국익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글은 한국국제교류재단과 한국공공외교학회가 공동주관한 2022 공공외교 학술 연구논문 공모전에 제출했던 논문을 일부 수정 및 보완한 것임을 밝힙니다. 본 논문의 완성과정에서 귀중한 논평을 해주신 세 분의 심사위원님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1.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공공외교 관련 법안에 대한 공청회," 제315회 국회 임시회 공청회 자료집(2013).
  2. 김규륜 등, 「공공외교의 이론적 조명과 주변4국의 한반도통일 공공외교 분석틀」 (서울: 통일연구원, 2012).
  3. 김우상, "대한민국의 중견국 공공외교," 「정치.정보연구」 제16권 제1호(2013).
  4. 노병렬, "한국 핵무장론의 안보정책화 가능성," 「평화학연구」 제18권 제4호(2017).
  5. 성병욱, "공공외교의 환경변화와 한국의 대응방안," 「대한정치학회보」 제20권 제3호(2013).
  6. 손상용.박종희, "한국 유권자들은 정말 핵무장을 원하는가? 실험 설문을 이용한 핵무장 여론 분석," 「한국정치학회보」 제54집 제2호(2020).
  7. 이상현, "한국의 핵비확산 외교와 원자력정책," 「한국과 국제정치」 제27권 제1호(2011).
  8. 외교부, "외교부 업무보고," (2022. 7. 21).
  9. 외교부, "제1차 대한민국 공공외교 기본계획[2017-2021],"(2017).
  10. 외교부, "제2차 대한민국 공공외교 기본계획[2023-2027],"(2022).
  11. 장은석, "한국의 확산방지구상(PSI) 정식참여의 의미와 협력방향," 「국제정치논총」 제50집 제1호(2010).
  12. 전봉근, "21세기 한국 원자력외교 과제와 대책," 「국가안보와 전략」 제8권 제2호(2008).
  13. 전봉근, 「비핵화의 정치」 (서울: 명인문화사, 2020).
  14. 정옥임, "한국의 원자력외교: 쟁점과 과제," 「통일문제연구」 제19권 제1호(2007).
  15. 정용훈, "윤석열 정부 원자력 정책 전망과 과제, 그리고 산업계의 역할," 「기술과 혁신」 Vol. 454 (July-August, 2022).
  16. 주성돈, "1950년대 한국의 원자력정책 변화 분석," 「정부와 정책」 제4권 제2호(2012).
  17. 한용섭, 「한반도 평화와 군비통제」 (서울: 박영사, 2015).
  18. 한인택, "공공외교 2.0을 지향하며: 공공외교법의 발효를 계기로," 「JPI Research Series」 No. 37(2016).
  19. Braken, Paul, The Second Nuclear Age: Strategy, Danger, and the New Power Politics (NY: Macmillan, 2012).
  20. Buzan, Barry and Lene Hansen, The Evolution of International Security Studies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21. Dalton, Toby et al, Toward a Nuclear Firewall: Bridging the NPT's Three Pillars (Washington D. C.: Carnegie Endowment for International Peace, 2017).
  22. Dalton, Toby, Karl Friedhoff, Lami Kim, "Thinking Nuclear: South Korean Attitudes on Nuclear Weapons," The Chicago Council on Global Affairs 21(2022).
  23. Debs, Alexandre and Nuno P. Monteiro, Nuclear Politics: The Strategic Causes of Proliferation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7).
  24. Diehl, Paul F., The Dynamics of Enduring Rivalry (Chicago: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998).
  25. Diehl, Paul F. and Gary Goertz, War and Peace in International Rivalry (Ann Arbor: Th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1).
  26. Eames, Anthony M., "Public Diplomacy for the Nuclear Age: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and The End of the Cold War," Ph.D. dissertation(Georgetown University, 2020).
  27. KAIST NEREC, 2022 NEREC Annual Report (Daejeon: KAIST, 2022).
  28. Miller, Nicholas L., "Why Nuclear Energy Programs Rarely Lead to Proliferation," International Security, Vol. 42, No. 2(2017).
  29. Monteiro, Nuno P. and Alexandre Debs, "The Strategic Logic of Nuclear Proliferation," International Security, Vol. 39, No. 2(Fall, 2014).
  30. Nye, Joseph S., Soft Power: The Means to Success in World Politics (NY: PublicAffairs, 2004).
  31. Reiter, Dan, "Security Commitments and Nuclear Proliferation," Foreign Policy Analysis, Vol. 10, Issue. 1(2014).
  32. Solingen, Etel, Nuclear Logics: Contrasting Path in East Asia and the Middle East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7).
