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NFT를 활용한 블록체인 기반의 전기자동차 폐배터리 처리 플랫폼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Blockchain-Based Platform for Managing Electric Vehicle Battery Disposal Using NFTs

  • 최하눌 (계명대학교 디지털경영학부 경영정보학과)
  • Hanool Choi (Department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Keimyung University)
  • 투고 : 2024.03.31
  • 심사 : 2024.06.19
  • 발행 : 2024.08.31

초록

지속가능한 환경을 추구하는 세계적인 추세로 전기자동차의 시장 확대와 더불어 폐배터리의 처리 문제가 주목받고 있다. 특히 전기차 폐배터리의 잔존 수명 등에 대한 평가를 통해 배터리에 포함된 희유금속인 리튬, 코발트 등의 재활용, 신규 배터리로 재사용하거나 에너지 저장장치 등에 활용하는 2차적 사용을 통해 가치 제고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이를 위한 폐배터리 자원 정보의 효과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폐자원의 활용을 위해 전기자동차의 폐배터리를 NFT로 토큰화하여 자원의 재순환 과정을 효과적으로 추적하고 거래를 활성화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폐배터리 처리 플랫폼의 구축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블록체인 플랫폼은 디지털 불변 원장으로 위변조가 불가능하다는 특징으로 거래 정보의 투명성과 가시성을 높일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폐배터리 자산의 거래가 주로 기업간 거래에서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불특정의 다수의 익명 사용자가 참여하는 개방형 블록체인이 아니라 기업 간 거래에 적합한 허가형 블록체인 플랫폼인 하이퍼레저 패브릭을 활용한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기존의 NFT 상품들의 경우 디지털 재화나 일부 물리적 자산을 대상으로 이더리움과 같은 퍼블릭 블록체인을 메인넷으로 하는 거래가 중심이 되고 있다. 전기자동차 폐배터리 자산 거래의 특성상 거래의 활성화를 위해서 프라이빗 블록체인 상에서 폐배터리 NFT를 발행, 저장 및 거래할 수 있는 블록체인 플랫폼을 제안하고자 한다. 그리고 NFT의 발행과 저장을 위해 IPFS기반의 탈중앙화 분산형 스토리지를 활용하고 처리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재활용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가금속의 경우 FT로 토큰화하여 효과적인 자원 재순환 과정을 제안하고자 한다. NFT를 활용한 블록체인으로 전기자동차 폐배터리를 관리함으로써 역물류 과정의 투명성을 제고하고 폐배터리 자원의 거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With the global trend toward a sustainable environment, the growth of electric vehicles has been leading to an increase in end-of-life batteries, raising significant issues concerning their disposal. The materials contained in these batteries, such as lithium and cobalt, are considered rare metals. It has become necessary for recycling these resources, as well as evaluating used electric vehicle batteries for reuse or second use. Thus, it brings up an issue of managing EV battery information effectively. This study proposes a blockchain-based system for the recycling process of EV batteries using Non-Fungible Tokens (NFTs) for improving resource tracking and promoting transactions. Based on characteristics of used battery trades, it establishes a blockchain platform utilizing Hyperledger Fabric, a private blockchain platform suitable for business transactions Contrasting with public blockchains like Ethereum, which focus on digital goods or physical assets, this system enables the issuance, storage, and trade of battery NFTs within a private network. It also leverages IPFS-based decentralized storage for NFT management. The tokenization of valuable metals using Fungible Tokens (FTs) is proposed for an efficient resource recirculation process. Employing NFTs within a blockchain can enhance the transparency of the reverse logistics process and stimulate the trade of used battery resources.

