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tracted]Open Innovation Strategy for Responsible Innovation in Advanced Air Mobility Industry: Case of a South Korean Automobile Manufacturer

[논문철회]첨단항공모빌리티 산업의 책임 있는 혁신을 위한 개방형 혁신전략: 한국 자동차 제조사 사례

  • Donghoon Jung (Korea University) ;
  • Jaehong Park (Korea University)
  • 정동훈 (고려대학교 첨단기술비즈니스학과) ;
  • 박재홍 (고려대학교 첨단기술비즈니스학과)
  • Received : 2025.03.10
  • Accepted : 2025.04.22
  • Published : 2025.04.30

Abstract

Advanced Air Mobility (AAM), which includes eco-friendly and urban-compatible low-noise technologies, represents a process of responsible innovation in the aviation industry. However,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AAM aircraft infrastructure and services require significant costs and time that exceed the capabilities of a single company. Consequently, companies are turning their attention to open innovation that integrates internal and external knowledge and experience to support high-cost responsible innovation such as AAM. This study analyzes the case of a mobility company that aims to achieve responsible innovation through open innovation, identifying key success factors in open innovation strategies. Korean Automobile Company has engaged in open innovation with companies from various industries to improve efficiency and shorten the development period in the R&D and commercialization process of AAM. In doing so, it demonstrated characteristics of a cooperative network, leadership,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As a result, Korean Automobile Company's open innovation strategy for pursuing responsible innovation led to reduced R&D timelines, the establishment of effective partnerships, and the achievement of sustainable technological innovation.

친환경적이며 도심 친화적인 저소음 기술을 포함한 첨단항공모빌리티(AAM)는 항공 산업에서의 책임 있는 혁신(responsible innovation) 과정을 대표한다. 그러나 AAM 항공기 인프라와 서비스의 개발 및 운영은 단일 기업의 역량을 넘어서는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AAM과 같이 높은 비용이 수반되는 책임 있는 혁신을 위해, 내부와 외부의 지식과 경험을 통합하는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에 주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책임 있는 혁신과 개방형 혁신의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모빌리티 기업의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책임 혁신이 더욱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진행되기 위한 개방형 혁신전략의 성공 요인을 밝혀냈다. 기업은 AAM의 연구개발(R&D) 및 상용화 과정에서 효율성을 높이고 개발 기간을 단축하기 위해 다양한 산업 분야의 기업들과 개방형 혁신을 수행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cooperative network, leadership, technological innovation의 특성을 보여주었다. 결과적으로 기업의 책임 있는 혁신을 추구하기 위한 개방형 혁신전략은 연구개발 기간 단축과 효과적인 파트너십 구축, 지속가능한 기술 혁신을 달성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