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4TXA_2%24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5초

Anti-thrombic Properties of the Oriental Herbal Medicine, Daejowhan

  • Chang Gyu-Tae;Kim Jang-Hyun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1391-1398
    • /
    • 2005
  • The anti-thrombic properties of the oriental herbal medicine Daejowhan(DJW, 大造丸) which consists of 11 kinds of herbs (indicated as ratio) of Rehmanniae Radix 24%, Hominis Placenta 5%, Testudinis Carapax 9%, Eucommiae Cortex 9%, Asparagi Radix 9%, Phellodendri Cortex 9%, Achyranthis Radix 7%, Liriopis Tuber 7%, Angelicae Sinensis Radix 7%, Ginseng Radix 5% and Schizandrae Fructus 3% were investigated. The water extracts from DJW inhibited Platelet-activating factor(PAF) induced platelet aggregation. DJW was extracted with methanol and further fractionated by ethylacetate. A 70% methanol extract showed a strong inhibition against PAF-induced aggregation in vitro and in vivo assays. The ethylacetate soluble fraction was shown to have inhibitory effect on PAF-induced platelet aggregation in vitro assay. The ethylacetate soluble fraction specially protected against the lethality of PAF, while verapamil did not afford any protec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water extracts and alcoholic-fractions inhibit the action of PAF in vivo by an antagonistic effect on PAF, so that it may be useful in treating disorders caused by PAF, such as acute allergy, inflammation, asthma, gastrointestinal ulceration, toxic shock and so forth. DJW was investigated regarding its assumed anti-thrombic action on human platelets which was deduced from its ability to suppress Arachidonic acid(AA)-induced aggregation, exocytosis of ATP, and inhibition of Cyclooxygenase(COX) and Thromboxane synthase(TXS) activity. The latter two effects were estimated from the generation of Prostaglandin $E_2(PGE_2)$ and Thromboxane $A_2(TXA_2)$ respectively. Exogenously applied AA ($100{\mu}mol/{\ell}$) provoked a $89\%$ aggregation of platelets, the release of 14 pmol ATP, and the formation of either 225 pg $TXA_2$ or 45 pg $PGE_2$, each parameter being related to 106 platelets. An application of DJW 5 min before AA dose-dependently diminished aggregation, ATP-release and the synthesis of $TXA_2$ and $PGE_2$ with $IC_{50}$ values of 74, 108, 65, $72{\mu}g/m{\ell}$, respectively. The similarity of the $IC_{50}$ values suggest an inhibition of COX by DJW as primary target, thus suppressing the generation of $TXA_2$ which induces aggregation of platelets and exocytosis of ATP by its binding on $TXA_2$-receptors.

Antiplatelet and Antithrombotic Effects of the Extract of Lindera obtusiloba Leaves

  • Kim, Jun Ho;Lee, Jaemin;Kang, Soouk;Moon, Hongsik;Chung, Kyung Ho;Kim, Kyoung Rak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4권6호
    • /
    • pp.659-664
    • /
    • 2016
  • Lindera obtusiloba has been used in traditional herbal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blood stasis and inflammation. The leaves of Lindera obtusiloba have been reported to exhibit various physiological activities. However, there is little information available on their antiplatelet and antithrombotic activities. Thus, the present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Lindera obtusiloba leaf extract (LLE) on platelet activities, coagulation and thromboembolism. In a platelet aggregation study, LLE significantly inhibited various agonist-induced platelet aggregations in vitro and ex vivo. Furthermore, LLE significantly inhibited collagen-induced thromboxane A2 (TXA2) production in rat platelets. In addition, oral administration of LLE was protective in a mouse model of pulmonary thromboembolism induced by intravenous injection of a mixture of collagen and epinephrine. Interestingly, LLE did not significantly alter prothrombin time (PT) and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aPTT).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antithrombotic effects of LLE might be due to its antiplatelet activities rather than anticoagulation.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LLE may be a candidate preventive and therapeutic agent in cardiovascular diseases associated with platelet hyperactivity.