키워드

참고문헌

  1. 권혁준, 김민수, 김협, "디파이(De-Fi), 탈중앙화 금융의 가능성과 한계점", 한국전자거래학회, 제26권, 제2호, 2021, pp. 143-155.
  2. 김가영 외, "디지털 데이터 기반 블록체인 서비스 개발 사례: 아티스트 토큰 거래 서비스", 한국정보기술학회 하계 종합학술대회, 2023, pp. 1015-1018.
  3. 김도현, "최근 NFT 산업 동향과 시사점", TTA저널, 제203호, 2022.
  4. 김철후, 윤홍식, 길형배, "폐배터리 재활용산업 글로벌 동향과 시사점", 기계기술정책, 제109호, 2022, pp. 1-26.
  5. 김협, "메타버스 환경에서 대체 불가능 토큰(NFT)의 이해와 활용", 지급결제학회지, 제14권, 제2호, 2022, pp. 217-238. https://doi.org/10.22898/KPSAKR.2022.14.2.217
  6. 김회민, "블록체인 시장의 다음 메가 트렌드 NFT", KB지식비타민, KB금융지주경영연구소, 2021, pp. 1-9.
  7. 나동준, 박세진, "Private 블록체인 기반 고성능, 저비용 NFT 설계",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제2021권, 제6호, 2021, pp. 1176-1178.
  8. 노대석, 김봉주, "EU배터리 산업 현황 및 규제 동향", 글로벌에너지산업동향보고서,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2023.
  9. 민경식, 김관영, 박진상, "NFT기술의 이해와 활용 한계점 분석", KISA Insight, 한국인터넷진흥원, 2021.
  10. 박성호, 문무희, "폐배터리를 재활용한 자원순환형 제품의 표준화 및 순환경제 기반 조성", 환경경영연구, 제14권, 2022, pp. 31-49.
  11. 박수항, "ESS로 이모작을 준비하는 전기차 배터리", POSRI 이슈리포트, 포스코경영연구원, 2016.
  12. 서동민, 김용수, 김현수, "전기자동차 배터리역물류 프로세스 연구", Journal of the Society of Korea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제34권, 제3호, 2011, pp. 57-70.
  13. 이도헌, "전기자동차 사용 후 배터리 실증과 평가 기술", 전력전자학회지, 제26권, 제2호, 2021, pp. 26-32.
  14. 이상훈, 김수연, "NFT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제27권, 제4호, 2022, pp. 93-104.
  15. 이승필, 조유진, 여준석, 김태영,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산업 생태계 활성화 방안", KISTEP 이슈페이퍼,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제355호, 2022.
  16. 이정민, 이민혁, "CMTO: 디지털 자산 시대의 부동산 토큰 증권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IT서비스학회지, 제22권, 제4호, 2023, pp. 81-95. https://doi.org/10.9716/KITS.2023.22.4.081
  17. 이종영, 박기선, "전기자동차 사용 후 배터리의 반납제도", 환경법연구, 제42권, 제1호, 2020, pp. 143-176. https://doi.org/10.35769/ELR.2020.42.1.006
  18. 정기수, 서명훈, 박동민, 배홍섭, "NFT의 지각된 소비가치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IT정책경영학회논문지, 제14권, 제2호, 2022, pp. 2923-2931.
  19. 정지우, 최진영, 이혜진, 박아현, 정석희, "전기자동차에서 발생하는 폐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리뷰", 대한환경공학회지, 제45권 7호, 2023, pp. 325-335.
  20. 조지혜, 주현수, 이소라, 김유선, 이차전지의 폐자원흐름 분석 및 자원순환성 제고방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7.
  21. 지질자원연구원, "지질자원연, 전기차 폐배터리에서 고순도 희소금속 재활용한다", 2022, Available at https://www.kigam.re.kr/board.es?mid=a10703040000&bid=0025&act=view&list_n
  22. 최성원, 이승목, 고중언, 김현지, 김정수, '대체 불가능토큰(NFT)기반 블록체인 게임의 비즈니스모델 혁신요소 연구: 게임 내 디지털 자산 유통 플랫폼 '플레이댑' 사례를 중심으로',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제21권, 제2호, 2021, pp. 123-136. https://doi.org/10.7583/JKGS.2021.21.2.123
  23. 최하눌, "블록체인 플랫폼을 활용한 전기자동차 폐배터리 역물류 프로세스 연구", 경영경제연구, 제44권 제2호, 2022, pp. 1-20. https://doi.org/10.32956/kaoca.2022.20.2.1
  24. 최하눌, 양근우, "패스트 패션 산업의 블록체인 기술 활용을 위한 탐색적 연구", 국제e-비즈니스학회, 제20권, 제7호, 2019, pp. 217-232.
  25. 쿠키뉴스, "가이드라인 없는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정부 표준 있어야", 2023, Available at https://www.kukinews.com/newsView/kuk202305170223.
  26. 홍지연, "디파이(DeFi) 시장의 성장과 시사점", 자본시장포커스, 제6호, 자본시장연구원, 2021.
  27. Lee, S. H., M. Ju Kim, S. Y. Kim, "An Empirical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Use M2E Services",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Vol.33, No.3, 2023, pp. 792-911.
  28. Real Value, Jorden Woods & Radhika Iyengar, 2019.
  29. Woods, J. and R. lyengar, Enterprise Blockchain Has Arrived: Real Deploy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