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Proceedings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Conference) (Proceedings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Conference)
한국콘크리트학회 (Korea Concrete Institute)
- 반년간
과학기술표준분류
- 재료 > 세라믹재료
한국콘크리트학회 2010년도 춘계 학술대회 제22권1호
-
본 연구는 80MPa 고강도 프리텐션 거더의 휨성능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고강도 콘크리트의 적용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
대각선 철근이 있는 PC 벽체의 강도를 단면해석을 이용해 구하고자 한다. 대각선 철근의 변형률은 PC 벽체의 주철근의 변형률을 이용해 구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은 벽체에 추가적인 인장력을 발생시킨다. 대각선 철근에 의한 추가 인장력은 주철근 간격의 1/3지점에서 발생한다고 가정한다.
-
본 연구에서는 균열 이후의 콘크리트 벽체에 대해 대각 일축 압축장과 세 삼각형으로 구성된 두 개의 균질한 삼각형 응력장을 고려하고, 이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발생되는 강판의 인장응력의 조합을 가정하여 세장한 합성 전단벽의 전단강도를 추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비대칭 H형강이 콘크리트에 매립되어 화재에 노출되는 일반 합성 보에 비하여 내화성능이 높은 슬림플로어 공법에 대한 화재거동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내화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최적 단면형상조건을 도출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단면형상은 휨 성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웹 보강과 화재에 직접 노출되는 하부플렌지의 보강 방안에 대하여 화재실험을 진행하였으며, 무 보강조건과 형상변화시에 발생하는 합성플로어의 처짐을 비교 분석하여 최적 단면형상설계 조건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웹보강방안에 비해 하부플렌지 보강시 내화성능 향상효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화재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하부플렌지 부분에 보강을 하는 것이 급격한 온도상승으로 인한 강도저하로 인해 발생하는 변형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
본 연구에서는 CFRP로 보강한 2방향 콘크리트의 정하중 및 저속 충격하중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압축강도 40MPa의 콘크리트 및 이와 동일한 배합에 0.75%의 강섬유를 혼입한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로
$50{\times}350{\tims}350mm$ 의 부재를 제작하여 CFRP로 보강하였다. CFRP와 강섬유로 보강한 시험체는 콘크리트가 쪼개지는 파괴와 펀칭 파괴가 복합적으로 나타나고, 이 때 쪼갬 균열 수는 보강하지 않은 콘크리트에 비해 확연하게 줄어들었다. CFRP와 강섬유로 동시에 보강한 시편은 충격하중 하에서 2방향 콘크리트 시험체가 파괴되는 데에 6.8배의 에너지가 소모되었다. -
복부에 중공부가 있는 PSC 거더는 여러 가지 이점이 있다. 중공부에 정착부를 두어 프리스트레싱힘을 단계적으로 도입할 수 있으며 길이가 동일한 경우 거더의 중량을 줄일 수가 있고, 같은 중량인 경우 경간을 더 늘일 수 있다. 그리고 빔에 의한 조망권의 간섭도 줄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복부에 여러 개의 원형 개구부를 가지고 있는 50m 실물 다단계 긴장 PSC 거더를 제작하여 모달테스트를 수행하였다. 모달테스트를 위한 가진방법으로 거더의 중앙에 가진기를 설치하여 일정 주파수 단위로 가진시킴으로써 정확한 주파수응답을 얻고자 하였다. 얻어진 주파수응답을 FFT와 PSD를 통하여 거더의 고유진동수와 감쇠비를 추정하였고 이를 Midas FEA를 이용한 해석결과와 비교하였다.
-
본 연구는 휨연결재와 횡방향 프레스트레스력으로 보강된 PSC(Prestressed Concrete) 분절 거더의 정적 거동 성능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동일 제원과 재료를 적용하며 일체거더와 횡방향으로 보강되지 않은 분절거더와 3개의 횡방향으로 보강된 분절거더를 사용하여 중앙 경간의 처짐과 중앙 경간 및 연결부에서의 변형률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거더의 정적 휨성능을 평가 검증 하고 기존의 연속 거더와 횡구속이 안된 분절 거더의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고속축중계 센서(Weigh-in-Motion)를 PTCP 슬래브 구간에 적용하기 위한 현장실험과 거동분석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PTCP에 부분 절삭을 하여 WIM 센서를 설치하더라도 절삭부분의 변위 변화가 무시 할 수 있을 정도로 작으므로 안정성이 확보된다고 할 수 있다.
-
이 연구는 포스트텐션 콘크리트 포장(PTCP) 공법의 설계지침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구조해석 및 실험을 통해 PTCP의 거동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슬래브 크기, 설계 환경 및 차륜 하중, 종방향 및 횡방향 긴장과 긴장방식 결정을 통해 최적의 PTCP 설계지침을 개발하였다.
-
본 연구는 전이슬래브의 두께를 줄이고 철근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포스트텐션을 전이슬래브에 적용하는 포스트텐션 전이슬래브에 관한 연구이다. 본 논문에서는 전이슬래브와 같이 두꺼운 판요소 해석에 적합한 Wood-Armer 공식과 부착 긴장재를 사용한 포스트텐션 설계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
사장교 형식 중에서 가장 경제적인 콘크리트 사장교가 최근 많이 건설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현재 시공 중인 콘크리트 사장교인 제2돌산대교와 세풍대교의 공사비를 비교 분석하여 콘크리트 사장교의 공사비 특성을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국토해양부와 통계청에서 제공하는 '도로교량 및 터널 현황' 통계자료를 이용하여 상부구조 형식, 경간장 등을 주요변수로 국내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교량의 현황조사 및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다. 경간장 50~100m인 경우 약 76% 이상이 강박스거더교로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교량은 상대적으로 작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경간장 50~100m에 강박스거더교를 대체하여 적용할 수 있는 고강도 강선 및 고강도 콘크리트를 적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교량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보다 경제적인 교량 설계 및 시공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변형경화형 시멘트 복합체(Strain-hardening cementitious composite, SHCC)는 연성능력이 우수하여 보-기둥 접합부 영역에서 상당한 보강효과가 기대된다. 주요 변수는 시멘트 복합체의 종류(무수축몰탈, 하이브리드 SHCC) 및 보강근의 유무이다. 실험결과, 보강근이 배근된 실험체가 무수축 몰탈 실험체에 비해 전체적으로 성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변형경화형 시멘트 복합체를 사용한 접합부의 거동에 관한 논문으로, 주요 변수는 시멘트 복합체의 종류( 무수축 몰탈, 하이브리드 SHCC) 및 보강근의 유무이다. 실험결과, 동일한 배근상세에서 SHCC 실험체가 무수축 몰탈 실험체에 비해 전체적으로 성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
FRP를 이용한 콘크이트 보의 보수보강에서, 습윤 상태 시 에폭시의 접착 성늘 저하를 개선하기 위하여 무기계 충진제를 이용하여 부착성능을 개선하였다. 또한 무기계 충진제와 GFRP 사이의 보강 심지, 콘크리트와 GFRP를 결합시켜 주는 앵커로 2차 보강을하여, 콘크리트 보의 휨 성능을 연구하였다.
-
본 연구는 중공 형성체의 형상이 중공 슬래브의 휨 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살펴보기 위하여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사전 해석적 연구를 통하여 도출한 최적 중공 형성체 형상인 도넛형 중공형성체를 적용한 중공 슬래브의 일방향 휨 성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중공 형성체의 형상이 중공 슬래브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그 성능을 파악하였다.
-
초고강도 콘크리트의 적용확대로 새로운 철근 압축이음길이 설계식의 개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행 콘크리트구조설계기준의 인장 이음길이와 갈고리 정착길이 설계식과 같은 형태를 활용하여, 사용이 편리한 압축이음길이 설계식을 회귀분석을 통해 제안하였다.
-
본 연구는 철근의 마디형상 변화에 따라 상대마디면적비를 달리 하여 콘크리트와 철근의 이음실험을 통해 부착성능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상대마디면적비가 다른 실험체는 기존 실험체와 유사한 하중-처짐 곡선을 나타내고 있으며 최대 내력과 변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리브형 하프슬래브는 일반 하프슬래브에 비하여 처짐이 감소하고 강성이 크다. 이 연구에서는 리브형 하프슬래브의 처짐을 탄성해석에 근거하여 계산하였다. 또한 유한요소해석을 통하여 이를 평가하였다. 계산된 결과는 실험결과를 비교적 정확하게 예측하였다.
-
건물이 대형화 고층화되어 감에 따라서 층고를 절감시킴과 동시에 장스팬을 구현할 수 있는 부재에 대한 요구가 늘어가고 있다. 비록 많은 연구자에 의해서 층고절감과 장스팬에 대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여전히 두 가지 요구사항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효율적인 시스템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파형웨브를 가진 프리스트레스 합성보는 시공성과 구조적인 성능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 시공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비대칭 하중에 상대적으로 작은 부재를 가지고 강한 저항성을 발휘하여 시공성을 높일 수 있으며, 또한 동바리와 서포트 등의 가설부재를 줄임으로써 경제성도 확보할 수 있다. 파형웨브는 아코디언효과를 만들기 때문에 프리스트레스의 도입효율이 좋아져 더 큰 상향치올림를 유발시켜 부재의 처짐을 줄일 수 있다. 5개의 실험체를 제작하여 제안한 합성보의 효율성을 검토하였는데 그 주요한 변수로는 웨브와 플렌지에 용접된 형태와 drape point의 개수이다. 실험을 통하여 제안한 프리스트레스 합성보가 기존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지 않은 합성보 보다 큰 휨강성과 휨강도를 발휘한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
최근 강구조 형식에 상단부가 강재로 구속된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획기적인 교량형식인 S.B합성거더가 개발된 바 있다. S.B합성거더는 강재로 구속된 콘크리트가 압축력을 받아 강성이 높고 강재의 좌굴에 대한 저항력을 증강시키며 압축부가 강재대신 콘크리트로 일부 대체되어 강재소요량이 적어 경제적인 강-콘크리트 합성 구조이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개발된 S.B 합성거더의 특징을 조사하였다.
-
본 연구는 사장교에 적용이 용이하도록 프리캐스트화한 FRP-콘크리트 합성 바닥판 개발에 대한 것이다. 개발된 바닥판에 대해서 구조상세 별로 성능실험을 완료한 후, 실제 중차량이 통과하는 공사용가교 상에 시험시공을 수행하였으며 구조적 성능 및 현장 적용성을 살펴보았다.
-
사장교에 경제적으로 적용가능한 장지간 프리캐스트 FRP-콘크리트 합성 바닥판에 대하여 피로 성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실험으로부터 프리캐스트 FRP-콘크리트 합성 바닥판은 충분한 피로 성능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용 전기로 산화슬래그 골재를 사용한 RC 보의 부착 특성에 관하여 고찰하기 위해 부착 파괴를 유도한 Ichinose식 단순보형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전기로 산화슬래그 골재를 사용한 실험체는 천연 골재를 사용한 경우보다 더 높은 부착 성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인발시험에 따른 실험적 분석을 통해 고온상태의 콘크리트에서 리브 형태의 GFRP rebar의 부착거동을 분석하였다. 콘크리트에 부착된 리브 형태의 GFRP rebar의 인발실험을 통해 부착 응력에 따른 정확한 인발 곡선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위해 콘크리트 표면 주위를 물고 떨어지는 뽑힘 파괴를 유도하였다. 본 연구는 온도 영향에 따른 부착응력을 분석하였다. 실험실 온도에 따른 부착응력 시험 결과 비교적 높은 부착강도를 보였으나 콘크리트 내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부착응력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아치 작용과 트러스 작용의 관점에서 주근의 부착강도가 전단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부�T강도를 고려한 응력장으로 깊은 보와 얕은 보의 가능한 전단파괴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다. 또한 대각선 응력장의 기울기는 전단강도를 결정하는 응력전달 요소 중 2 개가 항복점에 도달할 ��의 균형점으로 해석할 수 있다.