The In Vitro and In Vivo Effect of Lipoxygenase Pathway Inhibitors Nordihydroguaiaretic Acid and Its Derivative Tetra-O-methyl Nordihydroguaiaretic Acid against Brucella abortus 544

  • Reyes, Alisha Wehdnesday Bernardo;Kim, Heejin;Huy, Tran Xuan Ngoc;Nguyen, Trang Thi;Min, Wongi;Lee, Dongho;Hur, Jin;Lee, John Hwa;Kim, Su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2권9호
    • /
    • pp.1126-1133
    • /
    • 2022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ntribution of lipoxygenase (LOX) inhibitors, nordihydroguaiaretic acid (NDGA), tetra-O-methyl nordihydroguaiaretic acid (M4N) and zileuton (ZIL), and thromboxane A2 (TXA2) inhibitor 4,5-diphenylimidazole (DPI) in the proliferation of Brucella abortus infection. None of the compounds affected the uptake of Brucella into the macrophages. We determined the effect of neutralizing leukotriene B4 (LTB4) receptor and showed that the uptake of the bacteria was inhibited at 30 min post-infection. M4N treatment attenuated intracellular survival of Brucella at 2 h post-incubation but it was not observed in the succeeding time points. DPI treatment showed reduced survival of Brucella at 24 h post-incubation while blocking LTB4 receptor was observed to have a lower intracellular growth at 48 h post-incubation suggesting different action of the inhibitors in the course of the survival of Brucella within the cells. Reduced proliferation of the bacteria in the spleens of mice was observed in animals treated with ZIL or DPI. Increased serum cytokine level of TNF-α and MCP-1 was observed in mice treated with M4N or ZIL while a lower IFN-γ level in ZIL-treated mice and a higher IL-12 serum level in DPI-treated mice were observed at 7 d post-infection. At 14 d post-infection, ZIL-treated mice displayed reduced serum level of IL-12 and IL-10. Overall, inhibition of 5-LOX or TXA2 or a combination therapy promises a potential alternative therapy against B. abortus infection. Furthermore, strong ligands for LTB4 receptor could also be a good candidate for the control of Brucella infection.

식도 및 기도이물의 임상통계학적 고찰 (A Statistical Analysis of the Fereign Bodies in the Food and air Passages)

  • 정해영;권평중;박성준;민양기;김중환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78년도 제12차 학술대회연제 순서 및 초록
    • /
    • pp.4.1-4
    • /
    • 1978
  • 식도 및 기도이물은 이비인후과 영역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질환이며 특히 기도이물은 단시간내에 치명적일 경우가 있으므로 이비인후과 영역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다. 저자들은 1968년 6월부터 1978년 4월까지 최근 9년10개월간 본원에 내원하였던 95례의 식도 및 기도이들 환자들을 임상통계학적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1. 식도 및 기도이물관자는 총 95례로서 식도이물이 89례(93.7%), 기도이물이 6례(6.3%)였으며 그 비는 14.8 : 1이었다. 2. 성별비에서는 64례(67.4%)가 남자였고, 31례(32.6%)가 여자로서 그 비는 2. 1 : 1이었다 3. 식도 및 기도이물을 종류별로 보면 식도이물에서는 주화. 바둑돌, 돌의 순서로 많았고, 기도에서는 땅콩 및 콩종류가 가장 많았다. 4. 연령별로는 5세이하가 64례(67.4%)였으며 특히 주화는 5세이하가 52례(92.9%)였다. 육류를 제외한 거의 모든 이물은 10세이하에서 발생하였다. 5. 년도별 및 월별분포에서는 뚜렷한 경향을 볼 수는 없었으나 최근 2년간 그 빈도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6. 식도 및 기도이물의 발생부위를 보면 식도이물은 제 1협착부에서 70례(78.7%)로 가장 많았으며, 육류는 계 2 협착부에 가장 많았으며 대부분에서 상흔협착을 동반한 경우였었다. 기도이물의 부위별 빈도는 기관지가 가장 많았으며 3 : 2로 우측에 많았다. 7. 이물의 체류기간은 1일 이내인 경우가 50례(52.6%)로 가장 많았고 한달이상 경과한 후 내원한 경우도 3례가 있었다. 8. 식도이물은 국소마취하에 83례(93.3%)는 식도경을 통하여 제거하였으나 6례(6.7%)는 제거하지 못하였다. 기도이물 6례는 모두 기관지경을 통하여 제거하였으며 이중 5세이하의 5례는 기관절개공을 통하여 제거하였다.였다. 주화의 경우 총 61례중 8례(13.1%)는 검사도중에 위속으로 내려갔다. 기도이물에서 후두이물 2례는 국소마취하에 후두경으로, 기관이물 5례중 2례(40%)는 국소마취하에 기관절개술과 함께 기관지경술로, 3례(60%)는 전신마취하에 기관지경술로 적출하였으며 기관지이물 1례는 흉부외과에서 전신마취하에 개흉술로 적출하였다.과를 매년 보고하는 한편 15년간 단속 followup할 예정이다.to-$PGF_{1{\alpha}}$생성증가 효과는 prostacyclin 합성효소억제제에 의해 길항하였다. 이상의 결과와 같이 인삼saponin 성분들은 arachidonic acid로부터 cyclooxygenase를 통해 일단 생성된 endoperoxide에서 각각의 prostaglandin을 생성하는 효소, 특히 G-$Rb_2$$TXA_2$ synthetase에 강력한 억제제로, G-Re는 prostacyclin 생합성에 촉진데로 심혈관계 균형에 기여하리라 생각된다. 발생하는 free radical을 소거할 수 있는지를 조사한 결과, free radical을 50% 소거시키는 농도값이 6 $\mu\textrm{g}$/$m\ell$로 표준물질인 비타민 C (19 $\mu\textrm{g}$/$m\ell$)나 butylated hydroxyl toluene (18.5 $\mu\textrm{g}$/$m\ell$)보다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mast cell내에서 활성화되며 hyaluronic acid를 분해하는 hyaluronidase에 대한 저해를 조사한 결과, $IC_{50}$/ 값이 210 $\mu\textr

