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ntext-Based Design and Its Application Effects in Science Classes

맥락을 중요시하는 과학 수업 전략의 개발 및 적용

  • Received : 2023.02.28
  • Accepted : 2023.12.13
  • Published : 2024.01.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class procedure for the application of classrooms that value context and to conduct science classes using this procedure to examine the effects. Among various contexts related to scientific knowledge, the study develops a teaching procedure for designing classes that focus on the contexts of discovery and real life. After verifying the content validity of the context-based design and the program to which it was applied, a class was conducted, and the responses of the children were checked. The final draft of the lesson design completed after revision and supplementation is as follows: context-based design was presented in four stages, namely, presenting, exploring the context, adapting the context, and organizing (share and synthesizing; PEAS). The goal is to enable people to experience the overall flow of scientific knowledge instead of focusing on the acquisition of fragmentary knowledge by covering a wide range of topics from the social and historical contexts in which scientific knowledge was created to its use in real life. To aid in understanding the newly proposed class procedure and verifying its effectiveness, we developed a program by selecting the "My Fun Exploration," 2. Biology and Environment unit of the second semester of the fifth grade.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elementary science program that applied the context-centered design effectively improved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students. In addition, the effect was especially notable in terms of intrinsic motivation. As the students experienced the contexts of discovery and real life related to scientific knowledge, they developed the desire to actively participate in science learning. As this becomes an essential condition for deriving active learning effects, a virtuous cycle in which meaningful learning can occur has been created. Based on the implications, developing programs that apply context-based design to various areas and contents will be possible.

본 연구에서는 맥락을 중요시하는 수업 절차를 제안하고, 과학 수업을 진행하여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과학지식과 관련이 있는 다양한 맥락 중에서 발견의 맥락과 실생활 맥락을 중심으로 수업을 설계하기 위한 수업 절차를 개발하였다. 맥락중심설계와 이를 적용한 프로그램에 대하여 전문가의 내용 타당도 검증 후 수업을 진행하였고, 학생들의 반응을 확인하였다. 수정·보완을 거쳐 완성된 수업 설계의 최종안은 다음과 같다. 맥락중심설계를 4단계 PEAS(1단계 - 맥락 제시하기(Presentation), 2단계 - 맥락 탐색하기(Explore), 3단계 - 맥락 적용하기(Adapt), 4단계 - 정리하기(Share & Synthesize)) 절차로 제시하였다. 과학지식이 어떠한 사회적·역사적 맥락에서 생성되었는가(발견의 맥락)부터 실생활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가(실생활 맥락)까지 폭넓게 다룸으로써 단편적인 지식 습득에만 치우치지 않고, 과학지식의 전반적인 흐름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새롭게 제안한 수업 절차에 대한 이해를 돕고, 그 효과를 확인해보고자 5학년 2학기 '재미있는 나의 탐구', 2. 생물과 환경 단원을 선정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 맥락중심설계를 적용한 초등과학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에 효과적이었고, 특히 내재적 동기 영역에서 효과가 두드러졌다. 학생들은 과학지식과 관련된 발견의 맥락과 실생활 맥락을 경험하면서, 과학 학습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고자 하는 욕구가 생겼고, 이것이 적극적인 학습 효과를 이끌어내는 데 필수적인 조건이 되면서 의미 있는 학습이 일어날 수 있는 선순환 고리가 만들어졌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시사점을 바탕으로 다양한 영역 및 내용을 대상으로 맥락중심설계를 적용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유미, 신영준(2011). 과학사를 활용한 다양한 수업 활동이 초등학생의 과학 학습 동기에 미치는 효과. 초등과학교육, 30(3), 330-339.
  2. 강인애(1995). 인지적 구성주의와 사회적 구성주의에 대한 간략한 고찰. 교육공학연구, 11(2), 48-63.
  3. 교육부(2015).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별책9].
  4. 국립국어원(2023). 표준국어대사전: 맥락. 2023년 1월 2일 인출, https://stdict.korean.go.kr/main/main.do
  5. 권정아, 신동훈(2015). 과학사를 활용한 '우리 몸' 단원의 교수.학습 프로그램이 초등학생들의 학업성취도, 과학 태도, 과학 탐구 능력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34(3), 325-337.
