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온·오프 강의에서 온라인 영어읽기 수업의 학습행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Learning Behavior in Online English Reading Class of an On-off Course

  • 최미양 (숭실대학교 베어드교양대)
  • 투고 : 2023.07.31
  • 심사 : 2023.09.19
  • 발행 : 2023.10.31

초록

본 연구는 온·오프 강의에서 온라인으로 영어읽기 학습활동을 하는 학생들의 학습행태를 파악하는 사례 연구이다. 본 연구는 학기말에 실시한 설문조사와 학생들과의 전화 인터뷰를 토대로 하고 있다. 연구대상은 영어 듣기와 읽기 교과목을 수강하는 학생 77명이며 이중 5명과 전화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온라인 학습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학습의 규칙성과 학습 순서는 개선할 필요성이 나타났으며 이를 위하여 교수자의 학생관리 방안이 제시되었다. 교수강의 시청의 경우 학생들은 일시정지와 반복시청과 같은 녹화강의의 장점을 잘 활용하고 있었으나 모든 학생들이 온라인 교수강의를 잘 이해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녹화강의 개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해 보였다. 대면 수업에서 실시하는 교수강의 복습퀴즈는 학생들이 교수강의를 더 적극적으로 시청하도록 자극을 주기 위한 것인데 연구결과 온라인 학습기간 설정과 퀴즈 문제 개수와 같은 요소들을 수정할 필요성이 나타났다.

This study is a case study on investigating students' learning behavior in the online English reading class of an on-off course.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a total of 77 students from an English listening and reading course and phone interview with 5 students was implemented. The findings revealed that regularity of learning interval and learning sequence need to be improved through student management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 of online learning. In case of lecture watching, the students are good at utilizing the strengths of taped lecture, such as using pause and repeating watching. However, more research need to be done on how to develop online lecture to enhance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lecture. Regarding the offline review quiz that is supposed to stimulate students into their more positive watching of the lecture, it is suggested that a few of its related elements such as the online learning period and the number of quiz questions be corrected for its better effect.

