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4Ca_v2.3%24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29초

분위기 열처리가 Ca-doped Y $CrO_3$의 전기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tmospheric Annealing on the Densification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Ca-doped $CrO_3$)

  • 하우종;문종하;이병택;박현수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0권8호
    • /
    • pp.540-544
    • /
    • 2000
  • 열처리가 분위기 Y(sub)0.7Ca(sub)0.3CrO(sub)3<원문참조>의 치밀화 및 전기적 특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700$^{\circ}C$ 공기중에서 12시간 소결된 시편을 1400$^{\circ}C$ O$_2$, Air, N$_2$에서 시간의 변화에 따라 재열처리하였다. N$_2$분위기에서 열처리한 Y(sub)0.7Ca(sub)0.3CrO(sub)3<원문참조>의 밀도는 열처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다음과 같이 변화하였다. 4.5(0hr)\longrightarrow5.35(24hrs)\longrightarrow5.1g/$cm^3$(48hrs). 전기전도도는 열처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큰변화는 없었으며, 활성화 에너지는 0.16eV로 일정하였다. Air에서 재열처리한 경우 밀도는 거의 변하지 않았으나, 활성화 에너지는 시간에 따라 0.19에서 0.115eV까지 변화하였다. O$_2$분위기에서 열철한 Y(sub)0.7Ca(sub)0.3CrO(sub)3<원문참조>의 밀도는 24시간 열처리후 4.9(g/$cm^3$)로 증가후 일정하였다. 24시간 이상 N 분위기에서 열처리한 경우와는 다르게 기지상과 비슷한 조성의 제 2상의 석출되었으며 24시간동안 열처리한 시편까지는 전기 전도도에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48시간 동안 열처리된 시편의 전기 전도도는 감소하였고 활성화 에너지는 400K이하에서 0.167eV, 400K 이상에서 0.24eV이었다.

  • PDF

$CaSiO_3$- 석류석 상의 탄성 특성 (Elastic Properties of the $CaSiO_3$ - Garnet Phase)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01-208
    • /
    • 2004
  • 천연산 헤덴버자이트(Ca,Fe) $SiO_3$ 시료에 대해 일정한 압력 하에서 약 $1200^{\circ}C$ 정도로 가열한 후, x-선 회절실험을 시행하였더니 14~24 GPa 압력구간에서 등축정계에 속하는 석류석 상이 관찰 되었다. $CaSiO_3$-석류석 상에 대한 체적탄성률 = 155 GPa 및 $V_{\Phi}$ = 6.58 km/sec 및 기타 탄성특성을 유사구조의 계통과 $KV_{m}$ = 상수 및 $V_{\Phi}$$M^{$\frac{1}{2}$}$ = 상수 관계식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석류석 상은 천연산 헤덴버자이트에 상당량 포함되어 있는 Mn과 많은 미량원소에 의해 상당히 넓은 압력에 걸쳐 안정영역을 구축하며, 비가역적 반응을 보인다. Ca의 포용광물로 $CaSiO_3$-석류석 상은 맨틀전이대의 주요 광물상의 하나로 간주할 수 있다.

Lactic acid 회수를 위한 침전공정 최적화 (Optimization of Precipitation Process for the Recovery of Lactic Acid)

  • 최국화;장용근;김진현
    • KSBB Journal
    • /
    • 제26권1호
    • /
    • pp.13-1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Ca(LA)_2$의 침전조건을 최적화하고 침전된 $Ca(LA)_2$ 용액에 황산을 처리하여 고순도, 고수율의 lactic acid를 회수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특히 $Ca(LA)_2$의 용해도를 낮추기 위하여 여러 종류의 유기용매 첨가에 따른 영향을 평가하였다. 모델용액의 경우 침전을 위한 최적의 석회종류, 석회량, 교반속도, 시간, 온도, 유기용매 첨가량은 각각 CaO, 0.0175 g/mL, 220 rpm, 24 h, $5^{\circ}C$, ethanol 25% (v/v)이었으며 최적 조건 하에서 가장 높은 순도 (98%)와 수율(69%)을 얻을 수 있었다. 발효배양액 (lactic acid 순도: 69%, pH: 7.3)의 경우, 모델용액으로부터 얻은 최적의 조건 하에서 $Ca(LA)_2$ 회수 과정에서 64%, 회수된 $Ca(LA)_2$에 황산을 첨가 ($Ca(LA)_2/H_2SO_4$ molar ratio = 1:1)하여 lactic acid를 회수하는 과정에서 86%의 회수율을 각각 얻어 발효배양액으로부터 총괄 수율 55%로 lactic acid (순도: 88.6%)를 얻을 수 있었다.