  6. 김경원(2014). 학습 맥락을 고려한 활동 중심 과학 수업 전략 개발 및 적용.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7. 김경원, 우애자(2016). 학습 맥락을 고려한 활동 중심 과학 수업의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6), 1-25.
  8. 김만권, 이기학(2003). 자기조절학습전략 프로그램이 학업 성취와 심리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5(3), 491-504.
  9. 김성욱, 임철일(2017). 모바일 탐구학습을 위한 수업설계의 개념모형 개발연구: 테크놀로지 통합을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 33(2), 327-364.
  10. 김은희, 전영석(2017). 실생활 맥락에서의 관찰을 강조한 STEAM 과학 수업이 초등학교 학생들의 과학적 소양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교육, 28(3), 17-34. https://doi.org/10.20972/KJEE.28.3.201709.17
  11. 김정환, 박용휘(2003). 초등학교 고학년용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진단 척도의 타당화. 교육평가연구, 16(1), 183-199.
  12. 김혜영, 김금선(2010). 초등학생용 자기주도학습능력 검사의 탐색 및 개발. 교육종합연구, 8(1), 21-42.
  13. 박경선, 나일주(2011). 교수-학습 환경에서의 맥락설계 원리 및 모형 개발 연구.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7(1), 1-37.
  14. 박진희, 조현영(2017). '학습자 중심' 아이디어와 실제 맥락에의 참여: 수학 수업에서의 한 가지 해석. 교육과정 연구, 35(4), 259-280.
  15. 서예원(2007). 실제적, 맥락적 문제중심학습을 위한 초등 교사의 역할: 4학년 과학과. 초등교육연구, 20(2), 75-111.
  16. 송문순(1997). 맥락제공이 문제해결학습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
  17. 송진웅(2006). 맥락 중심 접근법을 통한 인간주의적 과학 교육. 초등과학교육, 25(4), 383-395.
  18. 신기현(2003). 구성주의 교육활동을 통한 교사학습자들의 신념변화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20(2), 151-173.
  19. 신명경, 송호장, 이규호, 이선경, 최취임(2017). 과학의 인식론과 해석학: 과학교육자들의 수다. 서울: 북스힐.
  20. 심송용, 최규혁(2013). 정규 모집단의 모평균 차이 검정에서 표본크기와 검정력 계산의 구현.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4(3), 477-485.
  21. 안수진(2012). 실생활 사례를 활용한 생물단원의 교수-학습자료가 중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22. 양일호, 김여명, 임성만(2012). 초등 교사는 예상, 추리, 가설을 어떻게 지도할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5), 841-854.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5.841
  23. 오수학, 김영욱, 최지아, 권영문(2022). 체육학 검사도구 문항의 삭제와 보완을 위한 내용타당도의 정량적 검증: CVR과 CVI를 활용한 통계적 내용타당도 평가.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ce, 10(3), 25-34.
  24. 유욱희, 오영열(2014). 상황학습 기반 수업이 초등학생의 수학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학교수학, 16(3), 633-657.
  25. 이동조(1998). 개별화 열린 수업이 아동의 자기주도적 학습특성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26. 이명제(1996). 과학 교수학습에 관련된 '맥락'의 성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4), 441-450.
  27. 이명제, 이제용(1999). 학습 과제의 맥락과 탐구의 수준을 고려한 자연과 학습지 모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 (3), 448-460.
  28. 이명제, 김찬종, 최승언(1993). 실험실맥락과 지구환경맥락의 문제해결에서 활성화되는 지식의 차이.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3(2), 371-378.
  29. 이은상, 김하늬, 이은주(2021). 전문가 연계 학습자 주도 프로젝트 학습 설계전략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4), 739-755.
  30. 이유언, 박재근(2019). 초등학교 '생물과 환경' 단원의 위상과 수업 운영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생물교육, 47(3), 324-335. https://doi.org/10.15717/BIOEDU.2019.47.3.324
  31. 이은희, 이춘식(2008). 실과의 '목제품 만들기' 수업에서 프로젝트 학습이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에 미치는 효과. 실과교육연구, 14(3), 29-48. https://doi.org/10.17055/JPAER.2008.14.3.29
  32. 이재기(2006). 맥락 중심 문식성 교육 방법론. 청람어문교육, 34, 99-128.
