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Virtuous Cycle Structure of the Archival Ecosystem

기록관리 생태계의 선순환 구조에 관한 단상(斷想)

  • 김장환 (국회도서관 국회기록보존소)
  • Received : 2023.12.28
  • Accepted : 2024.01.21
  • Published : 2024.01.31

Abstract

This paper covers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 archival ecosystem. Since the enactment of the Records Management Act, the archival ecosystem has grown rapidly, but in retrospect, the discipline of archival science has stagnated, records management practice is overly concentrated in the public sector, the records management infrastructure in the private sector is weak, and the industry is failing. In recent years, the archival community has continued to discuss these issues, but mostly in the context of public records management, especially in the field. In this article, we look at the archival community as a whole, including the problems of archival academia and universities, the professionalism and qualification system of archivists, the Records Management Act limited to the public domain, and the difficulties of the industry, and propose alternatives in terms of professionalism and localization.

이 논문은 기록관리 생태계의 현황과 문제점 전반을 다루고 있다. 기록관리법 제정 이후 기록관리 생태계는 급속도로 성장했지만, 지금 시점에서 되돌아보면 기록학이라는 학문은 정체되어 있으며, 기록관리 실무 현장은 공공 영역에 과도하게 집중되어 있고, 민간 영역의 기록관리 인프라는 미약하며, 산업계는 고사하고 있다. 최근 몇 년간 기록 공동체는 이러한 문제점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논의해왔으나, 대부분 공공기록관리 영역, 그중에서도 현장의 문제점에 집중되어 있음을 부정하기 어렵다. 이에 이 글에서는 기록학계와 대학의 문제점을 비롯하여 기록전문가의 전문성과 자격제도, 공공 영역에 국한된 기록관리법, 그리고 산업계의 어려움까지 기록공동체를 전체적으로 조망하고 그에 대한 대안을 전문성과 지역성의 측면에서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곽건홍. (2009). 자율과 분권, 연대를 기반으로 한 국가기록관리 체제 구상. 기록학연구, 22, 3-35.
  2. 국가기록원. (2020). 디지털 기반의 기록물관리 전문요원 양성 및 자격제도 개선 방안 연구. 대전: 국가기록원.
  3. 국가기록원. (2012).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직무능력분석 및 시험평가영역.기준개발 최종보고서. 대전: 국가기록원.
  4. 김계수. (2015). 기록관의 기능과 역할 강화에 관한 검토. KARMA, 2, 69-74.
  5. 김기정, 신동수. (2018).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 영구기록물관리 시스템 구축 방안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8(3), 49-70. https://doi.org/10.14404/JKSARM.2018.18.3.049
  6. 김익한. (1999). 기록관리체제의 개혁과 기록과학의 과제. 정신문화연구, 22(2), 225-241.
  7. 김익한. (2007). 기록학의 도입과 기록관리혁신(1999년 이후). 기록학연구, 15, 67-93.
  8. 김익한. (2009). 기록관리법 10년, 다시 한 번의 도약을 위한 제언. 기록학연구, 21, 413-429.
  9. 김익한. (2018). 왜 다시 기록관리 혁신인가?: 소통, 기술, 협치를 향해. 기록학연구, 55, 178-179.
  10. 김장환. (2015). 행정가 vs 아키비스트, 우리가 고민해야 할 지점들, KARMA, 2, 153-158.
  11. 김정은, 김익한. (2012). 기록관리분야 직무능력표준 개발 방안 연구. 기록학연구, 31, 43-93.
  12. 김혜영, 이경남, 김장환. (2022). 기록관리 전문가단체의 교육 서비스 방향 모색을 위한 탐색 연구: 한국기록전문가협회를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22(1), 1-25. https://doi.org/10.14404/JKSARM.2022.22.1.001
  13. 박문재. (2019). 나는 지금도 퇴근하고 술을 마신다. KARMA, 6, 36-45.
  14. 박미애. (2010). 기록관리 '혁신' 로드맵의 법제화 연구. 기록학연구, 25, 132-196.
  15. 박민영. (2013). 표준기록관리시스템 기능 평가: 접근관리 기능을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38, 3-35.
