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fluence of Entrepreneurial Alertness on Individual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Completing an Entrepreneurship-Friendly Academic Program: The Mediating Role of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창업 친화적 학사제도를 이수한 대학생의 기업가적 기민성이 개인 차원의 기업가적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기업가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 Park, Mijung (College of general education/ Head of Startup Support Group, Semyung University) ;
  • Hwangbo, Yun (Graduate School of Global Entrepreneurship, Kookmin University)
  • 박미정 (세명대학교 교양대학) ;
  • 황보윤 (국민대학교 글로벌창업벤처대학원)
  • Received : 2025.03.05
  • Accepted : 2025.04.24
  • Published : 2025.04.30

Abstract

In the rapidly changing global market and technological environment, entrepreneurial alertnesshas emerged as a key factor in fostering creative innovation and enhancing sustainable entrepreneurial orientation. Particularly in higher education, cultivating entrepreneurial alertness through entrepreneurship-friendly academic programscan serve as a strategic approach to nurturing future entrepreneurs.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examine the impact of entrepreneurial alertness o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completed such programs, and to investigate whether entrepreneurial self-efficacyplays a mediating role in this relationship. The empirical results indicate that among the sub-dimensions of entrepreneurial alertness, observing and exploringand evaluating and judgingha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whereas association and networkingdoes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Furthermore,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was found to positively affect the three core components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innovativeness, proactiveness, and risk-taking. The mediation analysis revealed that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mediates the effects of observing and exploring, as well as evaluating and judging, on innovativeness and risk-taking. However, no mediating effect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ssociation and networking and entrepreneurial orientation, n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alertness and proactiveness via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university-based entrepreneurship education should move beyond the delivery of theoretical knowledge to more effectively foster entrepreneurial alertness and self-efficacy required in real-world entrepreneurial contexts. Particularly, in entrepreneurship-friendly academic programs, greater emphasis should be placed on cultivating the ability to identify entrepreneurial opportunities and solve problems, rather than solely building networks.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expand practical learning opportunities that systematically strengthen observing and evaluating skills, and to promote experience-based programs such as startup internships, real-world entrepreneurship projects, and mentoring. Such efforts will help students respond flexibly to various challenges in the startup process and develop sustainable entrepreneurial orientation.

급변하는 글로벌 시장과 기술 환경 속에서 기업가적 기민성(Entrepreneurial Alertness)은 창의적 혁신을 촉진하고 지속 가능한 기업가적 지향성(Entrepreneurial Orientation)을 강화하는 핵심 요소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대학 교육에서 창업 친화적 학사제도를 활용하여 기업가적 기민성을 함양하는 것은 미래 기업가 양성을 위한 전략적 접근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창업 친화적 학사제도를 이수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기업가적 기민성이 기업가적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기업가 자기효능감(Entrepreneurial Self-Efficacy)이 이 관계에서 매개 역할을 수행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실증 분석 결과, 기업가적 기민성의 세부 요인 중 관찰-탐색력(Observing & Exploring)과 평가-판단력(Evaluating & Judging)은 기업가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연합-연결력(Association & Networking)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기업가 자기효능감은 기업가적 지향성의 주요 요소인 혁신성(Innovativeness), 진취성(Proactiveness), 위험감수성(Risk-taking)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매개효과 분석 결과, 기업가 자기효능감은 관찰-탐색력 및 평가-판단력이 혁신성과 위험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연합-연결력과 기업가적 지향성 간의 관계에서는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기업가 자기효능감은 기업가적 기민성과 진취성 간의 관계를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 내 창업 교육이 단순한 이론적 지식 전달을 넘어, 실제 창업 환경에서 요구되는 기업가적 기민성과 자기효능감을 효과적으로 함양하는 방향으로 설계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한다. 특히, 창업 친화적 학사제도에서는 네트워크 형성을 넘어 창업 기회를 탐색하고 문제 해결 능력을 배양하는 교육 방식이 더욱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를 위해, 관찰-탐색력과 평가-판단력을 체계적으로 강화할 수 있는 실천적 학습 기회를 확대하고, 창업 인턴십, 실전 창업 프로젝트, 멘토링 등 경험 기반 프로그램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접근은 학생들이 창업 과정에서 직면할 수 있는 다양한 도전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지속 가능한 기업가적 지향성을 함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