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anufacturing Techniques of Bronze Seated Bodhisattva Statue of Goseongsa Temple in Gangjin

강진 고성사 청동보살좌상의 제작기술 연구

  • LEE Seungchan (Institute of Conservation Scienc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 BAE Gowoon (Dept. of Conservation Scienc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 CHUNG Kwangyong (Dept. of Conservation Scienc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이승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보존과학연구소) ;
  • 배고운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 정광용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Received : 2023.12.31
  • Accepted : 2024.02.27
  • Published : 2024.03.29

Abstract

In this study, a study on the production technology of the Buddha statue and the production of raw material origin was conducted through scientific analysis on the Bronze seated Bodhisattva Statue of Goseongsa Temple, a treasure. As a result of microstructure analysis through a metal microscope, it was confirmed that the microstructure of the Bronze seated Bodhisattva Statue of Goseongsa Temple was a process-type dendritic structure, and the casting structure of bronze was well represented, so it was manufactured through casting. Subsequent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lloy composition ratio through SEM-EDS, it was identified as a ternary alloy with 81.26 wt% of copper (Cu) and 16.42 wt% of tin (Sn) and 1.72 wt% of lead (Pb).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lead isotope ratios using a thermal ionization mass spectrometer (TIMS) were substituted into the distribution of lead isotope ratios on the Korean Peninsula, it was shown in corresponding to Jeolla-do and Chungcheong-do regions and North and South Gyeongsang Province. This suggests that the raw materials used in their production were likely sourced from the mines around Goseong Temple in Gangjin. Despite the fact that the statue is a medium and large Buddha with a total height of 51 centimeters, 1.72 wt% of lead (Pb) was found as a result of alloy composition ratio analysis, which showed a similar composition to the lead content ratio of small bronze and gilt-bronze Buddha statues. Therefore,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alloys of bronze and gilt bronze statues, which has been scientifically analyzed with a compositional age similar to that of the Bronze seated Bodhisattva Statue of Goseongsa Temple. Comparison results, Various factors, such as the size of the Buddha statue as well as its stylistic characteristics and the age of composition, may exist in determining the alloy composition ratio of the bronze and gilt bronze Buddha statue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alloy composition ratio or casting technology was properly adjusted when the Buddha statue was created. In other words, it is judged that a more comprehensive system of Buddha statue production technology should be investigated by conducting archaeological and art history studies on stylistic characteristics and age of composition, as well as scientific analysis results such as observation of internal structure, microstructure observation, and analysis of alloy composition ratio using radiation transmission irradiation.

