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nfluences of Learning Satisfaction among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on Online Non-face-to-face Classes during COVID-19 Pandemic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한 온라인 비대면 수업에서 간호대학생의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24.03.14
  • Accepted : 2024.04.01
  • Published : 2024.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learning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in online non-face-to-face classes during COVID-19 pandemic. 138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were recruited from C nursing colleges of C city in Gyungnam. Data was collected using a self-reported online-questionnaire from 5 January to 18 January, 2022.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WIN 27.0 program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Factor influencing learning satisfaction among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on online non-face-to-face classes during COVID-19 pandemic were teaching presence(presence of teacher)(𝛽=.43, p<.001), instructional quality(content qualities)(𝛽=.41, p<.001), Satisfaction of nursing major(satisfaction)(𝛽=.13, p<.001). instructional quality(interface)(𝛽=.12, p=.036), which explained about 85.3% of total variance(F=192.78, p<.001).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class satisfaction in online non-face-to-face classes, it is necessary to operate classes that prioritize the presence of teacher so that learners can recognize and trust the presence of teacher by passionately professional performing. And, among instructional quality, we should be strengthen the usefulness of learning materials, content factors related to tests and assignments, and strive to improve satisfaction of nursing major.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epare and operate classes that fully consider the interface factors related to the manual composition and system convenience for online classes among the quality factors of classes.

Keywords

Acknowledgement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Changshin University Research Fund of 2022(Changshin-2022-052).

References

  1.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0, WHO DirectorGeneral's opening remarks at the media briefing on COVID-19-11 March 2020, , viewed 10 March (2023).
  2. 송호철, 뉴 노멀 시대, 언택트(Untact) 솔루션과 업무지속계획(BCP)의 필요성, 전자공학회지, 47, 6, p.37-41, (2020).
  3. 교육부, 2020, 포스트코로나 미래교육 전환을 위한 디지털 기반 고등교육 혁신 지원 방안, , viewed 10 March (2023).
  4. 정인성, 임정훈, 라디오 기반 방송원격수업과 웹 기반 가상수업의 비용 효과성 비교.분석 연구, 교육공학연구, 17, 1, p.131-163, (2001).
  5. 권정숙, 대학에서의 새로운 교수학습방법 적용에 대한 고찰,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8, 11, p.329-337, (2018).
  6. Pena-Shaff, J., W. Martin, & G. Gay, An Epistemological framework for analyzing student ineractions in computermediated communcation environment, Journal of Interactive Learning Research, 12, 1, p.41-68, (2001).
  7. 남영옥, 대학의 온라인 수업 질 제고 요인에 대한 대학생의 전공계열별 요구분석, 학습자 중심교과교육학회, 20, 22, p.975-997, (2020).
  8. 한정선, 김진희, 대학 플립드러닝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 교수실재감, 인지된 학업성취도 간의 구조관계,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4, 1, p.177-199, (2018).
  9. Khalid, M. N., & Quick, D., Teaching Presence Influencing Online Students' Course Satisfaction at an Institution of Higher Education, International Education Studies, 9, 3, p.62-70, (2016).
  10. 백상현, 대학의 비대면 온라인 수업유형에 따른 수업만족도 분석, 인문사회21, p.2543-2555, (2021).
  11. Larmuseau, C., Desmet, P., & Depaepe, F., Perceptions of instructional quality: Impact on acceptance and use of a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Interactive Learning Environments, 27, 7, p.953-964, (2019).
  12. 김동일, 임정은, 우예영, 한다솜, 이진우, 연준모, 비대면 수업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온라인 수업 구성요소: 대학교 이론 수업 수강생을 중심으로, 교육연구논총, 42, 2, p.35-60, (2021).
  13. 권선희, 류현숙,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수업에서 교수 및 학습자 상호작용, 자기주도 학습 능력, 학습참여도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 11, p.87-97, (2021).
  14. 김선미, 온라인 학습 효과 UP! 핵심은 자기주도학습역량: 아동.청소년 뇌교육 가이드 2편, 브레인, 81, p.52-53, (2020).
  15. 박미마, 신지훈, 코로나19(COVID-19)로 인한 온라인 강의대체가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업성취도 및 온라인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The Health Care and Science, 9, 1, p.77-86, (2021).
  16. Faul, F., Erdfelder, E., Buchner, A., & Lang, A. G.,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 G* G* 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41, 4, p.1149-1160, (2009).
  17. 이석재, 생애능력 측정도구 개발연구: 의사소통 능력, 문제해결 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중심으로 (RR2003-15-03), [KEDI] 연구보고서, , p.1-145, (2003).
  18. 진서연,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개발을 위한 교육요구분석,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대한민국, (2021).
  19. 고은현, e-러닝 환경에서의 교수 실재감 측정 도구 개발 연구,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대한민국, (2007).
  20. 차민정, 고등교육 이러닝에서 교수자와 학습자 행위가 교수실재감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대한민국, (2018).
  21. 이종연, 서종택, 원격평생교육에서 수업의 질적 요소, 학습만족도 및 학업성취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7, p.135-144, (2017).
  22. 주영주, 김나영, & 조현국, 사이버대학에서의 강좌평가를 위한 측정도구 개발 및 양호도 검증,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2, 1, p.109-120, (2008).
  23. 유민우, 대학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서 강의유형과 교과유형의 수업만족도와 학습실재감에 대한 상호작용 분석,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대학원, 대한민국, (2021).
  24. 구본진, 김아림, 대학 온라인 원격 교육환경에 서 수업의 질, 교수실재감, 교수지지가 간호대학생의 학업 낙관성 및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지, 16, 3, p.141-148, (2021).
  25. 송충진, 대학에서의 교수-학습활동과 의사소통, 수업만족도에 관한 연구: 교수자와 학습자 간 인식차이와 영향요인을 중심으로, 아시아교육연구, 15, 2, p.171-200, (2014).
  26. 송충진, 대학에서의 교수-학습활동과 의사소통, 수업만족도에 관한 연구: 교수자와 학습자 간 인식차이와 영향요인을 중심으로, 아시아교육연구, 15, 2, p.171-200, (2014).
  27. Kim, S. N., The contents analysis of nursing student's perception about on-line lectur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 17, p.477-491, (2020).
  28. 김수진, 블렌디드 러닝 수업에 대한 간호학생의 만족도 조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10, 7, p.411-419, (2019).
  29. 전해옥, 안경주, 온라인 원격수업에 대한 간호대학생의 학습 실재감과 자기주도학습역량이 전공교과목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7, 4, p.381-391, (2021).
  30. 박지영, 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력과 온라인 과제가치인식이 수업만족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 29, 3, p.165-185,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