-
This study investigates stress analysis in nodal zone by using Complementary Pole Method (CPM). The CPM is convenient tools for the stress or strain analysis since it enables to express parallel directions of the normal stress or strain on the Mohr Circle. In this study, it is suggested to use of CPM to analysis stress or strain in the field of Concrete Plasticity.
-
본 연구에서는 변형경화형 시멘트 복합체(SHCC)를 프리캐스트(Precast) 끼움벽에 적용시킴으로써 섬유의 가교작용에 의한 인장성능 향상으로 일반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보강근량을 감소시키고자 하였으며, 기존연구의 분석을 토대로 벽체 내부 단면을 감소시켜 주 실험구간의 전단성능을 집중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SHCC 벽판의 전단강도 평가식을 제안하기 위하여 SHCC 재료의 직접인장강도(
$f_t$ )와 섬유보강지표(FR index,$F_i$ )를 전단강도식에 적용하였으며, 제안식은 SHCC의 전단강도를 예측하는 데 에 적절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
본 연구는 도넛형 중공 형성체를 적용한 중공 슬래브의 뚫림 전단 성능을 실험적으로 파악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위험단면 내 중공 슬래브 적용가능성을 검토하였으며, 중공형성체 고정철물의 뚫림 전단 보강성능을 파악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1995년부터~2007년까지 한국시설안전공단에서 시행한 정밀안전보고서를 데이터 베이스화한 자료를 이용하여 통계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대상교량은 총 36개소의 충격계수를 지간장별, 상부구조별, 고유진동수별로 분류하였다. 철도교 설계기준과 외국의 교량 설계시방서의 충격계수 산정식을 비교 검토하고 국가별 설계기준과 조사된 대상교량의 고유진동수와 충격계수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전단 보강보에 대한 전단강도 실험값을 EC2와 MCFT(Modified Compression Field Theory)에 의한 전단강도와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해석결과, MCFT는 EC2에 비해 실험값에 더 근사한 값을 얻을 수 있었으며, EC2의 설계 경사각은 MCFT보다 더 작은 값을 가짐을 알 수 있다.
-
이 연구에서는 고강도 콘크리트에 강섬유를 혼입했을 경우 강섬유의 전단 보강재로서 효율성을 파악하기 위해 강섬유 혼입률이 0.5%-1.0%인 3개의 강섬유보강 고강도 콘크리트 보와 1개의 고강도 콘크리트 보를 제작하여 전단파괴를 유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강섬유 혼입에 의해 고강도 콘크리트 보의 전단강도가 크게 증가 되었으며 연성적으로 거동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균열폭의 산정에 부착응력 및 균열간격 등 다양한 인자들이 영향을 미친다. EC2 및 MC90에서는 이러한 인자를 고려하여 최대 균열간격과 평균 변형률 차의 함수로서 균열폭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각 설계기준에 따라 균열폭을 예측하고 이를 실험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해석 결과 각 설계기준에 따른 균열폭 예측식은 실험값을 비교적 잘 예측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
본 연구는 중공 형성체의 재료가 중공 슬래브의 휨 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살펴보기 위하여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중공형성체의 재료를 일반 플라스틱과 유리섬유 보강 플라스틱으로 제작하였으며, 이를 적용한 중공 슬래브의 일방향 휨 성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중공 형성체의 재료가 중공 슬래브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그 성능을 파악하였다.
-
EC2에 의해 순간 처짐을 산정할 경우 인장증강효과를 반영하여 곡률을 산출하고 이를 통해 평균곡률을 산출하도록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MC90과 EC2에서 제시하고 있는 인장 증강 효과를 고려하여 EC2에서 제시하는 방법에 의해 휨부재의 순간 처짐량을 산정하고, 이를 콘크리트구조설계기준에 의한 처짐량 및 실험값과 비교 분석하였다. 해석 결과 인장 증강 효과에 따라서 처짐량은 약 8~15% 차이를 보였고, 두 경우 모두 항복 이후에도 하중-변위거동을 잘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콘크리트 보의 휨 보강을 위한 FRP 플레이트가 콘크리트 하면에 직접 부착될 경우 콘크리트-FRP 부착경계면에서 대부분 콘크리트 박리파괴에 의한 최종파괴가 주로 발생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콘크리트 박리에 의한 취성파괴를 지연시켜 부착 보강재의 수명을 보다 더 연장시키기 위하여 콘크리트와 보강재 접착경계면 사이에 얇은 두께의 중간 삽입재(알루미늄, 티타늄)를 앵커와 에폭시로 부착, 기존의 FRP 플레이트 보강방법 보다 개선된 휨 성능 보강방법에 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알루미늄과 재료적 성능이 우수한 티타늄을 중간삽입제로 이용, 콘크리트와 보강재 사이의 부착하였으며 이들의 활용에 따른 휨 연성 개선과 콘크리트 박리파괴 지연에 대한 효과를 측정하였다.
-
고성능 철근으로 휨 보강된 이방향 슬래브를 제작하고 펀칭 전단실험을 실시하였다. 휨철근의 항복강도, 휨 철근비 및 기둥 인접부 휨철근의 집중배근을 변수로 하여 실험하였고, 펀칭 전단강도, 균열후 강성, 변형률 분포, 균열제어 효과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고강도 나선철근으로 횡구속된 콘크리트 압축강도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주요 실험 변수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나선철근의 항복강도 및 단면형상으로 하였다. 실험체는 총 48체로 원형과 각형 단면을 가지며, 단조 집중하중 상태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
곡선형 강 박스 거더의 상부 플랜지를 구성하는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및 크리프 현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재령종속적 비틀림 거동을 분석하기 위한 실험실 실험을 수행하였다. 재령종속 증분탄성계수(Age-Dependent Incremental Tangent Modulus, ADITM) 에 근거하는 유한요소해석법을 사용하여 실험체의 시간종속적 거동을 예측하였다.
-
교각 급속 시공 기술 개발의 일환으로 피어캡의 프리캐스트화를 위한 설계 및 시공상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제안된 공법 중 특히 프리캐스트 쉘 형식을 사용하는 방안에 대하여 구조성능을 평가하고 기존 RC 구조와 비교하는 실험 연구를 수행하였다.
-
선행연구에서는 새로운 PC접합방식을 고안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비부착 긴장재의 특성 때문에 모든 실험체가 보 단부의 압축파괴 양상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압축력을 견디기 위하여 콘크리트 횡구속 보강근, 주근의 dog-boned를 변수로 실험체를 설계하였고, 더불어 향상된 내진성능을 확보하기 위한 목표로 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주근 항복은 없었으며 횡구속 보강근의 영향으로 선행연구보다 내진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유공부분을 각형강관으로 보강한 것으로서 강도, 파괴성상, 연성 등의 구조적인 특성을 연구하였다. 주된 변수로는 1) 유공의 유무, 2) 유공의 수, 3) 유공의 위치 등이다. 정하중 실험결과 PFBS1A와 PFBS2A의 실험체의 성능이 가장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유공의 위치를 최대모멘트영역(M), 전단영역 (S), 모멘트+전단영역 (M+S)에 두었을 때 최대모멘트영역에 둔 실험체에서 무공보보다는 강도와 연성능력의 향상을 볼 수 있었다.
-
철근콘크리트 기둥은 횡보강철근으로 구속함으로써 부재의 강도 및 연성능력의 증진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횡보강철근으로 구속된 콘크리트의 응력-변형률 모델이 다양하게 제시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고강도 횡보강철근으로 구속한 원형실린더의 최대 횡구속 응력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파악하고 실험결과로부터 콘크리트와 횡보강철근 사이의 변형률을 분석하여 포아송비식을 제안하였다.
-
포스트텐션 경량콘크리트 보의 극한 휨 거동 시 보강지수가 비부착 긴장재 응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3개의 보 시험체가 실험되었다. 주요 변수는 보강지수 0.06, 0.15, 0.30 이었다. 실험결과 포스트텐션 경량콘크리트 보의 최대 휨 내력 시 비부착 긴장재의 응력은 ACI 318-08의 경험식에 의해 안전측에서 평가될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순환 굵은 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나선철근에 의한 횡구속 효과에 관한 실험을 수행 하였다. 그 결과, 순환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와 천연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나선철근에 의한 횡구속 효과의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
강합성 빔 보강 브릿지 플레이트 이음부의 극한강도 및 모멘트 강도를 검토하고자 10,000KN 및 5,000KN UTM을 사용하여 압축강도 및 휨강도를 측정한 결과 대골형 파형강판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합성부재로서 사용할 경우 합성단면에서 기존보다 약 2배 가량 향상됨을 나타내었다.
-
이 연구는 압출 성형한 ECC 패널과 철근콘크리트로 구성된 합성 슬래브의 균열제어성능을 평가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ECC를 압출 성형하여 패널로 제작한 후, 그 패널에 현장타설 콘크리트를 일체 타설하여 실규모의 1방향 슬래브를 제작하였고, 그 실험체에 대하여 휨 실험을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무수축 몰탈 및 변형경화형 시멘트 복합체를 사용한 접합부의 전단거동에 관한 논문으로, 주요 변수는 시멘트 복합체의 종류( 무수축 몰탈, 하이브리드 SHCC) 및 보강근의 유무이다. 실험 결과를 산정식과 비교함으로써 산정식의 적용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
이 연구는 Inverted-T형 거더 (이하 IT거더)를 이용하여 중소경간 교량의 구조적 효율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키고 시공시 환경오염이나 교통흐름을 방해 할 수 있는 공정을 최소화하기 위한 시험연구이다. 특히, 이 공법은 기존의 교량형식보다 미관이 아름답고, 시야확보가 좋은 합성라멘교의 형식으로서 최근 국내 현장에서 당면하고 있는 기능 인력의 고령화로 인한 인력 수급의 어려움을 해결 할 수 있는 방편이다. 따라서 이 IT거더 공법은 시공성 향상 및 건설비용 절감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이라 생각한다.
-
본 논문에서는 강섬유 보강 초고성능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제작한 PSC 보의 휨부재 실험을 통하여 부재의 균열발생양상, 초기균열강도, 극한강도 등의 구조적 거동 특성 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서로 상반된 의견이 있는 700MPa이상의 고강도철근의 횡구속효과에 대하여 고강도 횡보강철근을 적용한 15개의 철근콘크리트 기둥 실험을 통하여 실제 구조물에 고강도 철근을 적용하였을 경우의 거동 평가에 대한 검증을 그 목적으로 두었다.
-
본 연구에서는 대구 사장교 건설현장에 FBG 온도센서와 변형률 센서를 설치하여 콘크리트 타설 초기의 온도와 변형률을 모니터링을 실시하였으며, 이 연구에서 사용된 모니터링 기법은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실용화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본 연구에서는 실리캬 흄 대체재로써 SFFB를 사용한 고강도 콘크리트 인장부재의 인장강성 특성에 대한 실험결과를 제시한다. 본 연구는 60 및 80MPa의 압축강도를 갖는 고강도 콘크리트에서 고가의 실리캬 흄을 SFFB로 대체 가능성을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실험결과, 60 및 80MPa의 고강도 콘크리트 배합에서 실리캬 흄을 대체한 SFFB를 사용한 인장부재의 균열 및 하중거동 특성은 실리캬 흄을 사용한 인장 부재와 대등한 성능을 보였다.