본 연구에서는 강진 고성사 청동보살좌상을 대상으로 과학적 분석을 통해 불상의 제작기술 및 납 원료산지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불상에서 수습한 극미량의 시료를 대상으로 미세조직 관찰결과 주조 공정을 통해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어 SEM-EDS를 통한 합금조성비 분석결과 구리(Cu) 81.26wt% 주석(Sn) 16.42wt%, 납(Pb) 1.72wt%의 삼원계 합금으로 확인되었다. 열이온화질량분석기(TIMS)를 이용한 납동위원소비 분석결과를 한반도 납동위원소비 분포도에 대입한 결과 전라도와 충청도 지역, 경상남·북도 지역에 도시되었다. 불상이 봉안된 강진 고성사는 해당영역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과학적 분석결과를 종합해 볼 때 강진 고성사 청동보살좌상은 구리, 주석, 납을 합금하여 주조하였으며, 불상제작 시 사용된 납 원료는 고성사 인근 지역에서 수급하여 사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때 주목할 점은 해당 불상이 높이 51cm의 중·대형 불상임에도 불구하고 합금조성비 분석결과 기존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소형 청동 및 금동제 불상의 납 함량비와 유사한 경향성을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불상의 크기와 납 함량비 간의 연관성을 고찰하고자 고성사 청동보살좌상과 조성연대가 유사한 청동 및 금동제 불상의 형태학적 특징 및 합금조성비 등 전반적인 제작기술을 비교분석 하였다. 비교결과 청동 및 금동제 불상의 합금조성비를 결정하는 요인에는 불상의 크기 뿐만 아니라 양식적인 특징, 조성연대 등 다양한 요인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불상을 조성할 당시 합금조성비 또는 주조기술을 적절히 조절하였을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즉, 불상의 제작기술 연구를 위해서는 방사선 투과촬영조사 등을 활용한 내부구조 관찰, 미세조직관찰 및 합금조성비 분석 등의 과학적 분석결과 뿐만 아니라 양식적 특징 및 조성연대에 관한 고고·미술사학적 연구를 함께 진행함으로서 보다 종합적인 불상 제작기술체계에 대한 규명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곽홍인.권미혜, 2019, 「고려시대 금동제십일면천수관음보살좌상의 보존처리 및 제작기술 연구」, 「보존과학회지」 35(3).
  2. 김리나, 2011, 「한국불교미술사」, 미진사.
  3. 김보배, 2018, 「고려시대 윤왕좌 보살상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82.
  4. 김현정, 2006, 「통일신라 청동범종의 제작기술 연구: 청주 운천동 종의 분석을 중심으로」, 용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26.
  5. 문화재청 유형문화재과, 2016, 「문화재대관 보물 불교조각I」, 문화재청, pp.197, 256.
  6. 민병찬, 2016, 「금동반가사유상의 제작방법 연구: 국보78호, 국보83호 반가사유상을 중심으로」, 「미술자료」 89, 국립중앙박물관, p.204.
  7. 박장식, 2004, 「고대 한국의 청동기 기술체계」, 「한국열처리공학회지」 17(3), p.194.
  8. 박형숙, 2006, 「고려시대 비로자나불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72~73.
  9. 배고운.이상옥.남궁훈.정광용.김효섭, 2017, 「당진 영탑사 금동비로자나불삼존좌상 제작기법 분석 및 산지추정」,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pp.201~202.
  10. 배고운.이상옥.범대건.정광용, 2018, 「보물 제 337호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의 제작기법 및 납원료 산지 연구」, 「보존과학회지」 34,(1), pp.59~67.
  11. 염영하, 1995, 「한국전통기술의 국제화에 관한 연구: 청동기분야」, 한국과학재단, pp.13~26.
  12. 유자영.양슬기.이민희, 2018, 「영동 영국사 출토 금동여래입상, 동제여래입상 분석 및 보존처리」, 「박물관보존과학」 19.
  13. 이승찬, 2023, 「강진 고성사 청동보살좌상.청동소불상의 제작기술 연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1~78.
  14. 이은우.김소진.한우림.한민수.황진주, 2014, 「납동위원소비 분석을 활용한 인용사지 출토 청동기의 원료 산지 연구」, 「보존과학회지」 30(4), p.349.
  15. 전익환.이재성.박장식, 2013, 「고려 말 청동용기에 적용된 제작기술의 다양성 연구: 고양 더부골 고분군 출토 청동용기를 중심으로」, 「문화재」 46(1), p.214.
  16. 정광용 외, 2011, 「강진 고성사 청동보살좌상 보존처리 보고서」, 영산문화재연구소, pp.10~97.
  17. 정광용 외, 2019, 「일락사 금동여래좌상 승격지정 조사용역」, 서산시, p.70.
  18. 정소영 외, 2022, 「양양 선림원지 금동보살입상 보존처리」, 문화재청, pp.19~59.
  19. 정은우, 2007, 「고려후기 불교조각 연구」, 문예출판사, p.97.
  20. 최미라.조남철.김동민.윤선영, 2013, 「성남 판교 출토 청동보살상의 제작기법 및 납 원료의 산지추정」, 「보존과학회지」 29(3), p.235.
  21. 최정은.최학, 2021, 「비파괴 분석법을 통한 안성 청룡사 금동관음보살좌상 내부구조 및 금박층 조사」, 「보존과학회지」 37(6).
  22. 홍영근.이정근.김명호, 2001, 「Cu-Sn합금의 미세조직 및 음향특성에 미치는 Sn의 함량의 영향」, 「한국주조공학회지」 21(2), p.139.
  23. 황진주, 2009, 「우리나라 청동문화재의 주성분 조성분포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34.
  24. 황진주, 2014, 「한반도 납광산의 납동위원소비를 이용한 청동 원료의 산지추정 - 청해진 출토 청동기를 중심으로」, 광물과암석, 한국광물학회 27(4).
  25. David. A. Scott, 1991, Metallography and Microstructure of Ancient and Historic Metals, The Getty Conservation Institute The J.Paul Getty Museum.
  26. Jeong Younjoong, Cheong Changsik, Shin Dongbok, Lee Kwangsik, Jo Huije, Lee Insung, & Mukesh Kumar, 2012, 'Regional variations in the lead isotopic composition of galena from southern Korea with implications for the discrimination of lead provenance', Journal of Asian Earth Sciences.
  27. Mabuchi, H., 1985, 'The lead isotope systematics in Asia and near East', Grant Report to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Culture (in Japane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