저온소결 Pb0.76Ca0.24[(Mn1/3Sb2/3)0.04Ti0.96]O3 세라믹스의 분극전계에 따른 압전특성 (Piezoelectric Characteristics of Low temperature Sintering Pb0.76Ca0.24[(Mn1/3Sb2/3)0.04Ti0.96]O3 Ceramics With the Variation of Poling Field)

  • 정광현;유경진;류주현;조봉희;윤현상;백동수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228-232
    • /
    • 2006
  • In this paper, in order to develop low temperature sintering $PbTiO_3$-system piezoelectric ceramics for thickness-vibration-mode piezoelectric transformer, $Pb_{0.76}Ca_{0.24}[(Mn_{1/3}Sb_{2/3})_{0.04}Ti_{0.96}]O_3$ ceramics using $0.25\;wt\%\;CaCO_3$ and $0.2\;wt\%\;Li_{2}CO_3$ as sintering aids wer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poling field. The specimens could be sintered at $930\;^{\circ}C$. The piezoelectric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poling field. The maximum properties showed at the field of 6.5 kV/mm, which had kt of 0.49, Qmt of 1816, and $d_{33}$ of 81.4 pC/N.

저온소결 $Pb_{0.76}Ca_{0.24}[(Mn_{1/3}Sb_{2/3})_{0.04}Ti_{0.96}]O_3$ 세라믹스의 분극전계에 따른 압전특성 (Piezoelectric Characteristics of Low temperature sintering $Pb_{0.76}Ca_{0.24}[(Mn_{1/3}Sb_{2/3})_{0.04}Ti_{0.96}]O_3$ Ceramics with the variation of Poling field)

  • 정광현;유경진;이상호;이창배;류주현;정영호;이덕출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Vol.18
    • /
    • pp.176-177
    • /
    • 2005
  • In this paper, in order to develop low temperature sintering $PbTiO_3$-system piezoelectric ceramics for thickness-vibration-mode piezoelectric transformer, $Pb_{0.76}Ca_{0.24}[(Mn_{1/3}Sb_{2/3})_{0.04}Ti_{0.96}]O_3$ ceramics using $0.25wt%CaCO_3$ and 0.2wt%$Li_2CO_3$ as sintering aids wer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poling field. Specimens could be sintered at the sintering temperature of $930^{\circ}C$. The piezoelectric properties in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poling field and showed the maximum values (kt=0.49, Qmt=1816, and $d_{33}$=81.4pC/N) under 6.5kV/mm.

  • PDF

Development of Fluidigm SNP Type Genotyping Assays for Marker-assisted Breeding of Chili Pepper (Capsicum annuum L.)

  • Kim, Haein;Yoon, Jae Bok;Lee, Jundae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5권4호
    • /
    • pp.465-479
    • /
    • 2017
  • Chili pepper (Capsicum annuum L.) is an economically important horticultural crop in Korea; however, various diseases, including Phytophthora root rot, anthracnose, powdery mildew, Cucumber mosaic virus (CMV), Pepper mild mottle virus (PMMoV), and Pepper mottle virus (PepMoV), severely affect their productivity and quality. Therefore, pepper varieties with resistance to multiple diseases are highly desired. In this study, we developed 20 SNP type assays for three pepper populations using Fluidigm nanofluidic dynamic arrays. A total of 4,608 data points can be produced with a 192.24 dynamic array consisting of 192 samples and 24 SNP markers. The assays were converted from previously developed sequence-tagged-site (STS) markers and included markers for resistance to Phytophthora root rot (M3-2 and M3-3), anthracnose (CcR9, CA09g12180, CA09g19170, CA12g17210, and CA12g19240), powdery mildew (Ltr4.1-40344, Ltr4.2-56301, and Ltr4.2-585119), bacterial spot (Bs2), CMV (Cmr1-2), PMMoV (L4), and PepMoV (pvr1 and pvr2-123457), as well as for capsaicinoids content (qcap3.1-40134, qcap6.1-299931, qcap6.1-589160, qdhc2.1-1335057, and qdhc2.2-43829). In addition, 11 assays were validated through a comparison with the corresponding data of the STS markers. Furthermore, we successfully applied the assays to commercial $F_1$ cultivars and to our breeding lines. These 20 SNP type assays will be very useful for developing new superior pepper varieties with resistance to multiple diseases and a higher content of capsaicinoids for increased pungency.

