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Study on the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and Special Archives in Korea

공공기록물관리법과 특수기록관리제도에 관한 고찰

  • 윤은하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 Received : 2023.12.31
  • Accepted : 2024.01.24
  • Published : 2024.01.31

Abstract

The records managed in special archives are core records of our society produced and managed by actual power players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The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stipulates that the transfer period of non-public records under its jurisdiction may be extended to 30 years after the end of the year of production only to special archives, and that the transfer period may be extended if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o use them for business performance even after 30 years. In order to understand the exceptional procedures and implementation of this special records management system, an analysis of not only the meaning of special records but also the characteristics, scope, and types of special records must be preceded. In addition,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special records maintained by the institution must be analyzed. It also needs to be reviewed. Therefore, this paper first analyzed the transfer status of special records revealed in the National Archives' white paper and statistical data and examined the types, categories, and characteristics of special records and special archives. Second, we reviewed the establishment of special archives by 2023 and changes in operating methods according to the organizational system.

특수기록관에서 관리되는 기록들은 실질적인 권력 주체들이 의사결정 과정에서 생산되고 관리되는 핵심기록들이다. 공공기록물관리법에서는 특수기록관에 한해 소관 비공개기록물의 이관시기를 생산연도 종료 후 30년까지 연장할 수 있으며, 30년이 지난 후에도 업무수행에 계속 사용할 필요가 있는 경우 이관시기를 연장할 수도록 규정했다. 이러한 특수기록관리 제도의 예외적 절차와 그 시행에 관해 이해하기 위해서는 특수기록관의 의미뿐 아니라 특수기록물의 특징과 범위, 유형에 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고는 첫째, 국가기록원의 백서와 통계자료에서 드러난 특수기록물의 이관 현황을 분석하고 특수기록물과 특수기록관의 유형과 범주,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둘째, 특수기록관의 설립과 조직체계에 따른 운영방식의 변화에 대해 검토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 2023. 11. 17.]
  2. 검찰보존사무규칙 [시행 2023. 8. 21.]
  3. 강선옥. (2009). 「형사사건기록의 연계관리체계 구축방안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대학원.
  4. 국가기록원. (2021). 「2021년도 국가기록원 주요통계연보」, 성남: 국가기록원.
  5. 국가기록원. (2022). 「2022년도 국가기록원 주요통계연보」, 성남: 국가기록원.
  6. 국가기록원. (2023). 「2023년도 국가기록원 주요통계연보」, 성남: 국가기록원.
  7. 국가기록원. (2023). 「2023 국가기록백서」, 성남: 국가기록원.
  8. 국가기록원. (2023). 기관유형별 특수기록관 설치 운영 방안, 비공개 회의록.
  9. 곽건홍. (2006). 한국 국가기록관리의 이론과 실제: 기록이 없으면 역사도 없다, (역사비평사: 2006).
  10. 곽건홍. (2014). 특수기록관 비공개기록의 이관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42, 327-361.
  11. 이현정. (2007). 검찰기록의 유형별 특징 및 관리방안, 기록인 창간호, 80-87.
  12. 이현정. (2010). 형사사건기록물의 분류방안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0(1), 169-197. https://doi.org/10.14404/JKSARM.2010.10.1.169
  13. 임진수. (2019). 중앙행정기관의 기록관 건립 및 운영 방안, 기록학연구 59, 321-353
  14. 문화일보. (2023). 법무부 기록관 9월 완공 목표... 320만권 분량 보존. 문화일보, 2023.12.3. https://m.munhwa.com/mnews/view.html?no=2023010301071021289001
  15. 박미자. (2006). 기록관 유형별 업무 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6(2), 133-155. https://doi.org/10.14404/JKSARM.2006.6.2.133
  16. 박상준. (2022). 국방기록관리체계 개선방향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한신대학교 대학원.
  17. 박성진. (2017). 형사사건 기록 편철.보존기간 책정 개선방안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7(2), 189-205. https://doi.org/10.14404/JKSARM.2017.17.2.189
  18. 송선문. (2014). 외교 기록의 관리 및 이용 활성화를 위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19. Randall C. Jimerson. (2009). Archives Power: Memory, Accountability, and Social Justice,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역. 2016. 「기록의 힘」, 서울: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