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roposal of WebGIS-based Korean Archaeological Dictionary Information Service Model

WebGIS 기반 한국고고학사전 정보서비스 모델의 제안

  • KANG Dongseok (Dept. of Archaeology and Art History, Dongguk University)
  • 강동석 (동국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 Received : 2023.10.14
  • Accepted : 2024.02.20
  • Published : 2024.03.29

Abstract

The Korean Archaeological Dictionary, which represents Korean archaeological knowledge information, contains refined and high-quality information written by expert collective intelligence. This is a characteristic that clearly distinguishes it from overseas archaeological data archives, and can be called differentiated infrastructure data. However, it has not played a role as an information service or knowledge information platform reflecting the latest digital technology. As a way to maximize these strengths and compensate for weaknesses, it was proposed to develop and operate a GIS-based knowledge and information platform for Korean archaeology. To realize thi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itle management system centered on repositories and metadata that can collect and store various information, link open linked data design and related systems, develop a search function that can analyze and visualize data in response to the big data era, and establish a WebGIS-based information service system. This will be a platform to continuously manage, supplement, and update Korean archaeological knowledge information, build a ubiquitous environment where anyone can use information anytime, anywhere, and create various types of business models.

한국 고고학 지식정보를 대표하는 한국고고학사전은 전문가 집단지성에 의해 구축된 정제된 고품질의 정보를 담고 있다. 이것은 해외의 고고학 데이터 아카이브와 명확히 구별되는 특성으로, 차별화된 인프라 데이터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최신의 디지털 기술을 반영한 정보서비스 또는 지식정보 플랫폼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강점을 극대화하고 약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안으로, GIS 기반의 한국고고학 지식정보 플랫폼 구축과 운영을 제안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각종 정보를 수집·저장할 수 있는 리포지터리와 메타데이터 관리시스템 구축, 위치기 반 온톨로지 데이터 설계, 개방형 연계 데이터 설계와 시스템 구축, 시멘틱 WebGIS 기반의 정보서비스체계 구축이 요구된다. 이것은 한국고고학 지식정보를 지속적으로 관리·보완·갱신하고,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다양한 형태의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할 수 있는 플랫폼이 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영옥.조나혜, 2013, 「온톨로지 기반의 인문지리정보 통합시스템 구축자료 검증방안」, 「한국지도학회지」13(1), 한국지도학회.
  2. 국립문화재연구소, 2020, 「고고유적 공간정보 관리체계 개선 연구」.
  3. 김범철, 2023, 「고고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의 과제와 전략」, 「문화재」 56(1), 국립문화재연구원.
  4. 김상언, 2012, 「데이터, 정보, 지식, 콘텐츠」, 「인문콘텐츠」 27, 인문콘텐츠학회.
  5. 김현종, 2023, 「한국 역사지정보의 디지털 이행과 분석, 그리고 역사 GIS의 과제」, 「서강인문논총」 66,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6. 김혜령, 2016, 「디지털 시대의 사전 편찬 -<우리말샘>의 집필 참여 시스템을 중심으로」, 「디지털 테크네 시대와 어문학의 미래」, 어문연구학회 학술대회자료집.
  7. 박정훈, 2013, 「Linked Data 기반 기록물의 온톨로지 모델링」, 「융복합지식학회논문지」 1(1), 융복합지식학회.
  8. 백욱인, 2011, 「빅데이터를 둘러싼 전유 싸움: 디지털 아카이브를 중심으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SSK 위험정보사회 연구팀 8회 정기세미나 자료집」, 서울과학기술대학교.
  9. 안준환, 2015, 「집단지성 기반 융합형 미래 가치 창조 플랫폼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윤상진, 2012, 「플랫폼이란 무엇인가?: 구글처럼 개방하고 페이스북처럼 공유하라」, 한빛비즈.
  11. 이초롱, 2023, 「한국고고학 디지털 사전구축 방안 연구」, 「문화재」 56(2), 국립문화재연구원.
  12. 이혜림, 2018, 「국가 고고학 데이터 디지털 아카이브 개발을 위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8(2).
  13. 차순철, 2016, 「고고학 자료 데이터베이스화의 현황과 과제」, 「한국고대사연구」 84, 한국고대사학회.
  14. 홍일영.오충원, 2010, 「인문지리정보 통합시스템 구축을 위한 온톨로지 연구」, 「한국지도학회지」 10(2), 한국지도학회.
  15. Chiao-Ling Kuo, Han-Chuan Chou, 2023, An ontology-based framework for semantic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development and understanding, Computers & Geosciences 181, 105462.
  16. Linfang Ding, Guohui Xiao, Diego Calvanese, Liqiu Meng, 2020, A Framework Uniting Ontology-Based Geodata Integration and Geovisual Analytics, International Journal of Geo-Information 9(8), pp.1~26.
  17. Meghini, Carlo, Scopigno, Roberto, Richards, Julian Daryl et al.(17 more authors), 2017, ARIADNE: A Research Infrastructure for Archaeology, Journal on Computing and Cultural Herit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