  • PDF

척수신경손상 환자의 보행훈련 전.후의 능동적 근육제어의 변화 (Voluntary Motor Control Change after Gait Training in Patients with Spinal Cord Injury)

  • 임현균;이동철;이영신;셔우드아더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33-140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보행훈련 전후에 실시된 보행속도 측정 결과와 누운 자세에서 능동적 발목 배굴시의 근전도 활동 측정 결과를 비교하였다. 9명의 불완전 척수손상 환자들이 3개월 동안 하루 20분 주 5회로 이루어진 체중부하 감소장치 및 트레드밀을 이용한 보행훈련 (STAT supper-ted treadmill ambulation training)에 참가하였다. 보행속도 실험과 능동운동 실험은 보행훈련 시작 및 종료된 시점의 동일한 날, 혹은 같은 주에 실시되었다. 환자의 능동운동시의 표면근전도 값을 측정하였고. 동일한 운동시 열명의 건강한 피실험자들로부터 측정된 근전도값을 기준값으로 비교하는데 사용하였다 하지 열곳의 근육에서 측정된 표면근전도 값은 반응벡터 (response vector)라고 명명되었고 크기 및 근육 제어 분포 패턴을 관찰하는데 사용되었다. 척수손상 환자들의 보행속도는 0.47$\pm$0.35 m/s에서 0.68$\pm$0.52 m/s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근전도 해석결과에서는 우측 발목관절 배굴시에 근전도의 증가를 보인 6인의 환자들의 값은 109.7$\pm$148.5 $\mu\textrm{V}$에서 145.9 $\pm$ 180.7 $\mu\textrm{V}$ 로 증가하였으나 유의한 수준은 아니었다 (p〈0.055). 또한 좌측 발목의 배굴에서 측정된 근전도에서는 단 2명만이 상관계수와 근전도 증가를 보였다 보행훈련 후의 환자들의 근육 활동의 변화는 개개인의 상태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변하였고. 보행훈련 후의 상태는 보행훈련 전의 상태에 매우 의존적임을 알 수 있었다 정량적인 해석을 위해 새로 도입된 반응벡터의 사용은 척수손상 환자들의 보행훈련 전후에 환자의 상태를 평가. 예측, 혹은 훈련의 방향 설정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ne(chloroform)와 toluene 등이 가장 자주 검출되는 성분이었다. 대부분의 aromatic hydrocarbons, alkyl benzenes및 다른 유기용매 성분은 검출농도 이하이다.한 대사적인 문제와 생활 양식에 의한 영향이 클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므로 BMI가 높은 노인들에게 부족되고 있는 영양소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특히 비타민 A, E B 복합체는 노인성 질병과 관련하여 그 기능이 규명되어야 할 영양소이다. 이는 항산화효소의 증가에 의한 지질 과산화물 생성삼소와 PGE$_2$및 TXA$_2$등의 유의적인 감소가 유선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인자로 작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또한 지방산 투여 에 따른 과산화물 생성과 항산화 시스템이 유선암 세포에서는 상호기전적으로 작용하지 않았으나 이는 농도와 배양시간에 따른 CLA의 항암효과가 in vivo 실험에서 재검증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장시간의 세포배양 실험시 PGE$_2$는 반감기가 짧고 다른 대사물로 쉽게 전환되는 불안전한 물질이므로 새로운 측정방법의 개발이 필요하겠다. 더욱이 CLA에 의한 항암효과가 정확히 어떤 기전에 의한 것인지 보다 깊이 있는 연구가 필요하지만 본 연구에서 얻은 에이코사노이드 대사의 변화 등은 유선암 예방 연구에 기초적인 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들어가 면서 점차 감소하여 대조군과 유사한 양상을 나타내었으나, 전체적으로 대조군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반면에 5, 10 $\mu\textrm{g}$ L$^{-1}$의 농도에 노출된 세포는 초기에 매우 낮은 탄소동화율을 보였으며, 5 $\mu\textrm{g}$ L$^{-1}$의 농도에 노출시킨 세포의 경우 12일째부터 단위세포 당 탄소동화율이 매우 크게 증가하였다. 본 연구의