  16. 박석훈. (2010). 자료관시스템 전자기록의 마이그레이션 절차 개발. 서울: 명지대학교 기록과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7. 설문원. (2016). 기록학계, 어디로 가고 있는가?. 제8회 전국기록인대회 자료집.
  18. 손동유. (2019). 민간분야 공동체 아카이빙의 성과와 과제. 실천민속학연구, (34), 39-63.
  19. 아키비스트 누룽지. (2016). 기록관리 '있어빌리티' 그리고 아키비스트 2.0. KARMA, 4, 148-155.
  20. 아키비스트라운지. (2018). 아키비스트가 말하는 아키비스트 인터뷰시리즈 5. [확인 일자: 2023. 12. 26.]
  21. 아키비스트라운지. (2022). 학위논문 현황(2023년 3월 기준). [확인 일자: 2023. 12. 26.]
  22. 안대진. (2019). 기록시스템의 오픈소스 전략 연구. 서울: 명지대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3. 안병우, 이상민, 심성보, 남경호, 김진성, 오동석, 정태영. (2012). 한국 공공기록관리의 쟁점과 전망: 2013년 기록관리체제를 위하여. 기록학연구, 34, 3-28.
  24. 오성진. (2015). 공공기관을 넘어 민간으로의 영역 확대. KARMA, 2, 25-26.
  25. 유영문. (2018). 표준기록관리시스템(RMS)의 기능 현황 및 발전방향: 10년의 운영경험과 기능 개선 사항을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57, 235-279.
  26. 윤은하. (2012). 공동체와 공동체 아카이브에 대한 고찰, 기록학연구, 33, 3-37.
  27. 이보람. (2013). 표준기록관리시스템 평가.폐기 기능 평가. 기록학연구, 38, 37-73.
  28. 이소연. (2011). 기록관리와 전문성: 실천으로만 보장받는 배타적 특권.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1(1), 113-138. https://doi.org/10.14404/JKSARM.2011.11.1.113
  29. 이소연. (2014). "표준RMS" 도입 및 유지 전략. KARMA, 1, 48-53.
  30. 이소연. (2015). 표준기록관리시스템의 개선전략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5(1), 29-52. https://doi.org/10.14404/JKSARM.2015.15.1.029
  31. 이소연. (2015). 표준기록관리시스템의 활용현황 연구. 기록학연구, 43, 71-102.
  32. 이승휘. (2008). '최소한의 교육과정'을 위한 인증제는 필요하다. 기록인, 2, 121.
  33. 이승휘. (2010). 기록관리법 시행령 개정은 누구를 위한 규제완화인가?, 기록관리법령 개정에 관한 토론회 자료집.
  34. 이영남, 조민지. (2017). 민주주의 관점으로 본 국가기록관리체계 평가와 전망. 기록학연구, 53, 5-43.
  35. 이영남. (2008). '마을아르페'(Community Archpe) 시론: 마을 차원의 "책, 기록, 역사, 그리고 치유와 창업의 커뮤니티"를 위한 제언. 기록학연구, 18, 221-254.
  36. 이영남. (2018). 국가기록혁신과 기록담론. 기록학연구, 56, 49-80.
  37. 이영남. (2019). 기록의 정치성에 관한 몇 가지 단상. 국가기록원 제1차 기록관리 정책포럼 발표자료.
  38. 임종철. (2015). 당신의 직업은 무엇인가요?. KARMA, 2, 134-139.
  39. 임진수. (2018). 중앙행정기관의 기록관 건립 및 운영 방안: 법무부 기록관 사례를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59, 321-353.
  40. 임진희. (2006). 전자기록의 장기보존을 위한 보존정보패키지(AIP) 구성과 구조, 기록학연구, 23, 41-90.
  41. 임희연. (2018). 기록관의 새로운 모델, 통합기록관: 교육청 기록관 체계의 재편성, 기록학연구, 58, 31-63.
  42. 장덕현. (2008). '선(先)'에게 일방적으로 유리한 인증제, 문제있다. 기록인, 2, 120.
  43. 조동일. (1993). 우리 학문의 길. 서울: 지식산업사.
  44. 조영삼. (2003). 전문직력제도의 현상과 기록연구직렬. 기록학연구, 7, 149-164.
  45. 주현미, 김익한. (2018). 기관 아카이브로의 기록관 기능 확대 방안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8(1), 129-154. https://doi.org/10.14404/JKSARM.2018.18.1.129
  46. 지수걸. (2003). 기록연구직렬 제도화를 위한 현실적 조치. 기록학연구, 7, 2, 166-167.
  47. 최재희. (2007). 기록관리학 대학원 교육과정 가이드라인 제정의 배경과 목적. 기록인, 1, 58-61.
  48. 한국기록전문가협회 기록관리 제도연구반. (2012). 기록관리 전문직 제도 개선방안연구. 한국기록전문가협회, 15-16.
  49.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혁. [확인일자: 2023. 12. 26.]
  50. 협회원. (2016). 특별지방행정기관에 기록연구사가 왜 필요하지?. KARMA, 5, 102-105.
  51. Passmore, J. & Theeboom, T. (2016) Coaching psychology research: A journey of development in research. In: van Zyl, L. E., Stander, M. W. & Odendaal, A. (eds.) Coaching Psychology: Meta-theoretical Perspectives and Applications in Multicultural Contexts. Springer, 27-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