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정보
이 논문은 2021년 한국관광공사의 지원을 받아 진행한 연구임.
참고문헌
- 강원발전연구원, "강원도 관광수용태세 평가지표 개발", 2014.
- 김경진, "교통관광 상품 간 비교용이성이 소비자태도에 미치는 영향", 상품학연구, 제36권, 제1호, 2018, pp. 63-67. https://doi.org/10.36345/kacst.2018.36.1.009
- 김기완, 김병국, "내․외국인의 관광수용태세 인식 차이 및 만족도 영향요인: 대구광역시 관광객을 대상으로", 대구경북연구, 제19권, 제1호, 2020, pp. 177-194. https://doi.org/10.23029/JDGS.2020.19.1.177
- 김명수, 금기정, 남궁문, "관광지역의 주차특성 및 교통수단선택의 요인분석에 관한 연구", 관광학연구, 제22권, 제2호, 1998, pp. 125-133.
- 김명수, 이병주, 금기정 남궁문, "이산형 선택모델을 이용한 관광지의 여행 유형별 교통수단 선택행동에 대한 연구", 관광학연구, 제23권, 제1호, 1999, pp. 51-65.
- 김사헌, "외래관광객 수용태세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도시문제, 제29권, 1994, pp. 38-46.
- 김수정, 문대섭, "우리나라 관광특구의 접근교통체계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014, pp. 551-556.
- 김수정, 문대섭, "우리나라 지역관광축제의 접근교통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014, pp. 1028-1033.
- 김재호, "관광수용태세 경쟁력 요인이 관광 후 태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경영연구, 제22권, 제7호, 2018, pp. 757-776. https://doi.org/10.18604/tmro.2018.22.7.36
- 김현명, "TaaS(Tourism as a Service): 교통 기술의 발전과 관광 교통 체계의 변화 예측", 한국관광정책, 제70권, 2017, pp. 86-94.
- 박석희, "관광공간 및 행동의 의례화가 재방문의사에 미치는 영향: 문화유산관광지를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제34권, 제3호, 2010, pp. 11-28.
- 박창수, "관광객 편의를 위한 지능형 교통체계(ITS) 우선순위 선정에 관한 연구: 경주시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제40권, 제5호, 2005, pp. 129-141.
- 서용건, "제주관광 수용태세 개선방안", 2011 제주관광학회 학술대회, 제주관광학회, 2011.
- 심원섭, 진보라, "개별관광객의 이동편의 제고를 위한 관광안내체계 구축 사례 연구: 관광안내표지판을 중심으로", 관광연구, 제35권, 제1호, 2020, pp. 21-35. https://doi.org/10.21719/IJTMS.35.1.2
- 신서영, 장해진, 양일선, 정라나, 이해영, "컨조인트 분석을 이용한 한국 전통음식 관광상품 선택 속성에 관한 연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제9권, 제5호, 2004, pp. 654-662.
- 오정근, "도시의 관광경쟁력 평가지표 개발과 한국의 관광도시 분석", 관광산업연구, 제9권, 제1호, 2015, pp. 127-142.
- 윤정헌, 박명서, "관광수용태세, 부정적 감정반응 및 회피행동의 영향관계", MICE관광연구, 제17권, 제3호, 2017, pp. 151-164.
- 이규녀, 최완식, 박기문, "인재개발 사이버 교육 프로그램의 과정중심 평가준거 개발", 직업교육연구, 제29권, 제3호, 2010, pp. 157-185.
- 이병주, 서임기, 남궁문, "CVM을 이용한 관광지 환승 교통시스템의 편익 추정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25권, 제4호, 2007, pp. 57-66.
- 이병주, 김명수, 성수련, 남궁문, "관광지 환승교통시스템 도입 타당성에 관한 연구: 내장산 국립공원을 중심으로", 대한교통학회지, 제26권, 제2호, 2008, pp. 69-78.
- 이백진, 배보람, "남해안 관광활성화를 위한 대중교통체계 및 통합관광교통정보 개선", 국토, 429, 2017, pp. 43-51.
- 이승구, 정승준, 김동욱, "리조트 유형별 선택속성과 선호도에 관한 연구: 복합형, 산지형, 해변형 컨조인트 분석", 호텔경영학연구, 제27권, 제5호, 2018, pp. 191-205. https://doi.org/10.24992/KJHT.2018.07.27.05.191.
