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mpus Boundaries and Business Formation: Institutional Determinants of College Student Startups in Korea

대학생들의 캠퍼스 및 외부창업에 미치는 기관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의 대학에 대한 패널 분석

  • Jongwoon Kim (Global Business Department, Hannam University)
  • 김종운 (한남대학교 글로벌비즈니스전공)
  • Received : 2025.03.07
  • Accepted : 2025.04.16
  • Published : 2025.04.30

Abstract

This study adopts a resource-based perspective, which explains how an institution's resources contribute to competitive advantage, to examine institutional factors influencing the number of on- and off-campus student startups. The research develops seven hypotheses linking institutional programs and resources to student business creation both on- and off-campus, utilizing panel data from 130 South Korean universities collected between 2017 and 2023.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total number of student startup counts at universities exhibited a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total entrepreneurship courses, the number of major-specific entrepreneurship courses, and the number of practical entrepreneurship courses. However, only the number of practical entrepreneurship courses significantly affected on-campus startups, while the total number of entrepreneurship courses, major-specific courses, and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courses significantly affected off-campus startups. In addition, it is shown that the presence of student startup clubs at universities had a strong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tudent startup counts and that the number of student startup clubs significantly affected the total number of student startups, on-campus startups, and off-campus startups. Furthermore, the two key performance indicators related to universities' intellectual property showed different results depending on startup locations. Our results suggest that policymakers and university administrators should actively support student startup clubs, enabling students to collaborate, share ideas, and engage in peer mentorship for both on- and off-campus startups. Additionally, universities should create more opportunities for entrepreneurial students and faculty to interact and exchange business ideas to foster on-campus startups. Furthermore, offering a diverse range of entrepreneurship courses is essential to encourage off-campus startups.

본 논문은 대학의 각종 창업교육 프로그램 및 기관 자원(재정, 지식 및 조직 자원)이 재학생들의 캠퍼스 및 학교 외에서의 창업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학별 창업교육과목 및 창업동아리 규모와 대학의 재정 자원, 지식 재산 및 조직 자원이 학교 내외에서의 재학생 창업숫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7개의 가설을 설정하였고, 이 관계 분석에 집중하기 위하여 대학의 규모나 국공립 여부 등 기타 특성 변수들을 통제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대학알리미에 관련 정보를 수록한 130개 대학의 2017년부터 2023년까지 7년간의 패널 자료를 구성하여 음이항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대학의 학생창업 총숫자는 창업교과목수, 전공창업과목수 및 실습창업과목수와 유의한 정의 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캠퍼스 창업숫자는 실습창업과목수와만 유의한 정의 관계를 나타냈지만, 학교 밖에서의 창업숫자는 전체 창업교과목수, 전공창업과목수, 이론 및 실습창업과목수 등 전반적인 창업과목수와 유의한 정의 관계를 보였다. 그렇지만, 창업동아리 숫자는 학교 내부나 외부 등 창업 위치에 상관없이 유의한 정의 관계를 시현하였다. 한편, 대학의 지식자산은 캠퍼스 창업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주었지만, 학교 밖에서의 창업과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고, 대학의 재정 자원은 학생창업의 위치에 상관없이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의 경영진이나 정책결정자들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함의를 제공한다. 창업교육은 그 유형에 따라 학생 창업의 과정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므로 학생창업을 활성화하기 위하여는 학생들의 창업 경영 역량 제고를 위하여 전공 및 실습형의 다양한 창업과목과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대학이 보유한 지식 자산 및 재정적 자원에 학생들의 접근성 제고를 위한 다양한 채널을 구축하고, 교수나 연구원들과 예비 창업자들간의 소통과 협력을 제고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