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Hot Springs(Tangsil Building) of Temporary Palace(Onyanghaenggung) according to the <Oncheonhaenggungdo>(1795)

<온천행궁도(溫泉行宮圖)>(1795)의 온천(탕실) 건축 고찰

  • LEE Jeongsoo (Dept. of Architectur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Ilhwan (Dept. of General Education for Human Creativity, Hoseo University) ;
  • LEE Kyeongmi (Institute of Historic Architecture Technique in Seoul) ;
  • JI Wonku (Korea University) ;
  • CHOI Jaeseong (Dept. of Architectur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23.12.28
  • Accepted : 2024.02.27
  • Published : 2024.03.29

Abstract

Onyanghaenggung Palace(temporary palace at Onyang) is an important cultural heritage that can substantially confirm the king's visiting at hot springs based on literature records such as <Ongungyeonggoedae(溫宮靈槐臺)>, <Oncheonhaenggungdo(溫泉行宮圖)> of 『Ongungsasil(溫宮事實)』, <Younggoedaedo(靈槐臺圖)>, 『Younggoedaegi(靈槐臺記)』 and cultural properties such as Yeonggoedae(靈槐臺) and Shinjeong Monument(神井碑). Through a photo taken by Hermann Sander in 1906,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hot springs(Tangsil building) at Onyanghaenggung Palace during the Joseon Dynasty was maintained until the early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compositions of the hot springs(Tangsil building) in Onyanghaenggung Palace based on literature records and <Oncheonhaenggungdo>(1795). To achieve these purposes, we firstly examined the changes in Onyanghaenggung Palace and the hot springs (Tangsil building); secondly, the bathing behaviors of kings were reviewed; thirdly, we organized the architectural composition of the hot springs (Tangsil building) according to "Ongung Repair" of 『Ongungsasil (溫宮事實)』; and fourthly, by comparing Sander's photo in the early days of Japanese colonial rule, the architectural composition of the hot springs (Tangsil buildi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was examin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hot springs(Tangsil building) of Onyanghaenggung Palace were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Onjeongsil(溫井室) in the reign of King Hyeonjong and maintained until 『Hoseo-eupji』 (1871) in the late Joseon Dynasty. It matches the photograph taken by Hermann Sander(1906) and <1912 Onyang Hot Springs in Asan City>(1912) of Korea Copyright Commission during the early Japanese colonial period. Second, the various king's bathing methods during the Joseon Dynasty were adopted such as washing, spilling and bathing head while sitting on a bathing platform or chair, or exposing the steam of hot spring water, dipping feet into the water and a half-body soaking bath below the navel immersed in water. Third, the stone bathtubs of hot springs(Tangsil building) are composed of the upper bath which was hot spring water gushes out from the northwest, bends to the east, enters the middle bath, and bends to the south to come out to the outside to gather in the lower bath. Around the stone bathtubs, pebble stones brought in from Taean were laid on the floor of the hot springs(Tangsil building). From the above considerations, the compositions of the Tangsil building in Onyang Temporary Palace is based on the king's approach from the main royal building, the king's bathing method and bathing tools, the bathing behavior of enlisted medical officers and bathing assistants, and each rooms mentioned in "Ongung Repair". By comparing it with Hermann Sander's photo, the architectural compositions of the hot springs(Tangsil building) can be estimated.

