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GMO 교육을 통한 인식개선 효과 연구: 경남대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Perception Improvement through GMO Education: A Case of Kyungnam University Students

  • Eun-Hee Seo (Dept. of Education(nutrition), Kyungnam University)
  • 투고 : 2023.12.14
  • 심사 : 2024.01.08
  • 발행 : 2024.04.30

초록

This study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 GMO education(n=108 university students). Although the experience of encountering GMO was 84.3%, awareness was moderate or lower for 76.9%, 62% were unaware of GMO labeling, and 44.4% had no previous education on GMO. After the education, GMO positive perceptions, specifically in terms of improving work efficiency(p<0.05), negative perception(p<0.001), and GMO knowledge increased significantly(p<0.05). The need for expanding GMO labeling (p<0.05) and adjust to 0.9%(exclusion criteria) for labeling(p<0.001) increased significantly. Moreover,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need and willingness to accept a price increase for the full labeling system(p<0.01), with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willingness to pay up to 20%(p<0.05). The pre-contemplation stage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p<0.001). The preparation and behavior and maintenance stage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p<0.001).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suggested that GMO education be implemented to provide accurate information and emphasize the necessity of consumers' right to know and choose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the full labeling system of GM foods.

키워드

과제정보

이 연구결과물은 2022학년도 경남대학교 학술진흥연구비 지원에 의한 것임.

참고문헌

  1. 윤계형, "유전자변형식품등의 표시제도에 대한 사후적 입법평가", 세종: 한국법제연구원, (2017).
  2. 정명채, "2020. GMO 완전표시제 서둘러 도입 해야", 농민포럼. https://www.nongmin.com/opinion/OPP/SWE/RPT/323124/view[2020 06. 06].
  3. 김석신, "음식윤리 개요", 식품과학과 산업, 49(2), pp. 83-97, (2016).
  4. 김문정, "GMO, 식량주권 그리고 생명의 위기", 환경철학, 22, pp. 63-91, (2016).
  5. 김석신, "음식윤리학", 경기도, 궁리, (2016).
  6. 이경애, "초등예비교사의 음식윤리에 대한 인지도 및 인식 조사", 實科敎育硏究, 27(1), pp.137-160, (2021).
  7. 한국바이오안전성센터, GMO정보포털, https://www.biosafety.or.kr/portal/page/c_01[2023.01.15]
  8. 김태창, "학교 급식에서의 음식 윤리 교육의 중요성", 환경철학, 27, pp. 35-60, (2019).
  9. 심민석, "유전자변형식품(GMO)의 규제와 표시제도에 관한 입법방안 연구-미국, EU, 일본의 GMO 규제와 표시제도 비교분석", 比較法硏究, 21(1), pp. 181-214, (2021).
  10. 한국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 "바이오안전성 백서", (2021).
  11. 권현수, 김영국, "유전자변형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지식, 지각위험 및 신뢰와의 관계", 관광학연구, 36(4), pp. 283-304, (2012).
  12. 마크로밀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 "2017 유전자변형식품(GMO) 관련 인식 조사", 리서치보고서, 2017(6), pp. 1-41, (2017).
  13. 차민영, 김효정, 김미라, "대구 지역 주부의 유전자변형식품 완전표시제에 대한 인식도 및 유전자변형식품 구매의도 분석", 한국생활과학회지, 29(6), pp. 1001-1015, (2020).
  14. 이은자, 김형일, "유전자재조합식품에 대한 정보제공 전과 후의 소비자 인식 변화에 대한 연구", 호텔리조트연구, 20(6), pp. 349-368, (2021).
  15. 최다혜, 정복미, "학부모 대상 유전자변형(GMO)식품에 대한 인지도 및 교육요구도 조사-전남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33(1), pp. 67-82, (2022).
  16. 김혜지, "Non-GMO 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글로벌 모티브와 행동의도", 국내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서울, (2019).
  17. 박영숙, 이정원, 서정숙, 이보경, 이혜상. "영양교육과 상담", 파주, 교문사, (2017).
  18. 장재선, "전공 여부에 따른 대학생의 유전자 재조합식품의 인식, 지식 및 구매 태도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식품영양학회지, 29(1), pp.79-86, (2016).
  19. 이정하, 박지애, 이우찬, 백재은, "20대식품 전공자와 비전공자의 유전자재조합(GMO)식품 인식 비교조사", 동아시아식생활학회학술발표대회논문집, 2022(11), pp. 138-139, (2022).
  20. 김동광, "과학과 대중의 관계 변화", 과학기술학연구, 2(2), pp. 1-23, (2002).
  21. Pusztai, A, "SOAEFD flexible Fund Project RO 818 Report of Project Coordinator on data produced at the Rowett Research Institute (RRI)", 1998.
  22. Seralini GE, Clair E, Mesnage R, Gress S, Defarge N, Malatesta M, Hennequin D, de Vendomois JS. Seralini GE, Clair E, Mesnage R, Gress S, Defarge N, Malatesta M, Hennequin D, de Vendomois JS. "Long term toxicity of a Roundup herbicide and a Roundup-tolerant genetically modified maize", Food Chem Toxicol, 50(11), pp. 4221-31, 2012.
  23. 김동광, "전지구적 사유화 체제와 생명공학의 실행양식 - 'undone science'로서의 GMO 연구와 그 함의를 중심으로", 생명, 윤리와 정책, 3(2) pp. 19-46, (2019).
  24. 임하나, "GMO의 이익과 위험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구매의도", 국내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경기도, (2011).
  25. 박해원, 박찬순, 이균식, "대체육 식품의 요인별 중요도가 소비자 구매 의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유통학회 학술대회, 2023(1), pp. 327-336, (2023).
  26. Boccia F, Sarnacchiaro P, "Genetically modified foods and consumer perspective", Recent Patents, Food Nutr Agric, 7(1), pp. 28-34, (2015).
  27. 황윤재, 한재환, 이계임, "GM농산물 개발 및 재배에 대한 소비자 인식 분석", 농업경영정책연구, 42(1), pp. 1-18, (2015).
  28. 김아영. "왜 GMO완전표시제인가? -GMO표시제의 현황과 과제-", 농정연구, 67, pp. 182-194, (2018).
  29. 한재환, 김배성, 주현정, "GM농산물 표시기준의 비의도적 혼입률 감축에 따른 경제적 효 과: 옥수수 식용유를 중심으로", 농업경영.정책연구, 37(2), pp. 303-322, (2010).
  30. 남경수, 임희선, 안병일, "GMO표시 확대가 식품산업에 미치는 효과", 2(2), pp. 135-168, (2019).
  31. 권혁찬, "수입 대두, 비의도적 GMO 혼입치를 보니...", https://www.nongaek.com/news/articleView.html?idxno=43551[2018.08.10]
  32. 한재환, "미국 소비자의 GM농식품 의무적 표시제를 위한 추가지불의향", 소비자학연구, 20(3), pp. 61-74, (2009).
  33. 김훈기, "생명공학 소비시대 알 권리 선택할 권리", 서울, 동아시아,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