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군집구조

Search Result 1,672,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Community structure of Macrobenthic Fauna under Marine Fish Culture Cages near Tong-yong, Southern Coast of Korea (통영 인근 가두리 양식장 지역의 저서동물군집구조)

  • PARK Heung-Sik;CHOI Jin-Woo;LEE Hyung-Gon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33 no.1
    • /
    • pp.1-8
    • /
    • 2000
  • Benthic environments and composition of macrobenthic fauna around the marine fish culture cages were studied to clarify the effect of fish farming near Tongyong from August, 1995 to february, 1996. Sediment grain size and bottom dissolved oxygen under the fish cages were similar to that of a control site, but organic content was higher under the cages. Fewer species were found under the fish cages than under the control site, but conspicuously higher density was obtained under cages. Capitella capitals, Nebalia bipes were dominant infauna, and Asterina pertinifera and Astelias amurensis were dominant epifauna under the fish cage whereas Lumbrineris longifolia and Anphioplus sp. dominated in the control site. Diversity index showed seasonal variation under the fish cages, but showed little variation at the control site. The benthic fauna under the fish cages showed different community structures from the control site. As results, the fish culture cages affected the benthic environment and the community structure of benthic fauna by input of the organic content and biological effects such as dead shells.

  • PDF

Plant Community Structure by the Slope and Altitude of Tongdaesan Area in Odaesan National Park (오대산 국립공원 동대산지역의 사면. 해발고에 따른 식물군집구조)

  • Lee, Kyong-Jae;Cho, Woo;Hwang, Seo-Hyun;Yim, Kyong-Bi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9 no.2
    • /
    • pp.133-146
    • /
    • 199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se plant community structure by the altityed and slope in Tongdaesan area, Odaesan National Park. Sixty-three plots(each plots size was 100m$^{2}$) were set up and PWINSPAN and DCA method were used for vegetational structure analysis. Division of community was cleared altitude than part of slope With increasing elevation the importance values of Quercus mongolica, Tilia amurensis increased, while those of Fraxinus mandshurica, Betula schmidtii, Cornus controversa decreased. Survey plots were divided into 6 groups by the TWINSPAN and DCA method. The divided groups are T. amurensis community(I), Q. mongolica community(II) of upper part of slope of east and west, Q. mongolica-T. amurensis community(III) of middle part of slope, Q. mongolica-F. mandshurica community(IV), Pinus densiflora-B. schmidtii-Carpinus laxiflora community(V) of low elevation of east, F. mandshurica-C. controversa community(VI)of low elevation of west. Also, vegetational change were showed slope of east and west in Tongdaesan except top area for the last twenty yeras.