온양행궁은 <온천행궁도(溫泉行宮圖)>『온궁사실(溫宮事實)』(1795), 『영괴대기(靈槐臺記)』 및 <영괴대도> 등의 문헌자료와 영괴대(靈槐臺), 신정비(神井碑)로 왕의 온행을 확인가능한 문화유산이다. 특히 1906년 헤르만 산더(Hermann Sander)가 촬영한 사진을 통해, 조선시대 온양행궁의 온천(탕실)이 일제강점기 초기까지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온양행궁 관련 문헌 및 <온천행궁도>(1795)에 기초하여, 온양행궁 탕실의 건축형식을 밝혀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첫째 온양행궁 및 탕실의 변천을 살펴보고, 둘째 왕의 목욕문화 및 행태를 고찰한 후, 셋째 <온천행궁도> 온천(탕실) 건축을 「온궁수리」를 통해 정리하고, 넷째 일제강점 초기 헤르만 산더(Sander)의 사진과 비교하여 조선 후기 마지막 온양행궁 온천(탕실) 건축 형식을 고찰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첫째, 온양행궁 온천(탕실)은 현종 초 온정실(溫井室, 8칸), <온천행궁도> 온천(탕실)로 이어지면서 조선 후기 『호서읍지』(1871)까지 유지되고 있는데, 일제강점기 초기 헤르만 산더(1906) 및 <1912년 충남 아산시 온양온천>(한국저작권 위원회) 사진 건축물과 일치하고 있다. 둘째, 조선시대 국왕의 목욕법은 목욕평상(沐浴平床) 또는 교의(交倚)에 앉아 세두, 유두, 목두 등을 시행하거나, 온천수 증기를 직접 쐬는 훈세, 탕정 앞에 목판을 깔고 앉아 물에 발을 담그는 침족 또는 침세, 그리고 배꼽 아래만 물에 담그는 반신욕인 체욕, 좌탕 등의 다양한 목욕방법을 채택하였다. 셋째, 온양행궁 온천(탕실)은 온천수가 상탕 서북쪽에서 분출되어 동쪽으로 꺾여 중탕으로 들어가고 남쪽으로 꺾어지면서 바깥으로 나와 하탕이 되는 구조로서, 탕체 주변부는 태안에서 실어 온 바둑돌을 탕실 바닥에 깔았다. 이상의 고찰로부터, 어실로부터 왕의 접근동선, 왕의 목욕법과 목욕도구, 입대하는 의관과 목욕보조 인력 등 목욕행태와 「온궁수리」에서 언급된 각 실 등의 구성을 헤르만 산더의 사진과 비교하여, 온양행궁 온천(탕실) 건축물을 추정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온궁사실」 서울대학교 규장각(https://kyudb.snu.ac.kr/book/view.do).
  2. <온궁영괴대도> 국립중앙박물관(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5920).
  3. 조수삼, <온정기> 「추재집」. 이종묵, 백성과 함께한 온양온천, 한국고전번역원(https://www.itkc.or.kr/).
  4. 남구만, 「약천집」 제28권 기(第二十八券 記), <온양온천북탕기>. 한국고전종합DB(https://db.itkc.or.kr/).
  5. 오두인, 「양곡집」 3권(卷之三) 잡저(雜著) 온천 행행도서(行幸圖序) 을사. 한국고전종합DB(https://db.itkc.or.kr/).
  6. 홍기주, 「환유첩」 온양지도. 국립민속박물관(https://www.nfm.go.kr/).
  7. 「조선왕조실록」 국사편찬위원회(https://sillok.history.go.kr/main/main.do).
  8. 「승정원일기」 국사편찬위원회(https://sjw.history.go.kr/main.do).
  9. 「비변사등록」 한국사데이타베이스 국사편찬위원회(https://db.history.go.kr/item/level.do?itemId=bb).
  10. 「상방정례」 디지털장서각(https://jsg.aks.ac.kr/data/serviceFiles/pdf/K2-3183_001.pdf).
  11. 「호서읍지」, 「온양군읍지」, 「1872년지방지도」 온양군지도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지리지종합정보 읍지속의 지도모음(http://kyujanggak.snu.ac.kr/).
  12. 구한국외교문서(https://www.krpia.co.kr/).
  13. 국립중앙박물관소장 조선총독부박물관문서(https://www.museum.go.kr/).
  14. 국립중앙도서관 대한민국 신문 아카이브(https://nl.go.kr/).
  15. 서울역사아카이브(https://museum.seoul.go.kr/).
  16. 한국저작원위원회 공유마당(https://gongu.copyright.or.kr/gongu/main/main.do).
  17. KBS 역사스페셜 58회, <온천궁궐, 온양행궁의 비밀>, 2000.2.26.
  18.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https://www.heritage.go.kr/).
  19. 아산시, 2009, 「역주(譯註) 온궁사실(溫宮事實)」,
  20. 조선총독부지질조사소, 1925, 「조선지질조사요보」 3, KRIHS 전자도서관.
  21. 아산시, 2001, 「온양행궁 학술조사 및 복원기본계획」.
  22. 아산시, 2022, 「온양행궁 국가지정등 타당성 조사보고서」.
  23. 설혜심, 2001, 「온천의 문화사」, 한길사.
  24. 김일환, 2011, 「조선시대 온양 행궁의 건립과 변천 과정」,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29.
  25. 김일환, 2015, 「조선시대 왕실의 온천 목욕법에 대한 연구」, 「역사와 실학」 58.
  26. 김선희, 2016, 「조선의 행궁 국왕의 행차를 중심으로」, 「고궁문화」, 국립고궁박물관, 9.
  27. 이정수.김일환.이경미.지원구.최재성, 2023, 「<온천행궁도(溫泉行宮圖)>(1795)의 온양행궁지 추정 및 온양행궁 변천 고찰」, 「문화재」 56(4), 국립문화재연구원.
  28. 아산뉴스(2017.6.29.)(http://www.asannews.co.kr/39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