  33. 이재봉, 김용진, 백성혜, 이기영(2010). 과학과 교육내용 개선을 위한 교육과정 내용 관련 쟁점 분석. 과학교육연구지, 34(1), 140-154. https://doi.org/10.21796/JSE.2010.34.1.140
  34. 임현화(2002). 초등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과제 맥락 분석.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35. 정지연, 노석구(2017). 과학사를 활용한 자유탐구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가설설정 및 변인통제능력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4), 193-214.
  36. 조연순, 최경희, 조덕주 (1997).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초등 과학교육과정 연구-현행 교육과정, 교과서, 수업현장 분석. 초등교육연구, 11, 185-211.
  37. 조영남(2008). 구성주의와 객관주의 수업설계 모형 비교 연구. 중등교육연구, 56, 67-92. https://doi.org/10.25152/SER.2008.56.3.67
  38. 주나희, 권난주(2022). 과학자 되어보기 활동 중심의 초등 저학년용 과학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초등과학교육, 41(3), 443-456.
  39. 최정임(1996). 상황의 맥락성과 복잡성이 학업성취와 태도, 지식의 전이에 미치는 효과: 수학적 문제해결 능력을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 12(1), 213-230.
  40. 최호정, 류한영(2015).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일상생활 속 맥락 기반의 학습 서비스 디자인-과학 학습을 중심으로. 디자인융복합연구, 14(4), 151-168.
  41. 한국교육공학회(2005). 교육공학 용어사전. 서울: 교육과학사.
  42. 홍혜진(2020). 과학적 소양을 위한 과학교육 내용구성의 쟁점에 대한 고찰: '과학지식' vs. '과학을 둘러싼 맥락'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43. 한학범(2017). 맥락의 재구성으로서의 통합수업에 대한 비평연구. 박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44. Bransford, J., Sherwood, R., Hasselbring, T., Kinzer, C., & Willianms, S. (1990). Anchored instruction: Why we need it and how technology can help. In D. Nix & R. Spiro (Eds.), Cognition, Education, and Multimedia: Exploring Ideas in high Technology (pp. 115-142). Hillsdale, NJ : Lawrence Erlbaum Associates.
  45. Brown, J. S., Collins, A., & Duguid, P. (1989). Situated cognition and the culture of learning. Subject Learning in the Primary Curriculum: Issues in English, Science and Mathematics, 18(1), 32-42.
  46. Clough, E. E. & Driver, R. (1986). A study of consistency in the use of students' conceptual frameworks across different task contexts. Science Education, 70(4), 473-496. https://doi.org/10.1002/sce.3730700412
  47. Cole, M. M, & Cole, S. R. (1989). The development of children. San Francisco: Freeman.
  48. Delisle, R. (1997). How to use problem-based learning in the classroom.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49. Dick, W., Carey, L., & Carey, J. O. (2005). The Systematic Design of Instruction (6th ed.).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50. Fehring, R. J. (1987). Methods to validate nursing diagnoses. Heart & Lung, 16(6), 625-629.
  51. Gilbert, J. K. (2006). On the nature of 'context' in chemical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8(9), 957-976. https://doi.org/10.1080/09500690600702470
  52. Guglielmino, M. (1977). Development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ness scale.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Georgia.
  53. Lynn, M. R. (1986).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Nursing Research, 35(6), 382-385.
  54. Millar, R., & Osborne, J. (Eds). (1998). Beyond 2000: Science education for the future. London: King College.
  55. Richey, R. C., & Klein, J. D. (2007). Design and development research: Methods, strategies, and issues. Mahwah, NJ: Lawrence Erlbaum.
  56. Roth, W. M. (1992). Comments to the "Methodological limitations for the use of expert systems techniques in science education research".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9(6), 629-32. https://doi.org/10.1002/tea.3660290610
  57. Zimmerman, B. J. (1989). A social cognitive view of self-regulated academic 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1(3), 329-339.
  58. Zimmerman, B. J. (1990). Self-regulating academic learning and achievement: The emergence of a social cognitive perspective.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2(2), 173-201. https://doi.org/10.1007/BF013221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