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한성대학교 교내학술연구비 지원과제임.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impacts of market and financial shortages as innovation barriers on exploitative innovation in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SMEs), and investigated the moderating effect or government support in these mechanisms. Using data from Korea Innovation Survey(KIS, 2022), 3,242 SME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were analyzed. The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arket-side innovation barrier negatively affected exploitative innovation in SMEs, while financial-side innovation barrier positively affected exploitative innovation by stimulating strategic resource utilization despite limited internal resources. Government support mitigated the negative effect of market barrier but weakened the positive effect of financial barrier. This study based on the theory of the National Innovation System(NIS), provides a detailed explanation of the exploitative innovation activities of SMEs. It offers academic and policy contributions regarding the effective utilization of organizational resources and the strategic design of government support policies.
본 연구는 중소벤처기업을 대상으로 시장 및 자금 부족의 혁신 저해 요인이 활용적 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이러한 관계에서 정부 지원이 가지는 조절효과를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기업혁신조사 데이터(2022)를 활용하여 국내 제조업에 속한 3,242개의 중소벤처기업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장 부족은 중소벤처기업의 활용적 혁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 자금 부족은 제한된 자원이 조직의 전략적 자원 활용을 자극함으로써 중소벤처기업의 활용적 혁신에 오히려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정부 지원은 시장 부족의 부정적 효과를 완화하였으나, 자금 부족의 긍정적 효과는 오히려 약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가혁신체제(National Innovation System, NIS) 이론을 토대로 중소벤처기업의 활용적 혁신 활동을 정밀하게 설명하였으며, 조직의 자원 활용과 정부지원 정책의 효과적 설계에 대한 학문 및 정책적 기여도와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는 한성대학교 교내학술연구비 지원과제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