-
한국건설기술연구원내에 테스트베드로서 UHPC 보도사장교(Super Bridge I)를 설계 및 완공하였고, 변형률, 가속도, 장력, 풍향풍속, 온도 등의 각종 데이터를 정기적으로 수집할 수 있는 장기계측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이는 UHPC 부재의 역학적 특성 및 사용성 평가에 대한 기본 데이터를 제공하여 장대하이브리드사장교의 거동 특성을 추정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
본 연구에서는 비선형 지진응답해석을 이용하여 유도된 전단 및 휨파괴형 부재가 혼합된 철근콘크리트 건물의 비선형 요구내력스펙트럼을 이용한 지진손상도 평가법을 제안하였다. Part I에서는 지진 손상도 평가법, 즉 비선형 요구내력스펙트럼을 수식화하여 대상건물의 특정 연성률별로 지진입력수준과 내진성능잔존률(R)을 산정하여 구조물의 손상정도를 평가하는 지진손상도 평가법의 개념을 나타낸다.
-
본 연구에서는 Part I에서 제안한 평가법를 이용하여 철근콘크리트 건물의 지진손상도를 평가하였다. 본 평가법의 특징은 비선형 지진해석 및 능력스펙트럼(C.S.M)등의 상세 성능평가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도 비선형요구내력스펙트럼을 통해 특정 연성률에 대한 지진입력수준, 잔존내진성능 그리고 붕괴메커니즘을 효과적으로 파악 할 수 있다는 점이다.
-
본 연구에서는 1988년 이후에 중력하중에 대하여 설계되고 국내 철근 관행에 따라 배근된 철근콘크리트 골조 외부접합부의 거동 특성에 대하여 연구하기 위하여, 4개의 T형 부분골조 실험체를 만들고 변위비가 3.5%에 도달할 때까지 변위 하중을 가력하였다. 모든 시험체는 변비위 1%에 도달하기 전에 접합부에 파괴가 발생하여 FEMA의 제안치보다 작게 나타났으며, 종국강도가 휨 공칭강도에 의한 내력의 0.85배 이하로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제안된 저층 철근콘크리트 건물의 간이 내진성능 평가법1)을 토대로 국내 S, G 및 J지역에 현존하는 철근콘크리트 학교건물을 대상으로 내진성능을 평가하여 결과를 검토함과 동시에 지진피해율 정도를 추정하여 입력지진동 크기(0.1g~0.25g)에 따른 지진피해율 분포를 상정하였다.
-
최근 국내에서 내진성능평가를 위한 실험 시 구조물의 크기, 실험장비의 성능 등 여러 가지 제약여건을 극복하고자 축소모형을 통하여 유사동적실험과 진동대실험을 수행하고 있지만 상사법칙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대해 경제성과 신뢰성을 갖는 적절한 상사법칙을 제안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내진설계에서 중요한 부분인 철근콘크리트 보-기둥 접합부를 관찰한다. 접합부에 인접한 보에서 발생한 소성힌지로 인한 부착 감소로 보 주인장철근 미끄러짐에 따른 접합부 내력 및 연성 변화를 보 주인장철근량을 변수로 하여 평가한다.
-
이 연구의 목적은 프리캐스트 코핑부의 성능을 파악하는데 있다. 프리캐스트 코핑부의 성능평가를 위한 실험적 연구로 단순 집중하중을 받는 프리캐스트 코핑부 8개를 제작하여 파괴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변수로는 전단키와 수평전단철근을 선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끼움벽에 관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프리캐스트(Precast) 끼움벽에 섬유의 혼입율 및 단면 형상의 변화에 따른 변형경화형 시멘트 복합체(SHCC)인 프리캐스트 끼움벽의 내진성능을 평가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기둥을 관통하는 슬래브 하부 철근이 중력하중만으로 설계된 포스트텐션 플랫플레이트 골조의 내진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PT 플랫플레이트 골조에서는 슬래브 하부 철근에 대해 ACI 318-08에서는 특별한 언급이 없기 때문에 흔히 생략하고 있다. 대상건물을 비선형 시간이력해석으로 평가한 결과, PT 플랫플레이트 골조의 내진성능은 기둥을 관통하는 슬래브 하부철근이 위치할 때 눈에 띄게 향상되었다.
-
내진설계가 도입되지 않은 1992년 이전에 설계 시공된 교량 교각의 경우 소성힌지구간에 충분한 횡구속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주철근 겹침 이음을 가지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 연구는 주철근 겹침이음 교량 교각의 소성힌지구간을 형상기억합금 (SMA) 와이어로 보강하여 내진 성능 향상을 조사하였다. 준정적 (Quasi-Static) 실험 방법에 의하여 철근콘크리트 교각의 내진 성능을 평가하였다.
-
최근 신설된 교량의 경우에는 개정판 도로교 설계기준에 의해 내진설계를 수행하여 시공되고 있으나, 내진설계규정이 적용되기 이전에 시공되어 사용중인 철근콘크리트 교각의 경우에는 지진에 취약할 수 있다. 반복 횡하중을 이용한 실내시험을 통해 교각 시험체를 니켈-크롬 합금강바 보강 전후 및 보강형태에 따른 부재의 거동변화를 측정분석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제진시스템을 이용한 내진보강 핵심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변위 증폭형 제진시스템에 적용될 점성댐퍼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점성댐퍼의 속도에 따른 이력특성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점성댐퍼는 속도의존적 특성과 우수한 에너지 소산능력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철근과 콘크리트가 발휘하는 역할을 고려한 재료의 응력-변형도를 통해 축압축력과 함께 반복하중을 받는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에너지 소산 메커니즘을 규명한다.
-
본 연구에서는 기존 건축물의 내진보강을 위한 고성능 제진시스템 개발을 목적으로 이중 토글브레이스를 갖는 제진시스템에 대한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물모형 철골프레임에 이중 토글브레이스를 설치하고, 점증반복가력을 도입하여 제진시스템의 변위증폭효과 및 이력특성을 파악하였다.
-
콘크리트 격납구조물의 돔과 링빔은 서로 접합된 상태로 단면력 분포에 있어 상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연계 해석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축대칭 회전쉘의 막이론을 적용하여 본설계시의 유한요소해석에 앞서 돔과 링빔의 초기 형상이나 링빔의 프리스트레스 수준을 효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
본 연구는 고강도 콘크리트 유효응력 블록 계수 추정과 관련한 연구이다. 현행 KCI 코드에서 제시하는 등가직사각형 응력 분포는 고강도 콘크리트의 강도 분포를 정확히 예측하지 못하며, 실험 데이터에 기반한 제안식이 대부분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자의 실험 데이터와 응력매개벼수의 이론적 개념을 바탕으로 하여 고강도 콘크리트의 유효응력블럭 계수 추정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
강도 설계법에 기반을 둔 콘크리트구조설계기준은 전 응력의 계산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한계 상태 설계법에 근간을 둔 EC2와 휨 압축부재의 P-M상관도를 비교분석하였다. 해석결과, 설계기준에 따라 P-M상관도는 거의 유사하였지만 피복두께가 클 경우 EC2에 의한 값이 보다 안전 측에 해당하였다.
-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 적용할 수 있는 지진하중에 대한 간략 모멘트 재분배 방법을 개발하였다. 강기둥-약보 거동을 보이는 골조에 대하여 모멘트 재분배에 의한 하중전달 및 변형 메커니즘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보의 부모멘트 단부에서 허용되는 모멘트 재분배율과 보의 소성회전변형 사이의 정량적 관계를 정립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부재강성, 중력하중, 모멘트재분배, 벽체 및 보-기둥 접합부에 의한 강체거동 등에 의하여 보의 양단부 소성힌지에 요구되는 회전변형요구량을 평가할 수 있다.
-
콘크리트 구조물의 재령종속적 거동에 대한 유도된 구성관계의 예측특성과 정도 분석을 목적으로 세 종류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 실험은 구성관계를 정의하기 위해 요구되는 건조수축과 크리프 및 탄성계수발현에 관한 세 기본관계식을 유도하기 위한 원통형 공시체 실험과 원통형공시체 내에 축방향 철근을 매립한 철근매립형 공시체 축하중 실험 및 자중과 함께 등분포하중을 받는 RC 보 실험으로 구성하였다.
-
본 연구는 구조물의 부등기둥축소를 감소시키기 위한 최적의 아웃리거 설치위치를 제안한다. 부등기둥축소를 줄이기 위한 아웃리거의 최적위치는 아웃리거가 설치되지 않을 경우에 가장 큰 부등기둥축소를 보이는 위치임을 알 수 있었다.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new punching shear model for two-way concrete slabs of building structures and bridge decks structures reinforced with FRP or steel rebars. To do this, two evaluating methods are applied here. One is the ratio of test to model and the other is probability analysis with probabilistic uncertainties. In conclusion, it shows that the proposed punching shear model evaluates the tested punching shear strength as conservative with stability and it exhibits better probabilistic characteristics than existing punching shear models.
-
최적의 완전 조립식 교량 하부구조 시스템을 완성하기 위한 일환으로 전단저항 연결구조를 갖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PSC 교각구체 및 프리캐스트 기초부 개발에 대한 선행 연구에 이어, 프리캐스트 교각 코핑부에 대한 요소 실험체를 개발 제작하여 이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신뢰성 있는 비선형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RCAHEST)을 통한 실험결과와의 비교 분석을 수행하여 프리캐스트 교각 코핑부에 대한 안정성 및 극한 거동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섬유혼입 고인성 시멘트 복합체 패널에 대한 비선형 전단거동 예측에 관한 해석 모델을 제시하였다. ECC 패널의 다중미세균열 현상에 의해 나타나는 고인성 인장 거동, 압축 연화 거동, 및 고인성 시멘트 복합체 균열면에서의 균열 전단전달 거동 특성 등을 반영한 2차원 면내전단 거동 모델을 시도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철근콘크리트 보에서 발생하는 균열과 처짐이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사실을 바탕으로 부재에 작용하는 하중 정보 없이 처짐을 예측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실험값과 비교해볼 때, 기존의 유효단면2차모멘트를 사용하는 방법에 비해 간단하면서도 비교적 높은 정확도를 보여주었다.
-
FRP는 상대적으로 높은 인성으로 인해 충격하중이나 폭발하중과 같은 극한 하중으로 문제가 발생하는 구조물에 적용할 수 있다. 충격 저항성능을 향상시키고자 FRP sheet를 사용하여 인장부를 보강한 콘크리트 부재의 유한요소 해석을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구조물인 교량의 교각과 같은 압축부재의 충격하중을 정량적인 손상지수로 평가하기 위해서 동적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인 LS-DYNA를 이용하여 차량의 충격각도에 따른 충격도, 세장비 등을 변화시켜 case별 해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동해석 및 설계기법을 Bayesian 통계방법을 이용하여 충격하중을 받을 시의 성능기반형 설계기법을 산정하였으며, 이는 실제 충격하중에 의한 구조물의 방호성능 및 설계 시에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초고성능 콘크리트(UHPC)는 상대적으로 혼합 콘크리트 혹은 복합 구조체 콘크리트에 비해 재료성능이 우월한 콘크리트로 개발 되어져왔다. 본 연구에서는 UHPC의 노치된 보 실험의 하중-처짐 관계로부터 역해석 기법을 이용한 UHPC의 인장응력-CMOD 관계를 계산하여 종국적으로 실험이 용이치 않은 직접 인장강도를 실험식으로 추정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
내부공사 및 유지관리 기간 중 발생 가능한 충돌시나리오를 설정하여 갑문 및 교각의 충돌해석 및 손상도를 구조해석 하였다. 또한, 충돌해석은 재료비선형을 고려하여 시간이력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충돌해석에서 교각에 전달되는 충돌하중을 산정하여 구조해석한 후 손상도를 평가하였다.