마취된 당뇨 흰쥐의 신혈류량 감소에 관여하는 기전 : 내인성 쓰롬복산계의 무관성 (Blockade of Thromboxane Influences Does Not Affect Renal Blood Flow Deficit in Anesthetized Diabetic Rats)

  • 하헌주;얼웨인던함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21-232
    • /
    • 1988
  • 본 연구는 스트렙토조토신 투여에의해 유도된 인슐린 의존적 당뇨 흰쥐에서 관찰되는 신혈류량의 감소가 내인성 혈관 수축계의 하나인 쓰롬복산의 영향이 증가된 때문인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펜토바비탈을 이용하여 마취를 유도한 후 주어진 시간동안 아무런 약리학적 자극이 없는 상태에서 신동맥의 헐류량 (ml $min^{-1}$ $gKw^{-1})$, 혈압 (mm Hg) 및 그때의 신동맥 저항 (혈압/신동맥의 혈류량)을 관찰하였다. 그 각각에 대응하는 값은 당뇨쥐에서는 $5.9{\pm}0.3$(P<0.01, 대조군과 비교), $115{\pm}3$$20.3{\pm}1.0$(P<0.01, 대조군과 비교)이었고, 연령 대조군에서는 각각 $8.4{\pm}0.4$, $123{\pm}3$$15.1{\pm}0.8$이었다. 스트렙토조토신에 의한 고혈당 유도를 방지한다고 알려진 3-O-메칠 글루코즈로 진처리한 후에 스트렙토조토신을 투여한 흰쥐에서 관찰되는 혈압 및 신동맥의 혈류량은 연령 대조군의 값과 동일하였다. 신동맥이 확장될 수 있음이 확인된 상태에서, 쓰롬복산의 합성을 저해할 수 있는 용량의 OKY-1581(1 mg/kg, i.v.에 뒤이은 0.4mg/kg min 지속적 투여)는 대조군 (n=4)뿐 아니라 실험군(n=4) 흰쥐의 혈압, 신혈류량 및 신동맥의 저항을 변화시키지 많았다. 마찬가지로 쓰롬복산/프로스타글란딘 엔도펄옥사이드 효현제인 U46619에 의한 신동맥 수축을 저해할 수 있는 용량의 쓰롬복산 수용체에대한 길항제인 SQ29548(100 ng/m1 신혈류량)을 신동맥으로 투여했을 때에도, 관찰되는 신혈류역학에 아무런 변화가 없었다(n=8 각 군). OKY-1581 투여후에 사이클로옥시게나아제의 활성을 저해하는 약물인 인도메타신(2 mg/kg)을투여했을 때에도 관찰되는 신동맥의 저항은 대조군에서 뿐만 아니라 실험군인 당뇨쥐에서도 변화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스트렙토조토신 투여후 관찰되는 신동맥의 저항 증가는 약물의 신장에대한 직접적인 독성이 아닌, 유도된 당뇨에 기인함을 제시하였고, 이러한 신동맥 저항 증가는 고조된 내인성 혈관 수축계의 하나인 쓰롬복산의 영향이 아님을 시사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