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Effective Utilization of Discarded Books in Public Libraries

공공도서관 폐기도서의 효과적인 활용 방안 연구

  • 김영석 (명지대학교 인문콘텐츠학부 문헌정보학전공)
  • Received : 2025.02.24
  • Accepted : 2025.03.11
  • Published : 2025.03.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factors that hinder the utilization of discarded books in public libraries, seek solutions, and suggest methods to effectively utilize discarded books. A literature review, field case study, and interview method were used. 19 public libraries in 7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across the country were examined, and 22 librarians were interviewed. The librarian's awareness of the utilization of discarded books and their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ree distribution of discarded books and the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factors hindering the use of discarded books, the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was found to be the biggest factor.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s an efficient method of enacting local government ordinance and national laws to enable free distribution of discarded books. Different utilization methods are proposed depending on the cause of discarding books.

이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폐기도서 활용의 저해요인을 밝혀내고 그 해결방안을 모색하여, 단순히 재활용 폐지로 처리되고 있는 폐기도서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문헌조사 및 현장 사례조사, 인터뷰 방법을 사용하였다. 인터뷰 방법은 대면이 10명, 전화를 이용한 비대면이 12명이다. 전국 7개 광역시도의 18개 시군구에서 19개 공공도서관을 조사했는데, 교육청과 지자체 소속이 각각 6개관과 13개관이다. 22명의 사서를 인터뷰하였는데, 사서의 직위는 관장 6명, 팀장급 12명 그리고 기타 4명이다. 공공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폐기도서 활용에 대한 인식과 폐기도서 무료배부와 공직선거법과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조사하였다. 폐기도서 활용의 저해요인이 무엇인지 조사한 결과 가장 큰 요인은 공직선거법으로 밝혀졌다. 이에 본 연구는 폐기도서를 무료배부할 수 있도록 하는 지방자치단체의 효율적인 조례 및 국가 법령 제정 방안을 제시하였다. 폐기도서의 폐기 원인에 따라 각기 다른 활용방안을 제안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