-
본 연구는 곡면부재로서의 FRP 패널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고 제작장치의 개선을 통해 인발성형된 곡면패널 시작품을 제작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IPSC(Incrementally PreStressed Concrete)거더교에서의 적정 가로보 개수에 따른 구조적 거동이 분석되었다. 이를 위해지간 50m IPSC 거더교에 대하여 가로보의 개수가 늘어남에 따른 거동을 ABAQUS를 통해 유한요소해석이 수행되었다. 유한요소해석 결과 설계기준에 만족하고 경제적인 설계 및 시공성 향상을 위한 최적 가로보수가 판단되었다.
-
본 논문은 기 수행된 연구자료를 토대로 배근상세에 따른 커플링 보의 커플링 정도를 비교 분석함으로서 병렬 전단벽 시스템의 합리적인 설계를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2009년 개정된 KBC 2009는 기존의 KBC 2005를 개정한 것으로, 특수모멘트 골조의 도입 등 새로운 내진배근상세 등이 도입되었지만, 이에 대한 검토 및 배근상세가 부족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KBC 2009 및 2005기준의 내진상세를 표와 그림으로 비교하여, 실무 적용시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개선하였다.
-
국내 도로교설계기준에서는 날개벽 길이가 8m 미만인 경우에 대해서 날개벽을 4개 구역으로 나누고 캔틸레버 구조로 간편하게 수계산하여 단면력을 산정하도록 하는 간편법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간편법은 수계산에 의존하던 때에 만들어진 규정으로 과도한 안전율을 고려하게 되어 경제성 면에서도 불리한 설계가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불합리한 교대 날개벽 관련 도로교설계기준을 개선하기 위해서, 날개벽을 2변 고정 판구조로 해석하고 시방서 단면력과 비교검토를 실시하여 현시방서의 문제점을 정량화하고 개선책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염분 혼입량을 6단계로 나누어 시험을 실시하였다. 이때 코팅재와 염분 혼입량 외의 영향인자에 대한 영향을 줄이기 위해서 모르타르의 구성 성분은 동일하게 하여 시편을 제작하였으며 부식 결과를 빠른 시간내에 도출하기 위하여 부식 촉진법을 사용하여 20주간 시험을 실시하였다. 20주 동안 Galvanic과 Half-cell을 통하여 부식 개시시기에 대한 모델링을 하였으며, 싸이클 완료 후 Linear polarization을 이용하여 부식 전류를 측정하였으며, 철근을 모르타르와 동일한 방법으로 코팅하여 콘크리트에 적용 부식개시 시기를 알아보았다.
-
본 연구는 기존의 방법에 의한 섬유보강콘크리트의 내구성평가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개선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환경노출시간을 단축시켜 균질하게 내구성이 악화된 실험체의 제작과 내구성평가 방법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초기재령에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콘크리트 균열에 대하여 중성화 평가방법을 제시하고, 균열의 크기에 따른 중성화 침투깊이를 비교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해양환경하에서 Mega Foundation용 고내구성 콘크리트를 개발하고 개발된 콘크리트의 성능 평가를 위해 Mock Up Test를 수행하였다. Mock Up Test를 위해 국내외 최대규모인
$4m{\times}4m{\times}4m$ 의 Mock Up 구조물 2개를 제작하였으며, 각 구조물에 각기 다른 배합의 콘크리트 및 타설시간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인자의 영향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
교면재포장에 사용되는 VES-LMC에 흑색안료를 첨가하여 현장적용성을 평가한 결과, 안료의 첨가로 인하여 굳지않은 상태에서의 점성 증가, 시인성 증가 및 우수한 작업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
"한강살리기" 4공구 여주보는 대형 매스콘크리트 구조물이며 공사기간 단축이 필요한 구조물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사기간 단축과 온도균열제어를 위한 최적 배합설계 방법을 검토하였으며, 강도 특성 등의 역학적 특성과 단열온도상승 등의 발열 특성을 실내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시공단계에서 온도 계측을 통한 현장에서의 수화열과 온도응력 특성을 검토하여 온도균열에 대한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사용한 방사선 차폐용 고밀도 중량콘크리트를 현장 적용한 사례로써 제시된 목표 품질 규격을 만족하기 위한 재료 검토, 생산 준비, 현장 적용 제품을 통한 품질 특성에 대하여 각각의 진행 과정에 대하여 정리해 보았다.
-
콘크리트 표면도장을 고려한 염소이온 침투해석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사용하여 내구수명 연장 효과를 분석하였다. 해석결과에 의하면 표면도장은 가능한 초기에 실시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
본 연구는 도로공사 교량구조물 적용에 적합한 고성능 콘크리트배합의 도출을 위해 고로슬래그미분말을 30%,45%60%의 비율로 치환하여 각각에 대한 고성능 콘크리트의 전위차 촉진염소이온 확산시험을 180일 까지 실시한 결과를 정리하였다.
-
본 연구는 다공성 인공 경량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와 보통 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염해에 대한 저항성을 비교하고, 그 실용성을 확인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그 결과, 인공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염해 저항성은 보통 콘크리트의 염해 저항성 보다 낮음을 알 수 있었다.
-
본 논문은 석회석 미분말을 활용한 고유동 콘크리트의 염소이온 확산계수를 통하여 확산계수를 추정 하였다. 또한 석회석 미분말의 혼합률에 따른 미세공극을 수은압입법에 의해 알아보았다.
-
본 연구는 육상모래를 사용한 70, 100MPa급 고강도 콘크리트를 현장 배처플랜트를 이용하여 제조하고 강도발현 상태를 파악하고 이들의 내구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제조된 콘크리트에 대해 동결 융해, 탄산화, 염해저항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
수축저감 특성을 갖는 관능 그룹이 도입된 폴리카복실레이트계 고유동화제를 합성하였고, DSC 분석을 통해 시멘트 계 내에서 합성된 수축저감형 고유동화제에 대한 수화반응 거동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존 폴리카복실레이트계 고유동화 및 본 연구에서 합성된 수축저감형 고유동화제의 콘크리트 적용 성능을 평가하였고, 길이변화 시험 및 링테스트(ASTM C 1581-04) 방법을 활용하여 균열의 정량분석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인공경량콘크리트와 보통콘크리트의 마모저항성에 대한 실험이다. 동일조건에서는 인공경량콘크리트의 마모손실률이 물-결합재비가 커짐에 따라 더욱 증가하지만 플라이애쉬를 혼입한 경우 마모손실률의 차이는 감소하며 물-결합재 30%와 플라이애쉬 15%인 경우 인공경량콘크리트와 보통콘크리트의 마모손실률의 차이는 약 3%정도로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
The building that supply tidal and splash zone was constructed near Seamangeum Gate Bridge. The specimens that will be tested for maintenance of gate bridge were exposed on the tidal and splash zone, totally about 650. The characteristics of strength, salt penetration profile, field application of surface repair material and section recover material will be acquired by periodical test. The program was developed to obtain optimal maintenance strategy of gate bridge as a marine concrete structure and to deposit experimental data, lab. test result, field test result, on its D/B. On this paper, the comparison of concrete and recover material in the salt penetration characteristics was expressed.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salt contents in concrete surface was most important so the improvement for the machine of gathering power of concrete and the apparatus of measuring chloride contents was proceeded at this time. The two conclusions were summarized like as - The resistance of chloride attack of concrete was appeared 2.5 times bigger than that of recover material - The resistance of chloride attack of polymer series was appeared more higher than that of others.
-
탄산화의 억제를 위해 사용되는 마감재에 대하여
$CO_2$ 투과계수 평가방법을 제시하고, 우레탄 및 아크릴의$CO_2$ 투과계수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플라이애시를 혼입한 콘크리트의 물시멘트비에 따른 동결융해 저항성을 알아보기 위해 페이스트, 모르타르, 콘크리트 시편을 제작, 실험을 진행하였다. 페이스트와 모르타르는 길이, 무게변화를 측정하였으며 콘크리트는 질량변화와 동탄성계수를 측정함으로써 동결융해 저항성을 측정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황산염 침투를 받은 콘크리트의 염소이온 확산특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OPC, 2성분계 및 3성분계 시멘트를 혼입한 3가지 형태의 콘크리트를 물-결합재비 32% 및 43%에 대해서 제작하였다. 제작한 콘크리트 시험체를 365일 동안 황산염 용액에 침지시킨 후 NT BUILD 492에 의해 염소이온 침투 저항성 시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황산염 침투를 받은 콘크리트는 동일 재령의 표준양생 콘크리트보다 염소이온 침투 저항성이 크게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고내구성 혼화재를 콘크리트에 적용하여 기초물성과 염소이온 침투저항성을 비교 검토후 최종적으로 해양환경하의 고내구성 콘크리트를 개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
본 연구에서는 탄산화에 의해 열화를 받은 콘크리트 부재의 보수 후 재열화과정을 Fick's 확산(diffusion) 제1법칙을 이용하여 모델링하였다. 여러 콘크리트 보수재 중 단면복구재에 의해 보수된 콘크리트 부재에 대한 이산화탄소에 재탄산화를 고려한 합리적인 예측식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보수재의 이산화탄소 확산 프로파일과 기존 구체콘크리트의 탄산화된 부분의 이산화탄소 확산 프로파일을 효과적으로 모델링할 수 있음을 보여줬다.
-
본 연구는 W/B 종류 및 혼합시멘트 종류에 따른 해양 콘크리트의 내구특성을 비교검토 후 최종적으로 고 내구성능을 확보한 장수명 해양 콘크리트를 개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탄산화진행을 보다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콘크리트 투기계수를 탄산화 진행 모델에 적용하여
$CO_2$ ,$Ca(OH)_2$ 확산 계수를 유추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
원자력발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원전구조물 콘크리트에 대한 검토가 요구되고 있으나, 국내실정에 맞는 원전구조물의 내구성에 대한 검증자료가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원전구조물에 사용된 실제재료와 배합조건으로 시편을 제작하여 원전시설물의 열화에 대한 내구 안정성을 검토하였다. 향후 장기적인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본 연구는 경량 콘크리트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경량콘크리트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인 골재조합을 통해 강도와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
경량콘크리트의 유동성과 압축강도에 대한 경량잔골재 치환율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경량잔골재치환율을 주요변수로 5배합의 경량콘크리트가 배합되었다. 실험결과 경량잔골재의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슬럼프 손실 기울기는 증가하였으며, 압축강도 발현율에는 큰 영향이 없었다.