  33. The Economist Intelligence Unit, "Democracy Index 2020: In sickness and in health?," The Economist (2020).
  34. Zhang, Juyan, "Exploring rhetoric of public diplomacy in the mixed-motive situation: Using the case of President Obama's 'nuclear-free world' speech in Prague," Place Branding and Public Diplomacy, Vol. 6, No. 4(2010).
  35. 나기용, "2030년 3대 원전수출 강국으로," https://eiec.kdi.re.kr/publish/naraView.do?cidx=6998 (검색일: 2022년 11월 18일).
  36.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공공외교법," https://www.law.go.kr/%EB%B2%95%EB%A0%B9/%EA%B3%B5%EA%B3%B5%EC%99%B8%EA%B5%90%EB%B2%95/ (검색일: 2022년 11월 15일).
  37. 연합뉴스, "WMD 확산방지구상 훈련 부산에서 개최...해상차단훈련은 생략," https://www.yna.co.kr/view/AKR20190708157500504 (검색일: 2022년 11월 18일);
  38. 외교부, "공공외교 소개," https://www.mofa.go.kr/www/wpge/m_22713/contents.do (검색일: 2022년 11월 7일).
  39. 외교부, "한미 확장억제전략협의체 회의 공동성명," https://www.mofa.go.kr/www/brd/m_4080/view.do?seq=372757 (검색일: 2022년 11월 16일).
  40. 외교부, "국제원자력기구(IAEA) 안전조치협정 추가의정서 발효," https://www.mofa.go.kr/www/brd/m_4080/view.do?seq=292072&srchFr=&srchTo=&srchWord=&srchTp=&multi_itm_seq=0&itm_seq_1=0&itm_seq_2=0&company_cd=&company_nm=&page=1311 (검색일: 2022년 11월 17일).
  41. 외교부, "[편람] 확산방지구상(PSI)관련 주요 이슈," https://www.mofa.go.kr/www/brd/m_3989/view.do?seq=307424&srchFr=&srchTo=&srchWord=&srchTp=&multi_itm_seq=0&itm_seq_1=0&itm_seq_2=0&company_cd=&company_nm=&page=8 (검색일: 2022년 11월 17일).
  42. 외교부, "2020-2022년 공공외교 종합시행계획," https://www.mofa.go.kr/www/wpge/m_22716/contents.do (검색일: 2022년 11월 20일).
  43. 전기저널, "에너지전환, 원자력 위기? ... '원전해체 . SMR' 미래 먹거리 부상," http://www.keaj.kr/news/articleView.html?idxno=4283 (검색일: 2022년 11월 18일).
  44. 전승민, "[뉴스룸]바닥에 떨어진 원자력 신뢰," https://www.dongascience.com/news.php?idx=22467 (검색일: 2022년 11월 16일);
  45. 중앙일보, "김정은 "절대로 핵 포기 없다"...선제 핵 공격 법제화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01056#home (검색일: 2022년 11월 16일).
  46. 카이스트 홍보실, "NEREC, 제9기 핵비확산 국제하계장학생 프로그램 개최," https://news.kaist.ac.kr/news/html/news/?mode=V&mng_no=22050 (검색일: 2022년 11월 17일).
  47. 한겨레, "'탈원전'으로 시작한 문재인 정부 '원전수출'로 문닫나," https://www.hani.co.kr/arti/society/environment/996229.html (검색일: 2022년 11월 19일).
  48. Brandfinance, "Global Soft Power Index 2021: South Korea Ranks 11th," https://brandfinance.com/press-releases/global-soft-power-index-south-korea-ranks-11th (검색일: 2022년 11월 7일).
  49. VOA, "미 인태사령부 "확산방지구상(PSI) 훈련, 안보리 결의 이행 의지 보여줘"," https://www.voakorea.com/a/6702448.html (검색일: 2022년 11월 18일).
  50. VOA, "한국 핵물질 실험 사건, 유엔안보리 회부 모면," https://www.voakorea.com/a/a-35-a-2004-11-26-8-1-91139014/1286331.html (검색일: 2022년 11월 16일).
  51. YTN, "문재인 대통령, 탈원전 선언 "신규 원전 전면 백지화"," https://www.ytn.co.kr/_ln/0101_201706192217284951 (검색일: 2022년 11월 19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