  • PDF

광양만의 환경오염과 해조군집 변화 연구

  • 김정하;박성우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Conference
    • /
    • 2002.11a
    • /
    • pp.72-80
    • /
    • 2002
  • 광양만 지역 수직군집구조는 최상부는 해조류가 거의 분포하지 않으며, 상층 하부부터 Ulva spp.가 우점하고 있으며, 저서동물은 최상부지역에는 따개비류가 우점하며, 하부로 갈수록 Oysters가 우점하였다. 그리고 층별군집구조는 상층부는 Biofilm이, 중ㆍ하층부는 Ulva spp.가 우점하며, 하층부로 갈수록 Turf algae의 밀도가 높다. 따개비류는 상층부와 중층부에서 우점하고 있으며, 중하층부로 갈수록 Oysters가 우점하며 총알고동은 상층부에서 중하부에서는 삿갓조개류의 밀도가 높았다. 남해 서상지역의 수직군집구조는 8월 조사결과 상부는 Brown crustose algae가 중부부터는 지층이, Ulva spp. 등이 하부에서는 유절산호조류, 개서실 등이 우점하였으며, 10월 조사에서 상부에는 해조류가 거의 발견되지 않았으며, 중부이하에서 지층이, 개서실, 유절산호조류 등이 하부에는 가시명불 등이 우점하였다. 저서동물은 말미잘, 삿갓조개류, 고둥류 등이 높이와 관계없이 균일한 밀도를 보였다. 그리고 층별군집구조는 상층부는 지층이, 무절산호조류 등이, 중층부는 개서실, ULva spp. 유절산호조류, 지층이 등이, 하층부는 개서실, 유절산호조류, 가실덤불 등이 우점하였다. 저서동물은 전층에서 따개비류, 말미잘 등이 우점하였다. 상주지역의 수직군집구조는 상부는 해조류가 거의 대부분 분포하지 않으며, 중부는 Biofilm, 우뭇가사리가, 하부에서는 지충이, 패, Brown crustose algae, 무절산호조류, 톳 등이 밀도가 높게 나타났다. 저서동물은 상부에는 총알고둥과 따개비류, 중ㆍ하부는 삿갓조개류, 말미잘이 우점하였다. 그리고 수평군집구조는 Biofilm이 상층부의 일부 지역에서 조사되었으며, 중층부는 Biofilm, Brown crustose algae, 무절산호조류, 패, 지층이 등이 우점하며, 하부는 지충이, 톳, 유절산호조류, 무절산호조류, Brown crustose algae 등이 우점하였다. 저서동물은 상층부는 총알고둥이 중층부는 삿갓조개류, 말미잘, 군부, 해면류가 하층부는 해면류, 삿갓조개류, 말미잘 등이 우점하였다.

  • PDF

Vegetation Structure and Management Proposal of Hwangsong Park in Kyongju (경주 황성공원의 식생구조 및 관리방안)

  • 이영경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4 no.1
    • /
    • pp.46-56
    • /
    • 2000
  • Vegetation structure of $Hwangs\v{o}ng$ Park in $Ky\v{o}ugju$ was investigated to study ecological value and to suggest a desirable management proposal. To do this, twenty plots were set up and surveyed. The $Hwangs\v{o}ng$ Park forest was classified into five plant communities by the DCA technique, which were two types of Pinus densiflora communities, Quercus spp.-P. densiflora, Robinia pseudoacacia and Q. mongolica community. In the diversity analysis, 29 woody species were observed, but species composition was simple. No. of average species is $5.4\pm2.9$ per a plot($100m^2$), and Pinus densiflora is a dominant species in DBH $27\sim47cm$ class. From the results of tree ring and growth analysis, it was found out that pinus densiflora community of $Hwangs\v{o}ng$ Park has a historical and ecological value, but recently the growth rate was decreasing. The management proposal was suggested upon to the above results.

  • PDF

The Structure of Plant Community of the Woonsooam Valley in Jogyesan (Mt.), Suncheon (순천시 조계산 운수암 계곡부 식물군집구조)

  • Han, Bong-Ho;Choi, Jin-Woo;Noh, Tai-Hwan;Hur, Ji-Yeo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8 no.1
    • /
    • pp.45-54
    • /
    • 201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cological succession sere and conservative value,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in Woonsooam Valley, in Jogyesan (Mt.) (altitude 884m), Suncheon City, Korea by analysing the structure of the plant community. Fifteen plots (size is $20m{\times}20m$) were set up at an altitude of range from 255m to 495m. As a result of analysis of DCA which is one of the ordination technique, the plant communities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which are community I (Pinus densiflora community), community II (Quercus variabilis-Quercus serrata community), community III (Q. serrata-Q. variabilis community), and community IV (Carpinus tschonoskii-Q. serrata community) and community v(Deciduous broad-leaved forest community). We found out that the vegetation of the study site located in the South Temperate Climate Zone. The study site is found out that Q. serrata community 34.4%, part of slope in valley is the distribution that dominant species is Q. serrata-Q. variabilis community 32.1%. And in valley showed Carpinus tschonoskii community 5.5%. And Sasa borealis was dominant species in the shrub layer. We couldn't supposed that the ecological succession sere of the study site, however we should do a long-term monitoring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the ecological succession each plant community, According to the index of Shannon's diversity (unit: $400m^2$), community III was ranged from 1.0102 to 1.1013, community V was 0.9945, community II was ranged from 0.7913 to 1.1503, community IV was ranged from 0.8081 to 1.0749 and community I was 0.9273.