-
본 연구는 다양한 재하조건과 고온을 받을시 경량 및 일반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거동예측을 위한 변형특성을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제강슬래그 미분말을 결합재로 사용한 모르타르의 품질을 검토하였으며, 제강슬래그를 잔골재로 사용한 모르타르의 물성을 장기적으로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제강슬래그 미분말을 사용한 모르타르의 품질은 OPC만을 사용한 것과 비교하여 매우 낮게 나타났으며, 잔골재로 사용한 경우 압축강도는 부순모래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
팽창재를 사용함에 따라 초기 수축균열을 줄여주고, 팽창에 따른 응력을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팽창재를 사용한 섬유보강시멘트복합의 팽창재 대체량에 따른 성능 평가 및 거동특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
콘크리트 내부의 온 습도는 콘크리트의 방향, W/C, 그리고 외부환경 등의 요인에 따라 각기 다르게 변화한다. 또한 콘크리트 내부 깊이에 따라서도 온습도 값은 다르다. 본 논문에서는 콘크리트 내부의 온습도 변화를 내부 깊이별, 방향별, W/C별, 실내외 위치별로 나누어, 2년 동안 측정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준설재료의 실용적 이용을 위한 기술을 개발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준설토의 재료적 특성에 대하여 분석하고 평가하였다. 잔골재 대체제로 준설토를 10%정도 사용한 모르터의 경우, 일반 모르터의 압축강도에 비해 10%정도의 강도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지만, 완전 대체재로서의 사용은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본 연구에서는 변형경화형 시멘트 복합체(SHCC)에 섬유 혼입율을 변수로 실험체를 제작하여 역학적 특성을 평가하였으며, 실험 결과로부터 향후 SHCC의 관한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건식 스프레이 모르타르를 적용한, 보수 보강용 모르타르 재료 개발을 위한 기초 물성 실험을 실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
철근콘크리트 보의 휨 보강을 위하여 활용되는 재료는 매우 다양하다. FRP의 경우 우수한 무게-강성비 및 시공성을 바탕으로 최근 활발히 활용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들 FRP 휨 보강재의 활용에 있어 취성적 재료특성은 실제 현장적용에 있어 콘크리트 박리파괴 유발 및 단부 부착파괴의 주요 원인으로 고려되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들 FRP 휨 보강재의 연성적 거동을 개선하기위하여 복합재료 구성요소 중 Fiber의 적층면적 중 일부분을 알루미늄 재료로 대체하여 휨 보강재로서의 구조적 성능을 조사하였다. 연성보강 fiber로는 얇은 두께의 알루미늄이 고려되었으며 다양한 배합설계 조건이 본 연구에서 수행되었다. 최종적으로 알루미늄 삽입 보강재 제작에 따른 연성개선 및 에너지 저장효과에 대한 결과들을 실험을 통하여 연구하였다.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사용되는 건설용 복합재료의 전단특성을 조사하기위하여 ASTM 규정에 따른 전단시험을 실시 GFRP 재료의 전단비선형 특성을 파악함으로 전단지배 하의 구조물 내 FRP 보강재 부착 시 장기거동을 파악함에 있어 반드시 요구되는 복합재료의 전단 비선형 특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산업폐기물을 이용한 인공경량골재의 제조에 관한 실험적 연구이다. 실험결과, 산화슬래그를 부원료로 사용한 경우, 소성온도
$1,150^{\circ}C$ 에서 낮은 절건밀도와 낮은 흡수율을 나타내었고 유리연마슬러지의 경우는 본 연구에서 사용한 범위 이상을 사용하여야 경량화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고로슬래그 미분말은 경량골재 원료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
본 연구에서는 회전형 마쇄기에 의해 생산된 순환굵은 골재의 우수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콘크리트의 기초적 특성을 콘크러셔를 사용한 경우와 비교 분석 한 것이다. 그 결과 순환골재 치환율이 증가에 따라 회전형 마쇄기에 의해 생산된 순환골재일 수록 콘크러셔에 비해 유동성 및 압축강도면에서 양호한 것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회전형 마쇄기에 의해 생산된 순환골재의 입형이 비교적 둥글어 골재사이의 마찰력이 감소한 것 및 마모작용으로 부착모르터가 다량 제거된 것 등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
본 연구에서는 전기로 산화슬래그의 콘크리트용 골재 자원화를 위한 기초자료 축적을 목적으로, 전기로 산화슬래그를 잔골재 및 굵은골재로 천연골재를 대체하여 사용할 경우, 고성능 콘크리트의 작업성 및 강도발현특성을 검토하여, 콘크리트용 골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전기로산화슬래그 골재를 일반 골재로 대체한 경우의 콘크리트 수축특성을 평가한 것으로 전기로산화슬래그 굵은골재를 사용한 경우 건조수축이 일반콘크리트 대비 40% 저감되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고강도에 비해 일반강도 콘크리트에서는 더욱 뚜렷한 경향을 확인할 수 있어, 향후 자원 재활용을 통한 일반골재 대체 효과가 기대된다.
-
콘크리트의 자중 과대라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중국경량골재의 경량콘크리트에 대한 적용성을 입도별로 검토하여 중국경량골재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한 참고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매스 콘크리트의 수화열 저감을 위해 혼화재를 다량 치환한 사용한 배합(LHC)에 대하여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동일 유동성을 만족하기 위한 감수제량은 약 50% 정도 감소하였으며, 압축강도는 OPC의 약 95% 정도를 발현하였다. 또한 수화열에 의한 온도상승은 OPC 및 FA25에 비해 36~48% 저하하는 것으로 나타나 매스 콘크리트의 수화열 저감에 큰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본 연구는 저발열 콘크리트의 적용성 검토를 위한 기초적 시험으로서, 각각의 배합조건 및 규격별 물리적 성질 및 수화열 저감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POSCO 글로벌 R&D 센터 구조실험동에 시공되는 반력상 및 반력벽은 구조실험을 수행하여야하기 때문에 구조물의 균열이나 손상은 치명적이다. 따라서 매스콘크리트 타설시 발생할 수 있는 온도균열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수화열 해석을 시행하였다. 수화열 저감을 위해 몇가지 방법이 제안되었으며, 해석의 주요 변수는 타설 콘크리트의 종류, 타설 주기가 검토되었다.
-
In this study, respectively and furnaced kaolin at
$900^{\circ}C$ was also manufactured into meta kaolin by air cooling and water cooling method. The chemical characteristic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various type of blended cements contained above mentioned gypsum and meta kaolin materials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ose characteristics of cement matrix with silica fume. From the test, the cement mixed meta kaolin made in water cooling has more excellent quality than other material. -
본 연구에서는 도로 포장용 린 콘크리트의 균열저감 목적에 여러 종류의 섬유를 접목하여 물성을 비교 분석한 것이다. 실험결과 NY섬유를 사용한 경우 우수한 형상비와 친수성에 기인하여 비비시간이 짧아 가장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휨강도의 경우는 PP섬유에서 가장 높은 강도값을 나타내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알칼리 활성화 모르타르의 제조에 있어서 바텀애쉬의 결합재로서의 활용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해 각 구성재료가 미치는 영향을 강도 및 유동성 측면에서 파악하였다.
-
구조물에서 건조수축에 따른 균열은 간과해서는 안되는 요소로, 팽창재를 사용함에 따라 초기수축균열을 줄여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팽창재를 사용한 SHCC의 변형 및 거동에 따른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건조수축 및 압축 실험을 계획하였으며, 에트링자이트 생성반응에 따른 SHCC의 역학적 특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
본 논문은 경량콘크리트의 깊이에 따른 수축을 일반콘크리트와 비교하여 연구하였다. 경량콘크리트는 사전흡수수가 20%인 인공경량골재를 사용하였다. 물-결합재비가 30%일 때의 경량콘크리트는 일반콘크리트보다 단면의 평균 수축률은 감소하였지만 부등수축률은 다소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물-결합재비가 40&일 때는 경량콘크리트는 일반콘크리트보다 단면 평균 수축률, 부등수축률 모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고로슬래그의 초기 강도의 증진과 응결지연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고로 슬래그 및 석고가 혼입된 고로 슬래그를 대상으로 pH 변화에 따른 고로 슬래그의 표면 활성화의 특성과 quick-setting 특성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MgO를 혼입한 콘크리트의 자기팽창 실험결과를 이용하여 물-결합재 비, MgO 첨가량, 양생온도 등의 영향인자를 고려한 자기팽창 모델을 제안하였으며, 모델 예측 결과가 실험 결과를 잘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현재 사용되는 콘크리트의 이형제들은 대부분 소수성 물질로써 다량의 VOC를 함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타설 중에 포함된 기포가 형틀 표면에 부착되어 경화 후 핀홀, 펀칭홀 등을 유발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이형제의 기본 특성 개선과 함께 마감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는 부가형 이 형제를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
철근콘크리트구조의 연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인 철근의 최소연신율 규정은 각 나라 규격마다 상이하다. 이는 각 규격마다 철근의 연신율을 산출하는 기준인 표점거리가 다르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각기 다른 표점거리를 가지고 있는 국내외 규격을 비교하고, 단조증가 인장시험을 통하여 어떠한 규격의 연신율 규정이 더 엄격한지에 대해 실험적으로 분석 평가하였다.
-
본 연구는 하중이 재하된 상태에서 온도의 상승에 따른 콘크리트의 응력-변형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조기강도 발현 롤러다짐 콘크리트의 물리 역학적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적정 배합비로 도출된 라텍스를 첨가한 조기강도 발현 롤러다짐 콘크리트 배합과 동일한 작업성을 가진 라텍스를 혼입하지 않은 배합의 물리 역학적 성능을 비교 평가하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라텍스를 첨가한 배합이 라텍스의 공극 충진으로 인한 일체화 거동 효과로 인해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
본 연구는 기존 황토 자전거도로에서 발생하고 있는 압축강도 저감에 따른 패임현상을 해결하기 위하여 비(非) 시멘트계 고화재를 사용한 황토 모르타르의 유동성, 압축강도 및 휨 강도 특성을 평가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
본 연구는 기존 황토 자전거도로에서 발생하고 있는 동결융해에 의한 내구성 저하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비(非) 시멘트계 고화재를 사용한 황토 모르타르의 내수성, 동결융해 저항성, 미세구조(XRF)분석을 평가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
본 연구에서는 미분쇄한 고분말도 일반포틀랜드시멘트를 이용한 혼합시멘트의 기본물성을 검토함으로써 조기에 강도를 발현하여 한중공사 시 초기동해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양생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2차 제품에 적용 시 우수한 내구성을 발현할 수 있는 조강형 혼합시멘트를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다량 사용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재료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각각 50%와 70% 사용한 고강도 콘크리트에 대해 압축강도, 단열온도상승, 자기 수축 및 염소이온확산계수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슬래그 다량 치환 사용시 수화열 저감 및 염소이온확산계수 감소로 온도균열제어 및 고부식성 환경하 염해 저항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W/B 비와 양생온도 변화에 따른 MgO혼입 콘크리트의 자기팽창 변화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시멘트 중량비 0%, 5%의 MgO를 혼입한 콘크리트를 대상으로 자기팽창실험을 수행하였다. 장기시간변화에 따른 자기팽창변화를 측정하여 W/B와 양생온도 변화에 따른 영향정도를 파악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칼라노출콘크리트 중 백색콘크리트를 대상으로 하여 향후 현장 적용시 안정적인 품질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결합재 조성에 따른 콘크리트의 기초물성을 검토하였다.
-
본 연구는 경량기포콘크리트의 기포제로 과산화수소를 사용하며, 경량기포콘크리트의 물리적 특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혼화재를 혼입하였다. 혼화재의 종류별 수준별로 혼입하여 변화와 특징을 조사하고, 경량기포콘크리트를 개선시키기 위하여 가장 적합한 혼화재와 배합비를 찾는 것이 목적이다.
