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Volume 56 Issue 1
- /
- Pages.103-128
- /
- 2025
- /
- 2466-2542(pISSN)
DOI QR Code
A Study on the Controlling Effect of School Libraries on the Performance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학교도서관이 고교학점제 성과에 미치는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25.02.24
- Accepted : 2025.03.11
- Published : 2025.03.30
Abstract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s one in which students select and complete subjects to obtain credits. Its purpose is to give learners a sense of community based on self-direction, convergent thinking, problem-solving ability, empathy, and consideration. The school library is an essential institution supporting thehigh school credit system in that it enables students to learn self-directed through various information materials and services.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chool libraries on students' high school credit system performance. To this end, factor analysis and frequency analysis were conducted on data collected through survey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As a result, the provision of services by the library controlled the effect of community conne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class on class assistance, and there was a change in the effect of easing competition i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on motiv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dentified the influence of school libraries o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suggested how school libraries can contribute to achieving the purpose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고교학점제는 학생이 과목을 선택하여 이수하여 학점을 취득하는 제도로서, 그 목적은 학습자가 자기주도성과 융합적 사고, 문제해결력, 공감과 배려를 바탕으로 한 공동체 의식을 지니게 하는 데에 있다. 학교도서관은 다양한 정보자료와 서비스를 통해 학생이 자기주도적 학습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고교학점제를 지원하는 필수적인 기관이라 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이 학생의 고교학점제 성과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파악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대상으로 요인분석과 빈도분석을 실시하고, 조절효과 분석을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도서관의 서비스 제공은 고교학점제 수업의 지역사회 연계가 수업도움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효과가 있었으며, 고교학점제의 경쟁완화가 동기부여에 미치는 영향에 변화가 있었다.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에 대한 학교도서관의 영향을 파악하여 고교학점제의 목적 달성에 학교도서관이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 제안했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