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loring Startup Failures: An Empirical Study of Failure Factors Using the ERIS Model and the AHP

창업자들의 실패 인식에 대한 연구: ERIS 모델과 AHP을 중심으로

  • Hwa-joon Choi (School of Business, Ajou University) ;
  • Tae-yong Kim (Program in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Korea University) ;
  • Suhyeong Kim (Management of Technology, Yonsei University)
  • 최화준 (아주대학교 경영대학원) ;
  • 김태용 (고려대학교 과학기술학협동과정) ;
  • 김수형 (연세대학교 기술경영학협동과정)
  • Received : 2025.03.09
  • Accepted : 2025.04.29
  • Published : 2025.04.30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key factors contributing to startup failure by incorporating firsthand insights from individuals within the entrepreneurial ecosystem. While previous research has primarily relied on secondary data or firm-level analyses, our approach captures direct perspectives on failure attribution. In the first phase, we surveyed 205 participants from diverse sectors of the ecosystem and categorized their responses using the ERIS framework(Entrepreneur, Resources, Industry Environment, Strategy). In the second phase, we applied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to prioritize nine critical failure factors using a separate sample of 31 entrepreneurs. Results show entrepreneurial factors have greatest impact on startup failure-poor leadership(20.34%) and lack of mission/passion(13.16%) account for over 33% of overall weight.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internal dynamics, particularly leadership, vision, and team management, in determining startup outcomes. We suggest that targeted support programs in leadership development, resilience training, and talent management may mitigate failure risks and enhance entrepreneurial success.

본 연구는 창업자들에게 실패 관련 설문을 진행하고 실패의 주요 요인을 파악한 뒤 요인별 중요도를 알아보았다. 실패 연구를 진행한 기존 문헌들은 대체로 2차 데이터에 의존하거나 기업 수준의 분석을 진행했다. 이에 반해 본 연구는 창업자들을 연구 대상을 하고 두 단계를 연달아 진행하였다. 첫 번째 단계는 창업 생태계가 전반적으로 공유하는 실패에 대한 인식 조사였다. 이를 위해 창업 생태계에서 활동한 경험이 있는 205명에게 창업 실패에 대한 인식을 열린 형태로 물어보았다. 얻은 답변들은 총 9개의 주요 요인으로 요약되었는데 이는 다시 ERIS 모델의 주요 네 가지 영역(기업가, 자원, 산업 환경, 전략)으로 분류되었다. 해당 분류 결과는 본 연구의 두 번째 연구 단계인 분석적 계층 구조 프로세스(AHP)구성에 적용되었다. 해당 단계에서는 본 연구는 창업 실패를 직접 경험한 31명에게 9가지 실패 요인의 우선순위를 정하도록 요청하였다. 그 결과 기업가 영역을 차지하는 두 요인인 리더십 부족(20.34%)과 미션·열정 부족(13.16%)이 전체 비중의 33% 이상을 차지하며 스타트업 실패에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창업자가 리더십을 강화하고, 명확한 비전을 유지하며, 팀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실패를 피하는 필요조건임을 보여주고, 창업 실패는 외부 조건이 아닌 내부 역학 관계에서 비롯될 수 있음을 암시한다. 아울러 리더십, 팀 빌딩, 전략적 의사결정은 스타트업의 생존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창업 지원 프로그램은 창업 실패는 낮추기 위해 리더십 개발, 회복탄력성 교육, 인재 관리를 강조하는 방향으로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