-
마그네슘계열 활성화제의 중요성과 한계를 평가하기 위해
$MgNO_3$ 이 첨가된 알칼리활성 모르터의 유동성과 압축강도가 평가되었다. 주요변수는$MgNO_3$ 첨가율과 양생조건이다. 실험결과 알칼리활성 모르터의 초기 플로우는$MgNO_3$ 첨가량에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 알칼리활성 모르터의 28일 압축강도는 수중양생이 대기양생보다 30~60% 높았다. -
본 연구에서는 현재 폐기물로 지정되어 있는 잔사회의 자원재활용화를 위하여 시멘트 혼합재로 사용하기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플라이애쉬와 고분말도 잔사회를(
$6,400cm^2/g$ ) 슬래그시멘트의 30%를 치환하여 혼합시멘트를 제조한 다음 모르타르 압축강도, 페이스트 유동특성등을 평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진동시간이 투수콘크리트의 성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여 투수콘크리트 블록의 성능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
최근 콘크리트의 사용이 사회의 발전과 더불어 단순한 구조적 부재를 넘어서 여러 방면으로 쓰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수를 1차 처리하는 여재에 적용하기 위한 다공성 투수성 경량콘크리트의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다공성 투수성 경량콘크리트는 기존에 사용된 콘크리트와 다르게 매우 많은 공극을 포함하는 불연속체로 물리적 특성 면에서 전혀 다른 거동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배합비에 따라 달라지는 공극률의 변화 등의 물성을 평가하고 다공성, 투수성 경량콘크리트에 대한 역학적 특성을 실험적으로 평가하였다.
-
본 연구는 플라이애시 생산지 및 로트별 품질변화에 따른 콘크리트 압축강도 발현 특성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플라이애시 생산지 및 로트별 모르타르 활성도 지수와의 상관관계를 검토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플라이애시를 대량 사용한 콘크리트의 기초 물성 및 단열온도상승 특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이를 위하여 플라이애시를 시멘트량에 대하여 40% 및 50% 사용한 콘크리트 배합에 대하여 슬럼프, 공기량, 블리딩, 압축강도 및 단열온도상승 시험을 실시하였다.
-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저항강도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인자는 콘크리트 및 철근의 역학적 특성이다. 이 논문에서는 국내 철근의 시험자료를 바탕으로 철근의 역학적 특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조강형 혼화제 종류에 따른 콘크리트의 특성에 대하여 분석함으로써, 콘크리트의 초기품질 향상, 공기단축을 통한 공비절감 및 한중 콘크리트의 품질관리를 위한 참고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플라이애시와 고로슬래그를 사용 알칼리 활성 모르타르에 대하여 알칼리 활성화제의 혼합비율이 유동성 및 압축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는데 목적이 있다.
-
At the latest industry develops, heavy metals or sludge contaminated surrounding farm land and rivers. In this study, wished to solve problem by saying contaminated sludge and tailing and heavy metals to do solidification using Magnesia phosphate cement. Confirmed through above experiment that magnesia is effect in solidification and stabilization of chromium and lead.
-
시멘트 대체재로서 폐 TFT-LCD 유리분말을 사용하여 고강도 파일 콘크리트의 기본적인 물성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데이터를 근거로 폐 TFT-LCD 유리분말이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 콘크리트용 혼화재로서 사용이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
본 논문은 국내 재료성능모델 개발을 위하여 새로운 시간경과에 따른 코크리트 강도 발현 모델식을 제안 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사용하고 있는 숏크리트용 급결제의 알칼리-실리카 반응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따라서 국내산 1종 시멘트에 급결제(알루미네이트계, 알칼리프리계, 시멘트광물계)를 혼입하여 알칼리-실리카 반응에 대한 영향을 검토해 보았다. 시험 결과 비반응성 골재를 사용한 경우 급결제의 등가알칼리 함량이 달라져도 알칼리-실리카 반응으로 인한 유해한 팽창은 발생하지 않았다.
-
최근 타일접착제 시장이 성장함에 따라 이에 관한 국제규정인 ISO 13007이 제정 되었으며, 세계 각국에서 동(同)규정의 전면적 혹은 부분적 수용을 통한 자국규정의 개정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에서도 타일접착제 관련 KS규정의 국제규정 부합화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타일접착제 국제규정의 국내 도입을 앞두고 타일시멘트의 중요한 성능지표인 접착강도에 미치는 하지 종류의 영향을 검토함으로써 국제규준에 적합한 접착하지의 확보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분리저감형 유동화제의 최적배합비를 결정하고, 이것을 사용한 콘크리트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유기산계와 유기합성복합체를 함유한 유동화제를 사용한 콘크리트는 KASS 5T-401의 품질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구조용 경량콘크리트 배합설계의 전산화를 위하여 ACI211.2-98 (구조용 경량콘크리트 배합설계의 표준 방법)의 배합설계이론을 고찰하고 Jandel사의 Table Curve 2D 및 3D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그 배합설계과정을 수식화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등가재령에 의한 적산온도방법을 이용하여 혼화재를 치환한 시멘트 모르터의 응결시간을 예측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혼화재치환에 따른 시멘트 모르터의 겉보기 활성화에너지를 등가재령식에 대입한 결과 양생온도별로 거의 유사한 값으로 나타나 응결시간 예측에 적산온도 개념의 적용이 적합한 방법인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생산 판매되는 각종 방동제를 수집하여 품질특성에 대하여 검토하였으며, 구체적으로 방동제 사용에 따른 저온양생 모르타르의 강도 회복 특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종류별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의 방동제가 저온양생기간의 배합수의 동결온도 저하를 방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OFA(Palm oil fuel ash)는 Palm fiber 와 shell의 부산물로써 콘크리트용 혼화재로 사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POFA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포졸란 반응에 관한 연구는 매우 적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른 콘크리트용 혼화재료와 동일한 수준으로 POFA의 혼입 치환율을 달리한 모르타르의 압축강도 및 활성도 지수, 포졸란 활성도 지수(API)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혼화재료로서의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
이 논문에서는 고강도 콘크리트의 크리프 특성에 관한 연구로서 실험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여러 크리프 예측식과 비교하여 기술하였다. 따라서 고강도 콘크리트의 크리프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1종 시멘트로 제작된 대상 콘크리트에 대해 ACI-209 및 CEB/FIP-90의 크리프 예측식에 의한 결과와 비교 검토하여 크리프 예측식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
본 연구는 친환경 건설소재로서 경량부석이 혼입조건에 따른 포러스콘크리트의 물리 역학적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시험 결과 포러스콘크리트의 공극률, 투수계수 및 압축강도 특성을 고려했을 때 경량부석의 적정 혼입률은 약 10~20%인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광물질혼화재를 사용한 모르타르의 유변학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검토 항목으로는 모르타르의 점도, 항복값 및 재령별 압축강도를 측정하여 검토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혼화재치환에 따른 시멘트 모르터의 양생온별 응결시간을 이용하여 겉보기 활성화 에너지 값(Ea)과 ASTM C 1074 방법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응결시간을 이용한 Ea값은 15~21 KJ/mol의 범위로 나타났는데, ASTM C 1074 방법에서의 Ea값의 범위인 30~50 KJ/mol의 범위보다 작은 값으로 타나났다.
-
수중불분리 콘크리트의 품질은 혼화제의 성능 및 배합비와 같은 변수들에 영향을 받으며, 이들 중 혼화제의 성능은 수중불분리 콘크리트의 품질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중불분리성 혼화제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슬럼프 플로우, 응결시간, 압축강도 및 수중분리도를 측정하여 수중불분리성 혼화제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수중불분리성 혼화제를 사용한 콘크리트는 플레인 콘크리트보다 유동성, 압축강도 및 수중불분리도와 같은 콘크리트의 품질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초음파 펄스 속도법은 기존 구조물에 손상을 주지 않고 콘크리트의 상태평가를 할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간편하고, 경제적이며, 뛰어난 적용성 때문에 그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중이력상태에 따른 콘크리트의 초음파 펄스 속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고 콘크리트 내부결함을 평가하였다.
-
본 연구는 친환경 건설소재로서 복합유용미생물의 혼입조건 따른 시멘트페이스트의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시험 결과 시멘트 페이스트의 유동성, 압축강도 및 적용가능성을 고려했을 때 적정한 EM의 종류 및 혼입률은 Type2를 5~10%정도 활용한 경우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단위수량 신속측정법에 의한 포장콘크리트 품질 특성평가를 하였다. 단위용적법에 추정 단위수량측정결과 평균
$6.6kg/m^3$ 정도 낮게 나타났다. 현장 배치플랜트에서는$28kg/m^3$ 높게 나타났으며, 평균 휨강도는 6.03MPa 나타났다. -
폴리머시멘트의 재료물성에 미치는 세공구조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EPMA에 의한 원소분석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폴리머시멘트의 수화반응 및 막형성 프로세스의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검토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동결융해저항성(KS F 2456) 및 염소이온 침투저항성(NT Build 492) 시험을 통하여 순환형 폐기물이 혼입된 Eco-ECC(Engineered Cementitous Composite)의 내구성능을 평가하였다.
-
본 연구는 인공해수촉진열화시험에 의한 해양콘크리트의 내염특성 규명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서 시멘트 종류 및 도막처리에 따른 콘크리트의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시험 결과 강도 및 염소이온침투 특성 등을 고려할 경우 해양용 혼합시멘트가 콘크리트의 내염성능 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슬래그시멘트의 분말도에 따른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의 물리 역학적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 분말도가 증가함에 따라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의 강도특성은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초기강도 및 28일강도 개선에 효과적인 슬래그시멘트의 적정 분말도는
$5,000cm^2/g$ 인 것으로 나타났다. -
알칼리활성 슬래그 콘크리트의 슬럼프 및 압축강도에 대한 단위결합재량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6배합의 알칼리활성 슬래그기반 콘크리트가 실험되었다. 주요 변수로는 단위결합재량으로 300, 350, 400 및 550 kg/
$m^3$ 이다. 실험결과 단위결합재량의 증가는 초기 슬럼프를 증가 시켰으며, 압축강도를 증가 시켰다. -
최근 결합재로 시멘트를 사용하지 않은 알칼리 활성 콘크리트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멘트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결합재로서 플라이애시와 고로슬래그의 혼합비율에 따른 압축강도와 미세구조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광산 스프레이 콘크리트 개발을 위해 압축강도, 휨강도, 염화이온 침투 저항성 실험, 화상분석을 통한 초기 배합 연구를 실시하여 광산 적용 적합성을 판단하고자 한다.
-
환경부하저감 기능을 갖는 투수콘크리트는 우수의 지중 침투, 흡음, 열섬저감 등의 장점을 가지지만 일반콘크리트에 비하여 낮은 휨특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투수콘크리트의 휨특성을 보완하기 위하여 와이어매쉬 및 섬유보강재를 혼입한 투수콘크리트를 제조하여 휨거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감수 및 강도보상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화학혼화제의 종류 및 사용량에 따른 재료역학적 성질을 비교해 보고, 콘크리트의 응결 및 강도 특성을 파악하여 최적의 현장배합도출에 활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매스콘크리트의 온도균열을 저감하기 위한 방안으로 저발열 시멘트 및 온도 저감형 결합재를 사용하여 현장 적용을 검토하기 위하여 현장 Mock-up Test를 실시한 결과이다. 실험을 실시한 결과 저발열 및 온도 저감형 결합재를 사용한 수화열은 각각 44,
$54^{\circ}C$ 로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폐콘크리트 미분말의 재활용 기술 개발의 일환으로 WCP의 화학 성분을 분석하였고
$SiO_2$ 가 약 60% 함유된 것을 확인 하였다. WCP를 규사 대체재로 사용한 오토클레이브 경량 기포 콘크리트의 특성을 파악 하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WCP 대체율이 증가할수록 압축강도는 감소하고 공극 변화는 없었으며 양생 시간이 증가할수록 압축강도는 상승하고 공극 분포는 증가하였다. -
본 연구는 WCP 대체율 및 오토클레이브 양생시간 변화에 따른 경량기포콘크리트의 미세구조 및 광물분석을 통한 화학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경화체의 미세구조 분석으로부터 수열 반응 후 WCP 대체율 및 양생시간에 관계없이 반응하여 판상형, 섬유형의 결정 구조물의 수화물을 형성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Tobermorite(C5S6H5)는 WCP의 구성성분인 결정질 Quartz의 반응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
본 연구는 해양콘크리트용 소재로서 나노실리카의 종류 및 혼입량에 따른 시멘트 복합체의 공학적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시험 결과 시멘트 복합체의 강도 및 공극 특성 개선에 효과적인 나노실리카는 Sodium Silicate계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적정 혼입률은 5%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국내 원전구조물에 사용된 실제 재료와 배합조건으로 시편을 제작하여 공학적 방벽의 재령에 따른 물리적 특성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압축강도, 탄성계수, 투기계수, 투수계수를 측정하여 원전 콘크리트의 물리적 특성을 성능을 평가한다.
