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mages of the Landscape and Society of Haeju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조선 후기 해주의 경관과 세태 이미지

  • 박정애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 Received : 2023.09.06
  • Accepted : 2023.10.04
  • Published : 2023.10.31

Abstract

Haeju was home to the Hwanghae-do Provincial Office and a hub for supporting the northwestern regions of Korea. Local commerce expanded in Haeju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based on its abundant resources and regional products, leading it to evolve into a large city. King Seonjo temporarily resided in Haeju while seeking refuge from the Japanese Invasions of Korea, and Yi Yi (sobriquet: Yulgok) secluded himself in Seokdam in Haeju in his later years. King Seonjo's residence in Haeju and Yi Yi's retirement there boosted interest in the city among the literati and influenced its places of scenic beauty. The development of its local history and literary achievements were documented in a wide variety of historical records and visual materials. Eight scenic views in Haeju became famous through a poem written by Seong Su-ik in the late sixteenth century. Around the mid-eighteenth century, eight new scenic views became popular. Local officials and travelers from other regions produced a vast body of prose and poetry focusing on the landscape and society of Haeju, playing a crucial role in raising awareness of its scenic attractions. Most surviving visual materials related to Haeju were created in and after the nineteenth century. Many of them illustrate both landscapes and the everyday lives of people. Among them, paintings of scenic spots created by Jeong Seon (sobriquet: Gyeomjae), who never actually visited Haeju in person, raises some of the issues posed by relying on indirect materials. In contrast, Eight Scenic Views of Haeju, which is presumed to have been produced by a local painter, appears to have accurately highlight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cenic spot. Moreover, Haejudo, a folding screen presenting a panoramic view of Haeju, incorporates content from paintings depicting eight scenic views, in this case Eight Scenic views of Haeju. This practice can be observed in visual materials of other provincial cities.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2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22S1A5B5A16056494).

References

  1. 「朝鮮王朝實錄」, 「承政院日記」, 「海州志」
  2. 具思孟, 「八谷集」.
  3. 權燮, 「玉所集」.
  4. 金壽增, 「谷雲集」.
  5. 金楺, 「儉齋集」.
  6. 金昌集, 「夢窩集」.
  7. 金昌協, 「農巖集」.
  8. 金昌翕, 「三淵集」.
  9. 徐宗華, 「藥軒集」.
  10. 兪晩柱, 「欽英」.
  11. 尹行恁, 「碩齋稿」.
  12. 李觀命, 「屛山集」.
  13. 李敏求, 「東州集詩集」.
  14. 李裕元, 「林下筆記」.
  15. 李夏坤, 「頭陀草」.
  16. 許傳, 「性齋集」.
  17. 洪敬謨, 「觀巖全書」.
  18. 구완회, 「「碧城日錄」을 통해 본 19세기 초의 海州判官」, 「朝鮮史硏究」 제2집, 1993.
  19. 김두섭, 「조선후기 도시에 대한 인구학적 접근」, 「한국사회학」 24, 1992.
  20. 김용국, 「황해도지(명승고적편)」, 서울특별시 이북5도 청내 황해도, 1970.
  21. 김하라, 「兪晩柱의 海州-「欽英」에 나타난 18세기 해주의 역사지리학」, 「한국한문학연구」 제77집, 2020.
  22. 노재현, 「온양민속박물관 소장 <해주팔경도(海州八景圖)에 표현된 조선 후기 해주의 풍경과 풍물」, 「문화재」 제54권 4호, 2021.
  23. 박은순, 「19세기말 20세기 초 회화식 지도와 실경산수화의 변화: 환력(宦歷)의 기록과 선정(善政)의 기념」, 「미술사학보」 56, 2021.
  24. 박정애,「朝鮮後期 平壤名勝圖 연구 -《平壤八景圖》를 중심으로-」, 「民族文化」 제39집, 2012.
  25. 박정애, 「조선시대 평안도 함경도 실경산수화𰃜,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4.
  26. 박정애, 「19세기 연폭 실경도 병풍의 유행과 작화경향-동아대학교석당박물관 소장품을 중심으로-」, 「기록화 인물화」, 동아대학교석당박물관, 2016.
  27. 박정애, 「19세기 連幅 實景圖 屛風에 관한 고찰」, 「문물」 제8호, 2018.
  28. 박정혜, 「남승도로 본 조선 명승」, 「조선의 명승」,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6.
  29. 변영섭, 「豹菴姜世晃繪畵硏究」, 일지사, 1988.
  30. 서종태 역주, 「여지도서 23, 황해도 I」, 디자인 흐름, 2009.
  31. 여상진, 「18C末 황해감사 徐邁修의 집무와 해주목 관영시설의 이용 -"海營日記"(徐邁修)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3권 제9호, 2012.
  32. 여상진, 「18~19C초 황해도 관찰사의 순력(巡歷)과 도내 읍치시설 이용」,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5권 제9호, 2014.
  33. 윤진영, 「朝鮮時代 九曲圖의 受容과 展開」, 「미술사학연구」 217.218, 1998.
  34. 이경동, 「조선시대 해주 소현서원의 운영과 위상」, 「韓國思想史學」 제61집, 2019.
  35. 이상원, 「조선후기 <高山九曲歌> 수용양상과 그 의미」, 「고전문학연구」 제24집, 2003.
  36. 이상원, 「「高山九曲詩畵屛」의 구성상 특징과 所載 詩文에 대한 검토」, 「국제어문」 31집, 2004.
  37. 이중환 지음, 안대회.이승용 외 옮김, 「완역 정본 택리지」, (주)휴머니스트 출판그룹, 2018.
  38. 李泰鎭.李相泰 책임감수, 「朝鮮時代 私撰邑誌 33, 黃海道 3 海西邑誌」(영인본), 한국인문과학원, 1990.
  39. 정다운, 「<화성전도> 병풍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0.
  40. 제송희, 「조선후기 관원 행렬의 시각화 양상과 특징」, 「정신문화연구」 통권 144호, 2016.
  41. 조규희, 「조선 유학의 '道統'의식과 九曲圖」, 「역사와경계」 61, 2006.
  42. 최완수, 「겸재 정선」 1~3, 현암사, 2009.
  43. 황정연, 「조선시대 서화수장 연구」, 신구문화사, 2012.
  44. 국립중앙도서관 (https://www.nl.go.kr/)
  45. 국립중앙박물관 (https://www.museum.go.kr/)
  46. 서울대학교규장각한국학연구원 (https://kyu.snu.ac.kr/)
  47. 한국고전종합DB (https://db.itkc.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