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메타버스에서의 공간 형태 구성에 관한 연구 - 커뮤니케이션 게임 가상세계 '모여봐요 동물의 숲'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patial Configuration in the Metaverse - Focusing on Communication Game Virtual Worlds's 'Animal Crossing' -

  • 유연서 (동아대학교 대학원 도시계획.조경학과)
  • Yu, Yeon Seo (Landscape Architecture.Urban Planning, Dong-A University Graduate School)
  • 투고 : 2023.11.01
  • 심사 : 2023.12.08
  • 발행 : 2024.02.28

초록

앨빈토플러는 미래사회가 속도를 맞추는 동시화가 중요하다고 언급하면서 시간의 편차가 사회 발전을 저해할 수 있다고 했다. 우리는 언택트라는 뉴노멀 시대를 겪으면서 비대면 접촉의 증가와 디지털 전환 가속화를 경험했다. 이러한 빠른 변화 속에서 공간에도 동시화 즉 변화의 필요성을 견지해볼 수 있다. 이에 사람들이 어떤 정주지를 만들고 선택하는지에 대해서 연구해 보고자 한다. 이를 간접적으로 나마 알아볼 수 있는 대상으로 메타버스를 살펴보았다. 메타버스 공간 형태와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동물의 숲"이라는 콘텐츠를 활용했다. 표본추출은 비확률적 표본추출 중 판단추출 방법을 활용하여 게임의 진행에 따른 차이를 완화하였다. 수집한 자료들을 평면 형태와 입지 형태에 따라 분류하고, 기술 통계를 통해 간략하게 정리했다. 각 시설들을 용도별로 매칭한 후 군집별로 좌표를 설정하여 목록화하여 데이터를 구축했다. 이 데이터를 군집별로 좌표평면상에 그래픽으로 나타내어 해석하고, 유클리디안 분석을 실시해 군집별 관계와 거주지 선택에 관해 유클리디안 행렬로 분석했다. 분석결과 유사 기능을 근접배치해 효율성을 추구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거주지 선택에 있어서는 효율성이나 편리함이 아닌 주민들과의 인접 배치를 통해 커뮤니티를 이루고자 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메타버스와 현실세계의 다름으로 인해 이를 현실과 동일시하기에는 한계가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그러나 현실의 제약에서 멀어진 사람들이 가상세계에 표출한 공간을 통해 우리가 인지하지 못함으로 인해 명시하지 못한 바람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Alvin Toffler mentioned that it is important for future society to keep pace with synchronization and that time deviations can hinder social development. As we experience the new normal era of untact, we have experienced an increase in non-face-to-face contact and accelerated digital transformation. Amid these rapid changes, we can maintain the need for synchronization or change in space. Therefore, we would like to study what kind of settlements people create and choose. We looked at the metaverse as an object that could indirectly find out about this, and used the content called "Animal Crossing" to collect data related to the spatial form of the metaverse. Sampling utilized a judgment sampling method during non-probability sampling to alleviate differences due to the progress of the game. The collected data was classified according to floor plan and location type and briefly organi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After matching each facility by use, data was constructed by setting coordinates for each cluster and listing them. This data was interpreted graphically on the coordinate plane for each cluster, and Euclidean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clusters and residential choice using a Euclidean matrix.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could be interpreted that efficiency was pursued by arranging similar functions in close proximity. Nevertheless, when choosing a residence, it was interpreted that the intention was to create a community through arrangement adjacent to residents rather than efficiency or convenience. Due to the differences between the metaverse and the real world,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limitations in equating it with reality. However, through the space expressed in the virtual world by people who are far away from the constraints of reality, we can indirectly know the wishes that we have not been able to express due to our lack of awareness.