-
ECC의 우수한 인장 성능은 섬유가 매트릭스의 균열 면에서 가교작용을 함으로써 발현되기 때문에 섬유의 분산성이 복합재료의 성능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순환형 폐기물이 혼입된 ECC의 인장 거동을 보다 정확히 예측하기 위하여 섬유의 분산성을 평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방동제의 동결온도 측정방법 및 국내에서 시판되는 방동제의 동결온도 특성을 조사하였다. 방동제 종류는 아질(초)산계 방동제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방동제와 물의 희석비는 각 종류별 3개 수준으로 하였는데, 방동제와 물의 희석비가 1:3의 경우
$-4.9{\sim}-6.3^{\circ}C$ , 1:5의 경우$-3.3{\sim}-4.2^{\circ}C$ , 1:7의 경우$-2.1{\sim}-3.3^{\circ}C$ 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
본 논문은 석회석 미분말을 활용한 고유동 콘크리트의 유동 특성 및 자기수축량을 통하여 자기수축 특성을 알아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촉진제로서 염화칼슘(
$CaCl_2$ )을 첨가한 모르타르의 수화 촉진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관입저항시험과 초음파속도 측정기를 이용하여 응결시간을 추정하였으며, 염화칼슘의 초기 강도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압축강도를 측정하였다. -
본 연구는 콘크리트 결합재로 사용되는 시멘트의 대체재 개발을 위해 천연황토에 수산화나트륨(NaOH) 수용액과 액상 규산나트륨(
$Na_2SiO_3$ )을 혼합한 후$60^{\circ}C$ 에서 알칼리 활성화하여 경화시켜 강도 발현 양상을 분석한 천연황토 콘트리트 결합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이다. -
도로의 결빙은 겨울철 차량사고의 큰 원인으로 작용하며, 특히 고속도로에서의 노면결빙은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노면결빙으로 인한 사고는 노면상태를 파악하여 사전에 결빙을 방지함으로서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속도로에 적용된 콘크리트 포장체의 노면상태를 평가하기 위하여 상습결빙구간에 포장체 깊이별로 온도센서를 설치하였다. 이 결과는 향후 결빙 사전예측을 위한 노면상태판정의 기초자료로 효과적으로 활용될 것이다.
-
본 논문은 고압송용 저점도 고유동 콘크리트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페이스트 및 모르타르의 소성점도 및 항복응력을 검토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고압송용 저점도 고유동 콘크리트에 페이스트 및 모르타르의 적절한 재료특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최근 국내 초고층 건물의 고강도콘크리트 화재시 내화성능 확보와 관련하여 자체 연구개발한 폴리믹스(PP섬유 + 폴리머분말)를 적용 80MPa 고강도 콘크리트에 대한 내화성능 확인 실험을 실시함으로써, 초고층 펌프압송이 가능한 초고층용 고내화콘크리트를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PP, NY, CL의 유기섬유 조합비율 변화에 따른 고강도 콘크리트의 내화특성을 분석한 것으로, PP+NY+CL=0.02+0.01+0.02의 경우가 여타의 섬유 조합보다 내화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최적조합비율인 것으로 판단된다.
-
본 연구에서는 순환재료를 사용한 그린 변형 경화형 시멘트 복합체의 압축, 휨 및 직접 인장거동 특성에 대하여 평가한다. 순환재료로 재생 PET 섬유, 플라이애쉬 및 폐콘크리트로부터 생산된 순환잔골재 등이 사용되었다. 실험결과, 5개의 덤벨형 인장 시험편의 직접 인장강도는 4.76MPa, 휨 및 압축강도는 7.40MPa 및 38MPa로 각각 평가되었다.
-
본 연구는 최근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고인성 섬유 보강 시멘트 복합재료의 휨 하중 하에서 에너지 흡수 능력을 시험체의 크기와 관계없이 비교 평가할 수 있게 하는 휨인성 밀도를 처음으로 제시하였다. 두가지 종류의 강섬유 (Hooked and Twisted steel fiber)를 두가지 휨인장시험체 크기(
$100{\times}100{\times}350mm^3$ and$150{\times}150{\times}500mm^3$ )를 사용하여, 고인성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재료에 대한 휨 시험을 수행하였고, 새로 제안된 휨인성 밀도 값을 제시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큰 시험체 크기와 많은 충격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재료의 충격 실험을 수행하기 위한 새로운 종류의 충격시험 장비를 제안하였다. 제안한 충격시험장치는 위치에너지나 운동에너지를 사용하는 기존 충격시험와 달리 선형변형에너지를 사용하고, 기존의 다른 충격시험장비와 비교하여 크기가 훨씬 작고 경제적이며 안전하다.
-
본 연구에서는 Bayesian 확률법을 이용한 성능기반형 배합설계방법(Perfomance Based Mixture Design, 이하 PBMD)을 고강도 콘크리트 배합설계에 활용하여 요구성능을 만족하는 고강도 콘크리트 배합비를 찾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고강도 콘크리트의 여러 가지 재료 성능 변수들을 구하기 위해 수행한 여러 가지 실험들의 결과를 바탕으로 고강도 콘크리트 배합설계 시 PBMD 방법의 적용가능성에 대해 검토하였으며 지역에 따른 환경조건, 사용 가능한 재료, 적용 가능한 콘크리트생산기술 등을 고려하여 목표성능을 만족시키는 최적의 콘크리트 배합비를 구하는 과정을 PBMD 방법을 적용한 예제를 통해 나타내었다.
-
본 연구는 폴리프로필렌 섬유와 나일론 섬유, 그리고 스테인레스 강섬유로 보강된 초고강도 콘크리트 기둥의 내화 성능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단주부재시편 24개가 제작되었으며 KS F 2257-1의 표준시간-가열온도곡선을 이용하여 3시간까지 가열하였다.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길이와 각 섬유의 혼입율을 주요 실험 변수로 하였으며, 일반 골재와 전기로 슬래그 골재에 대한 영향도 파악하였다.
-
1980년대 이후 건축기술의 발달과 함께 50층을 넘어 100층 이상의 초고층 건물 시대로 진행되었다. 초고층건물의 등장으로 이에 따른 기초두께의 증가가 불가피하게 되었다. 이 때 기초 두께를 감소시킴으로 인해 공기 및 경제성이 향상 될 수 있다.
-
본 연구는 폴리론 화이버 혼입 고강도 콘크리트의 실구조체 조건에서의 내화시험 후 균열양상을 분석한 것으로 폴리론 화이버 혼입시 무혼입의 경우에 비하여 화재 후 약 23.4%의 균열저감성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기존 연구에 따르면 강도 증가에 따라 설계기준에서 제시하는 콘크리트의 탄성계수가 실제 탄성계수를 과대평가하고 있다고 언급하고 있으나 2007년에 콘크리트구조설계기준이 개정되었기 때문에 개정된 탄성계수 산정식에 대한 확인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고강도 콘크리트의 실험을 통해 탄성계수를 제안하였으며 제안식과 2003 콘크리트구조설계기준 및 2007 콘크리트구조설계기준의 탄성계수를 비교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강섬유를 혼입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파괴 특성을 보여준다. 실험에 사용된 강섬유는 결합제의 용적비에 대한 0.5%, 0.75%. 1%를 사용하였고, 노치길이는 0, 15, 40, 45mm로 변화를 주었다. 3점 휨시험을 통해 J-integral(
$J_{Ic}$ ),$K_{Ic}$ ,$G_F$ deflection strength 그리고 fracture energy를 구하였다. 그 결과 섬유의 혼입은 콘크리트의 fracture energy를 향상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3시간 내화실험으로 고강도콘크리트의 화재저항성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섬유의 종류(폴리프로필렌, 나일론)와 콘크리트 피복두께(40mm, 50mm, 60mm)를 조절하여 실험을 하였다. 실험결과 충분한 양의 섬유를 혼입하였을 때 폭렬 저항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
고강도 콘크리트는 폭렬 발생을 제어하기 위하여 PP섬유와 나일론 섬유 등을 혼입하며, fiber cocktail로 PP섬유와 강섬유를 혼입한 형태도 많이 연구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Fiber-cocktail 내의 폴리프로필렌은
$1.5kg/m^3$ , 강섬유는 각각 20, 30,$40kg/m^3$ 로 하여 시험체내의 온도를 살펴보았다. 실험결과 강섬유의 혼입이 증가하면서 콘크리트 내부 온도 및 철근의 온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강섬유는 고강도 콘크리트 화재 시 폭렬의 방지 및 온도상승 지연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건설공사에서 콘크리트의 조기강도 확보를 통한 거푸집 탈형시기의 결정은 공기단축 및 경제성 측면에서 중요한 기술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용적인 콘크리트 재료와 소요의 압축강도 기준을 만족하는 조강 콘크리트 배합을 개발한 후 현장 적용함으로써 실용화를 목표로 콘크리트의 조기강도발현기술을 개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초고층 건물의 시공을 위하여 유기질섬유와 폴리머분말을 혼합한 복합섬유공법을 활용하여 작업성과 내화성능을 만족시키는 고강도 내화 콘크리트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폴리믹스의 경우 폭렬방지 및 내부온도 상승 저감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나 기존의 섬유혼입공법과 유사한 수준의 내화성능을 확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고유동 자기충전 콘크리트와 일반 콘크리트의 균열특성을 비교 분석 하였다. 고유동 자기충전 콘크리트는 유동성 및 점성으로 인하여 콘크리트와 철근의 계면을 밀실하게 채워 부착력을 향상시킴으로 일반 콘크리트에 비해 균열에 대한 저항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
최근 폭탄테러 등에 의한 건축구조물의 피해 및 2차적인 인적 물적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 폭발실험을 통해 섬유보강 모르타르 패널에 의해 중공층을 형성한 콘크리트 부재의 내폭성능 향상효과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플라이애쉬가 다량 치환된 고유동 HVFAC 콘크리트의 실리카흄 사용량에 따른 콘크리트 특성에 대한 연구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결과로서, 실리카흄 사용량이
$10{\sim}20kg/m^3$ 일 때, 콘크리트의 유동성과 충전성능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실리카흄 사용량이 증가할 수록 탄산화계수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분산성을 향상시킨 국내 나일론 섬유를 혼화재(플라이애쉬, 고로슬래그미분말)을 이용하여 고강도 및 높은 유동성을 요구하는 자기충전 콘크리트(이하 SCC로 약함)에 적용하여 실용화 가능성을 확인하려 하였다. 특히 고로슬래그미분말을 혼합한 것이 더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
본 연구는 각 섬유 종류 변화에 따른 콘크리트 포장의 수축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각종 길이변화시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경우가 Plain에 비해 각종 수축저항성능이 향상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특히, 건조수축에서 우수한 성능을 나타냈고, 국내산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혼입한 경우 건조수축에서 Plain에 비해 약 75% 이상 수축량이 감소하였다.