Mono-Polar Cell 용융염전해(熔融鹽電解)에 의한 마그네슘 제조 (Preparation of Magnesium by Fused Salt Electrolysis Using Mono-Polar Cell)

  • 박형규;김철주;윤호성;김성돈;엄형춘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8권3호
    • /
    • pp.62-68
    • /
    • 2009
  • 마그네슘 용융염 전해시 적정 조업조건을 확립하고자 자체 설계 제작한 150A급 mono-polar형 전해조를 사용하여 24시간 연속 전해 조업을 수행하였다. $MgCl_2$ 25%, NaCl 55%, $CaCl_2$ 19%, $CaF_2$ 1%의 전해욕 조성으로 전해온도 $720{\sim}740^{\circ}C$, 전해전압 7V, 음극 전류 밀도 $0.7-0.75A/cm^2$, 전극 간격 6cm의 운전조건에서 24시간 연속 조업을 수행하였으며, 전해 전압 및 전류 변화, 전해 욕 조성 변화, 전류 효율 등을 조사하였다. 시험결과 제작한 전해셀의 조업성이 양호하였으며, 순도 99% 이상의 금속 마그네슘을 회수하였고 전류효율 89%를 달성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마그네슘 용융염 전해장치 제작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축적할 수 있었다.

화학침전을 이용한 발효액의 젖산 회수 및 유기물 특성분석 (Recovery and Characterization of Lactic Acid from Fermentation Broth Using Chemical Precipitation)

  • 이원태
    • 유기물자원화
    • /
    • 제26권1호
    • /
    • pp.47-53
    • /
    • 2018
  • 유기성 폐기물 소화공정의 발효액에서 젖산(lactic acid)을 회수하기 위해 화학침전법을 평가하였다. 젖산(lactic acid)의 회수율을 높이기 위하여 화학침전제 종류와 교반속도 및 침전시간 등 반응조건이 회수율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화학침전제의 종류에 관계없이 주입양이 증가할수록 젖산(lactic acid) 회수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CaO가 $Ca(OH)_2$$CaCO_3$에 비하여 높은 회수율을 나타냈다. CaO를 사용한 반응조건 최적화 실험결과, 교반속도 180 rpm, 침전시간 24 h, ethanol 주입량 25%(v/v)에서 회수율이 4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발효액 내 젖산(lactic acid)의 농도만 고려하여 주입할 침전제의 양을 계산하였기 때문에 실제 적용을 위해서는 발효액의 유기산 종류 및 농도를 고려하여 침전제의 투입량을 결정해야할 것이다. 유기물의 정성적 분석(FEEM, SEC) 결과로 볼 때 침전공정은 유기산의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접촉쌍성 V523 Cas의 측광학적 관측과 분석 (PHOTOMETRIC OBSERVATIONS OF THE CONTACT BINARY SYSTEM V523 CASSIOPEIAE)

  • 정장해;김천휘;이용삼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23권3호
    • /
    • pp.177-188
    • /
    • 2006
  • 소백산 천문대의 61cm 망원경과 2K CCD 카메라로 2003년 1월 6일부터 24일까지 5일간 WUMa형 접촉쌍성 V523 Cas를 측광판측하여 총 920개의 관측점(${\Delta}B$: 230점, ${\Delta}V$. 230점, ${\Delta}R$: 230점, ${\Delta}I$: 230점)을 얻었다. 우리의 관측점으로부터 9개의 새로운 극심시각(주극심: 5개, 부극심: 4개)을 산출하였다. 2004년도 Wilson-Devinney(WD) 쌍성 모형으로 우리가 얻은 새로운 BVRI 광도곡선과 Rucinski et al.(2003)의 시선속도 곡선을 결합하여 분석함으로서 V523 Cas의 제 물리요소를 새롭게 산출하였다. 광도곡선에 나타난 작은 비대칭을 온도가 높은 주성의 광구 표면에 차거운 흑점과 반성에 뜨거운 흑점을 가정하여 설명하였다.

제강 공정중 산화바나듐활용 연구 (A study for use a vanadium oxide in steel manufacture)

  • 최영기
    • 환경위생공학
    • /
    • 제24권3호
    • /
    • pp.55-61
    • /
    • 2009
  • Fe-V is used as raw material of vanadium in the steel making proc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Fe-V is to replace the $VO_{4}$. So the distribution behavior of vanadium in $VO_{4}$ of the steel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ratio of the vanadium where potential of the free oxygen ion will increase in slag decreased. When CaO and MgO content which is a basic oxide from CaO-$SiO_2$-FetO-MgOsatd. slag increases, S distribution ratio increases. CaO-$SiO_2$-FetO-MgOsatd. slag better than CaO-$SiO_2$-$Al_2O_3$-MgO slag is the recovery of vanadum and desulfur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