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교육부. (2014). 2014년 디지털교과서 개발 및 활성화 계획(안). 세종: 교육부.
- 김성식, 안성훈, 이건남, 최숙기, 김길모, 유지은, 서례숙. (2015). 2015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디지털교과서 개발 방향 연구. 교육과학기술부발간물. 세종: 교육부.
- 김소형, 정용화. (2003). 전산회계 전자교재(e-Textbook) 개발에 관한 연구. 직업능력개발연구, 6(1), 117-140.
- 김인수. (2017). 학생선수를 위한 게임화 전략 기반 전자교재 개발에 대한 연구: 학생선수의 인식 탐색. 한국스포츠학회지, 15(4), 711-720.
- 김재경, 허경, 서우석, 손원성. (2013). 대학 교육에서의 디지털교과서 활용 전략 - 추진 체계 확립과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 전자출판연구, 2, 21-27.
- 노상진. (2014). 스마트교육을 위한 공간정보 콘텐츠 개발방안 연구 : 전자교과서를 사례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류지헌, 정효정. (2013). 원격대학 학습자의 연령 및 성별에 따른 스마트패드용 전자교재 사용의도에 대한 기술수용모형 분석. 교육방법연구, 25(3), 623-647. https://doi.org/10.17927/TKJEMS.2013.25.3.623
- 송철욱. (2000). 전자책 읽을까, 종이책을 읽을까. PCLINE 8월호.
- 이두걸. (2010. 04. 10). e-book특집, 전자책의 역사. 서울신문. 자료검색일 2023. 5. 16, 자료출처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00410011005
- 이성혜, 최효선, 채유정. (2018). 중.고등학생의 전자교재 기반 온라인 학습 경험 모형 탐색.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4(2), 331-361.
- 이정춘. (2000). 디지털 시대의 전자책(e-book) 발전 방향, e-book의 시장 전망과 문제점. 문화관광부.
- 이종문. (2021). 대학생 대상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서의 강의 콘텐츠 운영 실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32(4), 5-24.
- 장충재. (2011). E-Book을 활용한 교과 수업 학습만족도 및 성취도 분석.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정화연. (2022). 무료온라인쇼핑몰 만들기. 서울: 유페이퍼.
- 정화연. (2022). 패션학과 내 전자책(e-book) 교재 개발에 대한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 춘계학술대회. 83-84.
- 정효정. (2014). 성인학습자를 위한 전자교재 개발 방향에 대한 연구 - Adobe DPS 기능을 활용한 디지털 퍼블리싱 사례를 중심으로 -.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4(1), 582-590.
- 정효정, 류지헌, 나청수. (2013). 스마트패드용 전자교재의 설계유형에 따른 사용편의성, 인지부하, 상호작용 과정에 대한 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9(3), 547-572.
- Daniel, D. B., & Woody, W. D. (2013). E-Textbooks at what cost? Performance and use of electronic v. Print texts. Computers & Education, 62, 18-23. https://doi.org/10.1016/j.compedu.2012.10.016
- Lau, K. H., Lam., T., Kam, B. H., NKjoma, M., Richardson, J., & Thomas, S. (2018). The role of textbook learning resources in e-learning: A taxonomic study. Computers & Education, 118, 10-24. https://doi.org/10.1016/j.compedu.2017.11.005
- Rockinson-Szapkiw, A. J., Courduff, J., Carter, K., & Bennett, D. (2013). Electronic versus traditional print textbooks: A comparison study on the influence of university students' learning. Computers & Education, 63, 259-266. https://doi.org/10.1016/j.compedu.2012.11.022
- Weisberg, M. (2011). Student attitudes and behaviors towards digital textbooks. Publishing Research Quarterly, 27(2), 188-196. https://doi.org/10.1007/s12109-011-9217-4
- Weng, C., Otanga, S., Weng, A., & Cox, J. (2018). Effects of interactivity in E-textbooks on 7th graders science learning and cognitive load. Computers & Education, 120, 172-184. https://doi.org/10.1016/j.compedu.2018.02.008
- Yair, Y. Y. (2014). Print vs. digital books in distance education. ACM Inroads, 5(1), 28-29. https://doi.org/10.1145/2568195.2568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