-
본 연구는 동결융해 및 부착재료의 변화에 따른 FRP-콘크리트 부착 경계면의 부착강도 및 유효부착길이의 변화를 조사하였으며, 본 연구 결과를 이용, 개선된 유효부착길이 관계식을 제안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하이브리드 강섬유를 사용한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휨거동특성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 하였다. 하이브리드 섬유 사용 UHPC의 휨거동을 평가한 결과, 하이브리드 강섬유를 체적비로 2% 혼입 시 단독으로 강섬유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휨강도가 약 27%(최대 50%)이상 향상되었고, 1.5% 혼입 시 현행 UHPC의 휨강도를 상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고인성 복합재료에서 공기량은 인장변형성능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인자이다. 공기량에 따른 인장 특성의 변화를 실내실험을 통하여 검토하였다.
-
본 연구는 최근 국내 초고층 건물이나 초장대 교량에 쓰이는 고강도 콘크리트의 강도 발현을 임피던스 계측을 통해 발현된 강도를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무선 센서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 공기단축이 가능한 조강형 콘크리트의 양생이력 변동에 따른 조기강도 예측식을 이용하여, 실구조물에서의 거푸집 탈형시기 결정에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최근 보편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한중콘크리트 시공에서 이중버블시트를 이용한 한중콘크리트 단열보온양생공법의 효용성 검증의 일환으로 이중버블시트에 물이 침투하였을 경우에 콘크리트의 온도이력과 강도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시트내의 함수율 증가에 따른 영향은 거의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본 연구는 조립식 포장 공법에서 사용할 고성능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의 제작 가능성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세부요소기술을 포함하여 슬래브를 설계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매우 우수한 프리캐스트 슬래브의 제작이 가능하였다.
-
고속축하중측정시스템이 설치되는 구간의 포장은 소성변형이 없고 내구성이 우수해야 센서의 정확도와 측정의 반복성이 유지될 뿐만 아니라 센서가 파손되지 않고 장기간 운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차량에 대한 저항성과 내구성이 우수한 콘크리트 포장 공법 중 균열발생이 방지되고 파손과 유지보수가 최소화 될 수 있어 WIM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포스트텐션 콘크리트 포장 공법을 시공, 현장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
PSC I 거더교는 시공성, 경제성, 사용성, 안전성 등 모든 면에서 성능이 매우 우수하여 지금까지 가장 많이 건설되어 온 교량형식이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에는 표준거더의 형고가 높게 설계되어 장지간화에는 제한적이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가로보 정착구조를 적용하고 다단계 인장기술을 이용한 연속화 PSC거더의 기술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
포장콘크리트 시공특성을 고려한 합리적 품질검사 기준을 수립하기 위하여 KS Q 0001을 준용한 포장콘크리트 로트 크기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설계기준휨강도를 보증하기 위한 합리적인 품질검사기준으로는 1일
$300m^3$ 마다 1회 시험이 적정한 것을 알 수 있다. -
본 연구는 5000세대 이상 대규모 아파트 현장에서 사용되는 현장 타설 콘크리트의 효율적인 품질관리를 위해 동일 배합규격에 대하여 35개 레미콘 공장별 B/P TEST를 실시하여 굳지않은 특성 및 경화 특성을 검토한 것이다.
-
본 연구는 해안 매립지 지하 콘크리트 구조물의 염해에 대한 피해를 방지하고자 개발한 고내구성 콘크리트(Promoted High Durability Concrete, PHDC)의 기초 물성 및 현장적용성능에 대한 시험 결과를 기술하였으며, PHDC 기술을 토목 및 건축공사 적용시 콘크리트의 물성을 검토하여 회사의 내구성 콘크리트 기준을 제시하였다. 또한 내염해성에 대한 장기 모니터링에 관한 계획을 수립한 후 염분 침투 모니터링 현황을 논문에 기술 하였다.
-
이순신 대교 변단면 주탑에 압송관을 이용한 슬립폼 공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공사기간 중 점차 추워지는 날씨와 압송거리 증가에 따른 콘크리트 초기응결특성 변화에 대한 고려를 하지 않으면 안 된다. 또한 급격한 변단면 구간이나 가로보 연결부 등에서 의도적으로 속도를 지연시키기 위한 계획적인 초결시간 변화가 가능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OPC, S/C, OPC와 S/C 혼합 및 저발열 시멘트를 이용한 배합시험을 통해 시멘트의 종류, 혼화제, 대기온도에 따른 콘크리트 초기응력특성을 관찰하였다.
-
본 연구는 PSC 교량 구조물의 시공단계에 3차원 정보 모델을 적용하고 이를 활용함으로써 효율성을 검증하였다. 3차원 정보 모델을 정의하기 위하여 PSC 교량 구조물의 특성을 분석하여 정보 모델 체계를 정립하였다.
-
기존 프리텐션 방식은 긴장작업시에 필요한 작업대로 인해 공간적인 제약사항이 있었다. 그러나 작업대를 프리캐스트화 함으로써 공장이 아닌 현장에서 프리텐션 작업이 가능하게 되어 공정이 단순하고, 긴장력 손실이 적으며, 정착장치가 불필요한 프리텐션의 장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작대를 이용한 프리텐션 거더 제작공법의 내용과 적용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
In this paper, an integrated system is proposed which can evaluate both the early-age properties and durability performance of concrete structures. This integrated system starts with a hydration model which considers both Portland cement hydration and chemical reactions of supplementary cementing materials (SCM). Based on the degree of hydration of cement and mineral admixtures, the amount of reaction products, the early age heat evolution, chemically bound water, porosity, the early age short-term mechanical behaviors, shrinkage and early-age creep are evaluated as a function of curing age and curing conditions. Furthermore, the durability aspect, such as carbonation of blended concrete and chloride attack, are evaluated considering both the material properties and surrounding environments. The prediction results are verified through experimental results.
-
염소이온 침투에 의한 콘크리트의 내구성 저하를 고찰하기 위하여 빠른 시간 내에 염소이온의 침투성을 추정할 수 있는 실험 방법론 및 이론적 해석방법이 다수 제안되었으며 이를 고려한 콘크리트의 내구성 설계 시스템의 개발은 활발히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실제 환경에서 공용 중인 대다수의 콘크리트 구조물에는 환경, 하중 조건, 재료 및 시공 상의 이유로 균열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연구들이 비균열된 콘크리트를 대상으로 염소이온 확산계수의 추정 및 염소이온 프로파일의 예측 등에 집중되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의 미세균열이 염소이온 침투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장, 단기 침투 실험결과를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해석기법 개발의 전략을 수립하고자 한다.
-
The high-strength concrete(HSC) compared to normal concrete represents higher autogenous shrinkage due to lower water-to-binder ratio(W/B) and supplementaries, fly ash(FA) and granulated blast-furnace slag(BFS), etc. The potential of early age cracking which reduces durability of concrete structures is normally influenced by autogenous shrinkage and degree of restraint. Therefore, this paper studies on the evalu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autogenous shrinkage for HSC, ultra-high-strength concrete(UHSC) containing admixtures by experimental test and the test results are compared with existed prediction models.
-
In this study, a new modeling framework for predicting temperature and structural behaviors of structures under fire condition is proposed. The proposed modeling framework including fire simulation, heat transfer and structural analysis is applied to simulate fire tests performed on the steel-concrete composite structures in Cardington, UK, for model validations. Good predictions are shown for spatial-temporal temperatures and deflections of fire-damaged steel-concrete structures.
-
C-S-H(I)은 활성슬래그시멘트의 강도생성의 핵심물질이며 시멘트 수화물의 강도원천물질인 C-S-H의 구조모델로 사용되어 왔기 때문에, 나노 수준의 콘크리트 연구 분야에서는 세계적으로 아주 중요한 물질로 다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C-S-H(I)에서 발생되는 Si에 대한 Al 치환은 C-S-H(I)의 분자구조변경을 인위적으로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되어 왔고, C-S-H(I)의 기계적 물성치 (예, bulk modulus)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상되어 왔었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해 이러한 Al 치환이 실제로는 C-S-H(I)의 bulk modulus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함이 밝혀졌다.
-
Hydration products formed on the steel surface may impose the resistance to corrosion of steel when a concrete is exposed to a salt environment. In the present study, ordinary Portland cement (OPC), calcium aluminate cement (CAC) and calcium hydroxide are applied as coating materials on the steel surface to consider the hydrations of each binder at corrosion. Corrosion is measured in terms of the corrosion potential and galvanic current to detect the effects in mitigating the corrosion behavior.
-
Concretes with binary blends of Portland cement, silica fume, fly ash and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were produce to investigate their effects on compressive strength and chloride transport in rapid chloride permeability. Ten different mix of concrete with 0.45 water/binder were produced. Portland cement was replacedby: (i) 10%, 20%, 30% Fly ash (ii) 3%, 5%, 10% Silica Fume (iii) 20%, 40%, 60% GGBS.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with the pozzolans is higher compared to that of the Portland cement concrete. The test results indicate the fly ash, silica fume, and ground granulated furnace slag greatly reduce the rapid chloride permeability of concrete. It was concluded that pozzolans are more effective to reduce chloride permeability of concrete.
-
콘크리트 구조물의 고성능, 고내구성화를 위해 콘크리트 뿐만 아니라 보강 재료에 대한 성능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성능의 보강재료를 복합적으로 적용하여 고강도 콘크리트 구조물의 성능 극대화를 도모하는 하이브리드 보강기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
FRP RC에 대한 설계기준은 휨강도 분야를 제외한 많은 분야에서 연구자들 간의 의견 차이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파괴모드와 전단강도 예측에 있어서 정확도가 높고 일관된 편차를 보이는 신뢰도 높은 강도 산정식을 도출하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초고성능 시멘트 복합체의 섬유 방향성 분포특성의 변화가 인장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그리고 유동에 따른 섬유방향성 분포 변화와 이에 따른 인장거동의 변화를 파악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초고층 건축물의 시공단계부터 사용단계까지 안전성을 검토하고, 사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새로운 해석기법을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해석기법은 초고층 건축물의 점진적인 시공단계와 콘크리트 재료의 비탄성 변형을 고려할 수 있으며, 골조효과를 반영함으로써 구조물의 거동을 보다 명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3차원 해석기법이 도입되었다. 또한 개발된 해석기법을 바탕으로 해석 목적에 따라 실무에 적용이 가능한 실용적인 모델링 기법과 해석방법을 제안되었다. 개발된 해석기법의 검증을 위해, 현재 건설중인 초고층 건축물에서 측정한 계측자료와 개발된 해석기법으로 얻은 해석결과를 비교 검토하였으며, 해석결과가 계측자료를 잘 모사한다는 사실이 확인 되었다. 그러나, 추후 연구를 통해 보다 성공적인 검증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계측자료가 확보 되어야 하며, 이와 동시에 정확하고 합리적인 계측기법이 마련되어야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화재시 콘크리트 강도, 피복두께, 하중상태 및 화재시간이 부재 내부의 열적 분포 및 구조적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일반강도 및 고강도 콘크리트 보 및 기둥 시험체를 제작하여 각 변수에 따라 ISO 834 표준가열곡선으로 가열실험 및 가력실험을 실시하였으며, 고온에서 콘크리트의 재료 및 구조모델을 제안하고 이를 이용하여 해석을 실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