키워드

과제정보

이 성과는 정부(환경부)의 재원으로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의 녹색복원 특성화대학원 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참고문헌

  1. 권창희(2021) 스마트시티기반의 메타버스(Metaverse)를 통한 도시문제해결 방안에 관한 연구. 조선자연과학논문집 14(1): 21-26. https://doi.org/10.13160/RICNS.2021.14.1.21
  2. 권혁 옮김(2015) 토마스 모어의 뺷유토피아뺸. 돋을새김.
  3. 김성희, 이현우, 류원, 김광신(2014) 스마트공간과 메타버스 전시안내 기술개발 동향.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 김주영(2014) 거주지역별 주거이동계획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주거환경 12(3): 197-208.
  5. 서성은(2008) 메타버스 개발동향 및 발전전망 연구. 한국컴퓨터게임학회 논문지 12: 15-23.
  6. 수연, 최경란, 박진아(2011) 일본 마찌야(町家)의 유형과 공간 사용상의 특성 연구. Archives of Design Research 24(3): 361-370.
  7. 우성미, 장동련(2021) 트랜스미디어 환경의 메타버스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연구. 브랜드디자인학 연구 19(2): 29-48.
  8. 이강원(2016) 지형 공간정보체계 용어사전. 구미서관.
  9. 이경은, 장동련(2021) 메타버스 환경을 위한 참여형 브랜디드 게이미피케이션 연구 - 글로벌 브랜드 사례를 중심으로 -. 브랜드디자인학연구 19(2): 277-290. https://doi.org/10.18852/BDAK.2021.19.2.277
  10. 이경찬, 최봉문(2006) 역사지리정보를 활용한 도시공간구조 변화에 관한 형태학적 연구 - 근대 심양의 도시성장을 대상으로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6(12): 147-154.
  11. 이동은, 함고운(2010) 시나리오 기법을 활용한 증강현실 서비스 발전 전망. 인문콘텐츠 17: 173-198.
  12. 이주형(2001) 도시형태론. 보성각.
  13. 이현정(2021) AI시대, 메타버스를 아우르는 새로운 공감개념 필요성에 대한 담론.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21(3): 79-90. https://doi.org/10.7583/JKGS.2021.21.3.79
  14. 임동훈(2015) R을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 자유아카데미.
  15. 전산용어사전편찬위원회(2011) 컴퓨터인터넷 IT용어대사전. 일진사.
  16. 전준현(2021) 메타버스 구성 원리에 대한 연구: 로블록스를 중심으로. 영상문화 38: 257-279.
  17. 최희수, 김상헌(2017) 역사교육을 위한 메타버스 콘텐츠 연구. 글로벌문화콘텐츠 26: 209-226.
  18. 한송이, 김태종(2021) 메타버스 뉴스 빅데이터 분석: 토픽 모델링 분석을 중심으로.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22(7): 1091-1099.
  19. 한연오, 박태원(2016) 듀플렉스 하우징(Duplex Housing) 주거선택요인이 거주만족에 미치는 영향 분석. 도시설계 17(3): 123-137.
  20. 한혜원(2008) 메타버스 내 가상세계의 유형 및 발전방향 연구.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9(2): 317-323.
  21. 홍성희, 신춘성(2015) 메타버스 기반 혼합현실 전시안내 시스템. 한국정보통신 학회지 16(1): 31-37.
  22. 황용운(2016)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신 ․ 구 신도시 아파트의 평면 구성 비교 분석.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집 25(2):123-130.
  23. pmg 지식엔진연구소 "시사상식사전". 박문각.
  24. Lopez-Diez, J.(2021) Metaverse: Year One. Mark Zuckerberg's video keynote on Meta (October 2021) in the context of previous and prospective studies on metaverses. Pensar Public 15(2): 299-303. https://doi.org/10.5209/pepu.79224
  25. 네이버 게임라운지 http://game.naver.com/r/GM_414 (2023.10.15. 기준).
  26. 뉴스원 ""금가루 같은 e스포츠 티켓"…인기 넘쳐 유일하게 추첨 판매" 2023.09.25.
  27. 데이터서울 http://data.seoul.go.kr
  28. 두산백과 http://doopedia.co.kr
  29. 세종시 http://.sejong.go.kr
  30. 아시아경제 "우울증 환자 100만명 시대...제약사 치료제 개발 한창" 2023.10.04.
  31. 위키피디아 http://ko.wikipedia.org/ (2023.10.15. 기준)
  32. 표준국어대사전 http://dict.aik.or.kr
  33. 헬로티 "'메타'로 사명 변경한 페이스북, 메타버스 새 시대 연다" 2021.10.29
  34. Smart, J., J. Cascio and J. Paffendorf(2001). Metaverse Roadmap Overview. http://metaverseroadmap.org/over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