- 이재길, "컨조인트 분석을 이용한 새로운 교통수단의 선호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 교통연구, 제22권, 제1호, 2014, pp. 45-60.
- 이재섭, "특수관광교통시설 선택속성에 관한 연구: 케이블카를 중심으로", 관광경영연구, 제8권, 제1호, 2004, pp. 251-276.
- 이장춘, 홍창식, "한국 관광교통의 발전방안", 여가관광연구, 제6권, 2002, pp. 103-127.
- 장명순, 강창욱, "관광객의 수요변화에 따른 관광버스 분담율 추정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11권, 제3호, 1993, pp. 21-30.
- 장재민, 김태형, "관광통행 시 승용차 수단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특성 분석", 교통연구, 제23권, 제2호, 2016, pp. 41-51. https://doi.org/10.34143/JTR.2016.23.2.41
- 정승훈, 고미영, "제주방문 외국인 개별여행객의 수용태세 정책에 관한 우선순위 설정", 관광연구, 제37권, 제4호, 2013, pp. 97-116.
- 주용준, 이용철, "교통운송특성을 중심으로 철도운송 관광상품 IPA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0권, 제4호, 2009, pp. 900-907. https://doi.org/10.5762/KAIS.2009.10.4.900
- 최창호, "도서관광 활성화를 위한 연안-내륙 연계교통체계 구축 방향",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8권, 제2호, 2012, pp. 43-59.
- 최창호, "해양도시권 관광교통 통합지원체계 구축방향 연구: 여수시권과 Bay Area의 비교연구를 중심으로",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31권, 제3호, 2015, pp. 121-140.
- 홍미영, 임은순, "교통수단에 따른 내국인 해외관광수요 결정요인 분석", 관광연구, 제25권, 제2호, 2010, pp. 179-195.
- 홍창식, 이장춘, "관광교통의 지역관광 영향분석모형 연구", 관광정책학연구, 제8권, 제3호, 2002, pp. 1-30.
- 빈미영, 정의석, "관광․BIS 융합정보가 관광․레저 교통수단으로서 버스선택선호도에 미치는 요인분석", 한국ITS학회논문지, 제10권, 제4호, 2011, pp. 55-64.
- 한국관광공사, "국내 대표 관광지 수용태세 모니터링 보고서", 2009.
- 한국관광공사, "지자체 관광 수용태세 진단모델 표준 매뉴얼", 2010.
- 한국관광공사, "방한개별관광객(FIT) 유치환경 분석", 2017.
- 한국교통안전공단, "2019년 대중교통 현황 조사", 2019.
- 한국교통연구원, "외국인관광객의 지역접근성 제고를 위한 관광교통 개선방안 연구", 2017.
-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대중교통을 이용한 국민 국내관광 활성화 방안", 2017.
-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21 국민여행조사", 2021.
- Baker, D. A. and J. Crompton, "Quality,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Annals of Tourism Research, Vol.27, No.3, 2000, pp. 785-804. https://doi.org/10.1016/S0160-7383(99)00108-5
- Calderwood, L. U. and M. Soshkin, The Travel and Tourism Competitiveness Report 2019, World Economic Forum, September 2019.
- Lawshe, C. H.,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Vol.28, No.4, 1975, pp. 563-575. https://doi.org/10.1111/j.1744-6570.1975.tb01393.x
- O'Reilly, C., "From drifter to gap year tourist mainstreaming backpacker travel", Annals of Tourism Research, Vol.33, No.4, 2006, pp. 998-1017. https://doi.org/10.1016/j.annals.2006.04.002
- Park, D. H. and J. K. Jeon, "Social network analysis approach to korean domestic tourists based on transportation mode: Focusing on attractions in Busan",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Vol.32, No.3, 2018, pp. 39-54. https://doi.org/10.21298/IJTHR.2018.03.32.3.39
- Teixeira, J. and M. Piechota, "A new model of sustainable tourism development", Tourism Management Perspectives, Vol.32, 2019, pp. 105-117. https://doi.org/10.1016/j.tmp.2019.100575
- Tsaur, S-H., C-H. Yen, and C-L. Chen, "Independent tourist knowledge and skills", Annals of Tourism Research, Vol.37, No.4, 2010, pp. 1035-1054. https://doi.org/10.1016/j.annals.2010.04.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