Studies on the Structure of Abies koreana Forest Community at Subalpine Zone Area (지리산국립공원 아고산지대의 구상나무림 산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 김갑태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4 no.1
    • /
    • pp.28-37
    • /
    • 2000
  • 지리산국립공원의 아고산지대를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는 한국특산종 구상나무의 생육현화과 구상나무림의 군집구조를 파악하여 앞으로의 구사나무림 관리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구상나무가 생육하고 있는 지역에 42개의 방형구(20m$\times$20m)를 설치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분석한 결과 조사대상지는 세 개의 군집인 신갈나무-당단풍군집 구상나무-신갈나무군집 구상나무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수종간의 상관관계에서는 물들메나무와 함박꽃나무 함박꽃나무와 층층나무 구상나무와 잣나무 거제수나무와 노각나무 물들메나무와 말발도리 거제수나무와 물들메나무 거제수나무와 물갬나무 거제수나무와 함박꽃나무 철쭉과 회나무 주목과 미역줄나무 물갬나무와 노각나무, 잣나무와 마가목, 진달래와 명자순 명자순과 시닥나무, 가문비나무와 마가목 등의 수종들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고 당단풍과 미역줄나무 등의 수종들간에는 높은 부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본 조사지의 종다야도는 1.2389-1.2552으로 높게 나타났다 구상나무의 활력은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12.92%가 고사목이었다 생육현황표의 점수 평균은 13.88이었다.

  • PDF

인천 송도 신시가지 조성을 위한 갯벌매립이 해양저서동물 군집에 미친 영향 1. 대형저서동물의 생물다양성 및 군집구조의 변화

  • 홍재상;윤상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05a
    • /
    • pp.366-368
    • /
    • 2000
  • 연안 매립을 포함하는 방파제의 건설이나 호안의 건설은 자연적인 해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인위적 교란으로 나타나며 그에 따른 수력학적 변화에 의해 퇴적학적 특성은 물론 지형학적 변화를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물리적 환경의 변화가 저서생물의 유생의 분포, 먹이입자의 퇴적작용, 그리고 퇴적상의 변화를 초래하고 결국 저서동물군집의 구조에 변화를 주게 된다(Seys et al., 1994). (중략)

  • PDF

인천 송도 신도시 조성을 위한 갯벌매립이 해양저서동물 군집에 미친 영향 3. 변화된 환경요인과 군집구조와의 관계

  • 홍재상;이창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05a
    • /
    • pp.410-411
    • /
    • 2000
  • 연안 매립을 포함하는 방파제의 건설이나 호안의 축조는 자연적인 해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인위적 교란으로서 그에 따른 수력학적 변화에 의해 퇴적학적 특성은 물론 지형학적 변화를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물리적 환경의 변화가 저서생물의 유생의 분포. 먹이 입자의 퇴적작용, 그리고 퇴적상의 변화를 초래하고 결국 저서동물군집의 구조에 변화를 주게 된다(Seys et al., 1994). (중략)

  • PDF

강진만의 겨울철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에 관하여

  • 나기환;최석원;김대윤;황상필;김재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442-443
    • /
    • 2001
  • 강진만은 삼천포수도, 노량수도와 지족수도를 통하여 유입되는 조류(tidal current)에 의해 해양생태계의 구성인자들이 영향을 받고 있다. 이중 강진만북부 입구와 만에서는 피조개와 굴양식이 활발히 행하여지고 있는 해역이다. 또한, 삼천포수도와 노량수도 입구에는 삼천포 하동화력 발전소가 위치하여 직, 간접적으로 온배수의 영향이 이들 해역의 생산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강진만의 일대 주변해역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 및 군집구조로 이들 영향을 조사하였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