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onsiderations in Mapping between KORMARC to BIBFRAME

KORMARC TO BIBFRAME 변환을 위한 매핑시 고려사항에 관한 연구

  • 이미화 (국립공주대학교 문헌정보교육과) ;
  • 박진호 (한성대학교 지식정보문화트랙) ;
  • 이종욱 (경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 송민선 (대진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Received : 2025.02.19
  • Accepted : 2025.03.11
  • Published : 2025.03.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opose considerations for the conversion from KORMARC to BIBFRAME based on the conversion from MARC21 to BIBFRAME. The literature review and analysis of the MARC21 to BIBFRAME mapping table from multiple layers by field and subfield of MARC were conduc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RC21 to BIBFRAME conversion included not generating redundant data, the significant presence of unconverted elements, and the use of a vocabulary encoding scheme. Based on these analyses, three considerations were proposed for the development of a mapping table for the KORMARC to BIBFRAME conversion in Korea. First, the development of a vocabulary encoding scheme for KORMARC, second, the conversion of field and subfield unique to KORMARC, and third, those that need modification for KORMARC among unconverted elements from MARC21. Through this, the study might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 mapping table and converter for KORMARC.

본 연구에서는 MARC21 TO BIBFRAME의 변환을 바탕으로 KORMARC TO BIBFRAME의 변환시 고려할 사항을 제안하고자 문헌연구 및 MARC21 TO BIBFRAME 매핑표의 표시기호, 식별기호 등으로 다층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MARC21 TO BIBFRAME 변환의 특징은 중복데이터를 생성하지 않는 것, 미변환이 상당히 포함되어 있다는 것, 어휘 인코딩스킴의 사용을 바탕으로 한다는 점이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국내에서 KORMARC TO BIBFRAME 변환을 위해 매핑표 개발시 고려사항으로 3가지를 제안하였다. 첫째, KORMARC용 어휘 인코딩스킴 개발, 둘째, KORMARC에만 있는 표시기호 및 식별기호 변환, 셋째, MARC21에서 미변환(nac, ignore) 요소 중에서 KORMARC에서 변환할 사항이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KORMARC 및 BIBFRAME 상호간의 매핑표 개발 및 변환기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