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벤처창업연구)
- Volume 20 Issue 2
- /
- Pages.149-166
- /
- 2025
- /
- 1975-7557(pISSN)
- /
- 2671-9509(eISSN)
Analysis of Changes in Entrepreneurial Intentions Among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KAIST E*5 Program
KAIST E*5 프로그램 참여 학생들의 창업의지 변화 분석
- Tae-Uk Ahn (KAIST) ;
- Chun-Ryol Ryu (KAIST) ;
- Minjung Baek (KAIST)
- 안태욱 (KAIST, 창업원) ;
- 류춘렬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
- 백민정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 Received : 2025.03.11
- Accepted : 2025.04.18
- Published : 2025.04.30
Abstract
Using Ajzen's Theory of Planned Behavior(TPB) as the theoretical framework, this study conducts an in-depth analysis of the impact of the KAIST E*5(Enthusiastic,,Educated, Experienced, Excited, Encouraged)-based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on the formation and evolution of students' entrepreneurial intentions.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mi-structured interviews to meticulously explore changes in students' attitudes toward entrepreneurship, subjective norm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KAIST E*5 program enabled students to move away from perceiving entrepreneurship as a high-risk and uncertain challenge, guiding them to reframe it as a vital means not only for achieving economic success but also for solving social problems and fulfilling personal aspirations. In particular, various educational elements-such as hands-on experiences, mentoring, networking, and learning from successful case studies-played a decisive role in enhancing students' entrepreneurial intentions. On the other hand, some students exhibited a more cautious stance toward pursuing entrepreneurship due to practical challenges, including securing funding, navigating legal procedures, and conflicts with their existing career plans.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lowering entry barriers, strengthening practice-based education, encouraging active participation, and providing financial and spatial infrastructure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particular, current approaches to student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support require effective improvements. Rather than focusing solely on selecting excellent items through screening processes, universities need to improve their policies by designing programs that foster entrepreneurial competencies and nurture innovative talents. Furthermore, the study highlights the necessity of long-term longitudinal research to validate the effectiveness of such educational efforts. The key implication of this study lies in identifying the importance of designing entrepreneurship programs that are practical and encourage continuous participation. Therefore This study serves as a valuable educational resource for enhancing university campus startup ecosystems and promoting student entrepreneurship, and holds significant implications in terms of policy, practice, and education.
본 연구는 Ajzen의 계획된 행동 이론(TPB)을 이론적 틀로 활용하여, KAIST의 E*5 (Enthusiastic, Educated, Experienced, Excited, Encouraged)이 학생들의 창업의지 형성과 변동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는 반구조화된 면담을 통해 질적 자료를 수집하고, 프로그램 참여 전후 학생들의 창업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그리고 지각된 행동 통제의 변화를 면밀히 탐구하였다. 분석 결과, KAIST E*5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창업을 고위험·불확실한 도전으로 인식하던 기존 태도에서 벗어나, 창업을 경제적 성공뿐만 아니라 사회적 문제 해결과 자기실현의 중요한 수단으로 재인식하도록 유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전 경험, 멘토링, 네트워크 형성, 성공 사례 학습 등 다양한 교육적 요소가 학생들의 창업의지 강화에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 반면, 일부 학생들은 자금 조달, 법적 절차 등 현실적인 어려움과 기존 진로 계획과의 충돌로 인해 창업 도전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창업교육의 실효성 강화를 위해서 학생들의 창업에 관한 진입장벽 완화, 실전 경험 중심의 교육 강화, 활동 참여 유도, 창업 자금 및 공간 인프라 지원이 중요하다. 특히 학생 창업교육과 지원은 현재의 방향성에서 효과적인 개선도 요구된다. 대학에서는 단순히 선발과정을 통해서 우수한 아이템 선정에 집중하기 보다는 교육의 본질인 혁신적인 인재를 육성하는 차원에서 창업가 역량 함양에 초점을 맞추는 프로그램으로 정책적 개선이 필요하다. 또한 교육의 효과를 증명하기 위해서 장기적으로 종단 연구의 필요성을 요구된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창업교육 프로그램의 실무적인 교육과 지속적인 활동 참여 유도형 프로그램 설계의 중요성을 도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의 캠퍼스 창업생태계 고도화 및 학생창업 활성화에 중요한 교육 자료로 활용되어 정책적·실무적·교육적 유의미한 의의를 가진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