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에서는 초등과학 수업 연구를 위해 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에 참여한 교사들의 초등과학 수업 전문성의 변화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충북의 한 중소도시에 있는 18학급의 S초등학교에서 2020년 4, 5, 6학년을 맡은 여섯 명의 초등교사들이 학교 내 전문적 학습공동체에 참여하여 초등과학 수업에 대한 협력적 수업 연구를 7개월 동안 26회에 걸쳐 수행하였다. 전문적 학습공동체가 운영되는 동안 활동 영상 및 녹음 자료, 연구수업 녹화 영상, 수업 과정 자료, 전문적 학습공동체 성찰 활동 자료 등이 분석을 위해 수집되었다. 수집된 데이터는 자료 처리, 읽기와 메모, 기술, 분류, 해석 그리고 보고 및 시각화 등 질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되었으며, 수업 전문성 준거 틀에 기반하여 수업 전문성 요소가 추출되었다. 그 결과 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 활동의 초기 단계에서 참여 교사들은 먼저 수업에 대한 관점과 과학 수업에 대한 경험 및 목표에 대해 소통하였고, 소통을 통해 연구질문을 선정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교사들은 학년별로 공동의 연구수업을 설계하여 수업을 실행하였으며, 이를 동료교사들에게 개방하였다. 이후 수업에 대한 성찰이 진행되었으며, 교사들은 성찰이 거듭될수록 연구질문에 기반한 질적 성찰 능력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전문적 학습공동체에의 참여를 통한 협력적 수업연구 경험은 참여 교사들의 공동체적 학습과 이에 기반한 수업 전문성 신장에 긍정적으로 기여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통한 초등교사의 과학 수업 전문성과 관련된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changes in the elementary science teaching expertise of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an in-school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for elementary science instructional research. Six elementary school teachers from grades 4, 5, and 6 at an 18-class S elementary school in a medium-sized city in Chungcheongbuk-do conducted collaborative instructional research on elementary science lessons as part of an in-school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which was held 26 times over 7 months in 2020. During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video and audio recordings of the activities, research lessons, course materials, and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reflection activities were collected for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data processing, reading, note-taking, description, classification, interpretation, reporting, and visualization; and the instructional professionalism elements were extracted based on the instructional professionalism framework. In the early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ctivity stages, the participating teachers first discussed their teaching perspectives, their experiences, and their goals for teaching science, which resulted in a selection of research questions. The teachers then collaboratively designed and implemented research lessons for each grade level, after which lesson reflections were conducted. The teachers' abilities to engage in qualitative reflection on the research questions improved after each reflection iteration. It was found that this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collaborative lesson study experience positively contributed to teaching expertise development. Based on the study findings, the implications for using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to improve elementary teachers' science teaching expertise are giv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