키워드

참고문헌

  1. 최미양, "영어 듣기와 읽기 수업을 위한 블렌디드 러닝 사례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9권, 제4호, 241-249쪽, 2021년 4월 https://doi.org/10.14400/JDC.2021.19.4.241
  2. 이옥형, "블렌디드 러닝과 면대면수업의 학업성취도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제15권, 제1호, 1-27쪽, 2008년
  3. 최미양, 한태인, "TOEIC의 디지털 융복합 블렌디드 학습과 면대면 학습의 비교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3권, 제10호, 517-525쪽, 2015년 https://doi.org/10.14400/JDC.2015.13.10.517
  4. 한문섭, "e-러닝, b-러닝, 그리고 교실수업이 내용 지식 습득과 영어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영어교육연구, 제18권, 제2호, 323-339, 2006년
  5. D. K. Larson and C. Sung, "Comparing student performance: online versus blended versus face-to-face," Journal of Asynchronous Learning Networks, vol. 13, no. 1, pp. 31-42, 2009. https://doi.org/10.24059/olj.v13i1.1675
  6. 이옥형, "대학의 블랜디드 러닝과 면대면 수업의 수업만족도 연구," 교육연구, 제41권, 1-24쪽, 2007년
  7. C. C. Chen and K. T. Jones, "Blended learning vs. traditional classroom settings: assessing effectiveness and students perceptions in an MBA Accounting course," The Journal of Educators Online, vol. 4, no. 1, pp. 1-15, 2007. https://doi.org/10.9743/JEO.2007.1.3
  8. N. Vernadakis, M. Giannousi, E. Tsitskari, P. Antoniou, and E. Kioumourtzoglou, "A comparison of student satisfaction between traditional and blended technology course offerings in physical education," Turkish Online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vol. 13, no. 1, pp. 137-147, 2012.
  9. 하수연, "LMS기반 비대면 On-line 수업의 효과성, 효율성, 매력성 제고방안," 인문사회 21, 제12권, 제5호, 1643-1658쪽, 2021년 12월 https://doi.org/10.22143/HSS21.12.5.116
  10. 박지원, 이지은, "대학교수의 TPACK과 교과목 특성에 따른 LMS 활용도 분석," 한국교육문제연구, 제40권, 제3호, 199-222쪽, 2022년 https://doi.org/10.22327/kei.2022.40.3.199
  11. 김규동, 고유정, 최고은, 박인우, "이러닝에서 교수 실재감, 학습참여도, 학습자-교수자 간의 상호작용 및 학업성취도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교육학연구, 제18권, 제1호, 169-188쪽, 2012년
  12. 최미양,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을 위한 교내 푸시의 활용 사례 연구," 스마트미디어저널, 제12권, 제3호, 102-111쪽, 2023년 4월
  13. 한가영, 한진희, "온라인 수업에서 학습자와 교수자 간 상호작용이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교수 실재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문화와 용합, 제43권, 제10호, 259-282쪽, 2021년
  14. 강정희, "웹 기반 학습 프로그램 이용자의 학습 행태 평가,"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제19권, 제2호, 123-131쪽, 2007년 https://doi.org/10.3946/kjme.2007.19.2.123
  15. 김안나, "코로나19시대 LMS 빅데이터를 이용한 학습자 행태와 학습성과에 대한 영향분석 : J대학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1권, 제6호, 565-579쪽, 2021년
  16. 신우진, 이남형, "온라인 학습 행태와 사회경제적 배경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성인 학습자의 경제학 개론 녹화 동영상강의 시청을 중심으로," 평생학습사회, 제18권, 제1호, 198-234쪽, 2022년 2월 https://doi.org/10.26857/JLLS.2022.2.18.1.198
  17. 이은주, "학습분석학적 접근을 통한 방송고 학습자의 학습행태 분석 및 이수 여부에 미치는 영향 요인 분석," 교육문제연구, 제32권, 제4호, 29-54쪽, 2019년 11월
  18. 오은주, 김유진,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학습자 행태 분석,"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제9권, 제6호, 123-131쪽, 2019년 6월 https://doi.org/10.35873/AJMAHS.2019.9.6.011
  19. 이성혜, 최경애, 박민서 한정윤, "온라인 문제기반 학습에서의 학습행대 분석: 학습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제23권, 제1호, 77-90쪽, 2020년 1월 https://doi.org/10.32431/kace.2020.23.1.007
  20. 한동희, 전병준, "기업 이러닝 학습에서의 학습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 행태 요인분석 - 우수학습자와 전체 학습자 로그 분석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자료분석화회, 제17권, 제2호, 897-912쪽, 2015년 4월
  21. 이인숙, "e-Learning 학습전략 수준 및 학업성취도 규명," 교육공학연구, 제18권, 제2호, 51-67쪽, 2002년 6월 https://doi.org/10.17232/KSET.18.2.51
  22. 조일현, 김정현, "학습분석학을 활용한 e-러닝 학업성과 추정 모형의 통계적 유의성 확보 시점 규명," 교육공학연구, 제29권, 제2호, 285-306쪽, 2013년 6월 https://doi.org/10.17232/KSET.29.2.285
  23. 조일현, 김윤미, "이러닝에서 학습자의 시간관리 전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분석학적 접근,"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19권, 제1호, 83-107쪽, 2013년
  24. 최정임, 최정숙,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계획 및 시간관리 전략이 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교육과학연구, 제43권, 제4호, 221-244쪽, 2012년
  25. J. W. You, "Examining the effect of academic procrastination on achievement using LMS data in e-learning," Educational Technology & Society, vol. 18, no. 3, pp. 124 - 134, Jul. 2015.
  26. 이수경, 박연정, "이러닝 직업교육훈련에 대한 학습자 수강동기, 인식, 학습행태 조사연구,"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3호, 499-508쪽, 2017년 6월
  27. 권성연, "성찰일지 분석을 통한 이러닝 성인학습자의 학습 전략 탐색," 평생교육학연구, 제15권, 제3호, 21-49쪽, 2009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