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2012.06b
/
pp.101-103
/
2012
지금까지 발표된 상호운용성 측정모델은 점대점(Point-to-Point)으로 단위시스템간 상호운용성을 평가하는 모델부터 네트워크중심(Network-Centric)의 복합시스템(System of Systems)간 상호운용성을 평가하는 모델까지 여러 모델들이 있다. 그중 SCOPE 모델은 네트워크중심의 복합시스템간 상호운용성을 평가하기 위한 모델이고, NCAT은 SCOPE기반의 상호운용성 평가 도구이다. 본 논문은 SCOPE를 기반으로 NCAT의 상호운용성 평가 방법과 다른 상호운용성 평가 방법론을 제시한다. 제시된 방법론은 SCOPE 모델을 기반으로 복합시스템의 상호운용성을 평가 할 때 서비스별 우선순위를 부여하지 않은 기존 방법과 달리 우선순위를 부여한 방법이다.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1999.10c
/
pp.274-276
/
1999
정보 통신 프로토콜의 한 구현물이 표준에 맞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적합성 시험을 수행해왔다. 그러나, 정보통신 환경의 급격한 변화로 인해 적합성 시험에 합격한 장비 및 서비스들간에도 상호 운용시에는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 현상이 종종 발생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정보 통신 서비스 및 제품 개발에 있어서 상호운용성 시험의 요구가 증대함에도 불구하고, 국내외적으로 권고하고 있는 국제적인 표준이나 시험체계 및 방법 개발이 미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상호운용성 관련 연구 동향 및 기존의 국제 표준(안)을 분석하여 상호운용성 시험 방법에 대한 연구의 방향을 설정하고, 상호운용성 시험 방법 및 체계를 마련하여 표준안을 제안한다. 본 논문은 상호운용성의 분류, 상호운용성 시험 구조, 상호운용성 시험 절차에 관한 내용을 포함한다.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2002.11c
/
pp.2011-2014
/
2002
국방부는 90년대 후반부터 국방정보체계 구축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면서 정보체계의 상호운용성 문제를 심각하게 인식하고 상호운용성 및 표준화 관리 지침 제정, 획득관리규정 갱신 등 국방정보체계 상호운용성 보장을 위한 제도적 발전을 도모하고 있다. 하지만 상호운용성 보장을 위한 정책 및 지침에 있어 미군의 경우 정보기술구조 개념을 기반으로 상호운용성 보장을 위한 일련의 절차가 제시되어있는 반면, 우리 군의 경우 정보기술구조에 대한 정확한 이해의 부족으로 정보기술구조의 시작점이라 할 수 있는 전사적 관점에서 상호운용성을 위한 노력은 미비한 상태에서 공통운용환경, 데이터 공유 등 체계적 관점에서의 상호운용성만을 강조함에 따라 상호운용성관련 정책 및 지침의 절차가 일관성이 결여되고 명확하지 못하며, 이해 및 적용 또한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우리 군의 정보화에 있어 가장 시급한 문제라 할 수 있는 국방정보체계의 상호운용성과 관련된 정책에 대하여 현재 우리 군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IPSsec 제품은 호스트에 구현될 수도 있고, VPN 장비의 형태일 수도 있으며, 방화벽이나 라우터에 구현되어 있을 수 도 있다. 또한, IPSec은 동일한 조직의 네트워크에서뿐만 아니라 독립된 조직의 네트워크들 사이에서도 사용될 수 있어야 하며, 따라서 여러 제품들끼리의 상호운용성이 그 사용에 있어서의 기본 요건이다 IPSec 제품의 상호운용성을 위해 IPSec 제품이 표준을 준수하고 있는지에 대한 적합성 시험과 IPSec 제품들 사이에 상호 운용 여부를 시험하는 상호운용성 시험이 필요하며, 본 논문에서는 IPSec 제품에 대한 적합성 시험과 상호운용성 시험 기술과 방법을 미국과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조사한다.
The importance of interoperability in modem warfare has been increasing ever since. Korean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has constructed and used the Systems Interoperability Test & Evaluation System in order to evaluate level of interoperability among defense information systems. However, as primary targets of SITES were information systems, there is limitation to be applied to weapon systems. This paper proposes an interoperability testing architecture and interoperability testing configuration items which encompass various aspects of interoperability testing. We developed a prototype which proved that the proposal can be realized and useful.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2005.11b
/
pp.406-408
/
2005
시스템의 개발에 있어서 외부 시스템과의 상호운용성 확보가 정점 중요한 부분이 되어가고 있다. 시스템의 상호운용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시스템 개발의 초기(요구사항 분석)단계에서 부터 개발이 완료될때 까지 상호운용에 관련된 여러 사항을 개발 및 확인하여야만 최종 시스템의 상호운용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CBD 방법론을 바탕으로 컴포넌트 기반 시스템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최종적으로 개발되는 시스템의 상호운용성을 향상하기 위한 체크리스트를 소개한다. 논 논문의 상호운용 체크리스트는 컴포넌트의 개발 과정 즉, 요구사항 분석, 설계, 개발, 시험, 설치에 이르는 각각의 과정에서 상호운용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점검 및 수행하여야 하는 사항들을 제시한다. 본 체크리스트의 작성을 위하여 필요한 상호운용 관련 사항들은 LISI 질의서와 공통운용환경(COE)의 적합성 체크리스트를 분석하여 작성하였다.
The purposes of e-Government are to connect government agencies without boundary, and to deliver better quality e-services to citizens. The frontier countries try to reach the e-Government goals using Government Interoperability Framework(GIF). Even though Korea also has interoperability regulations, that is obscure. So we have some limitations to take the e-Government interoperability advantages. This study analyzes the cases of advanced countries (EU, U.S., U.K., and Australia), and reviews Korea's regulations. After that, we suggest EA based Korean e-Government Interoperability Framework(K-GIF), that is to manage the interoperability from business to information technology over the whole IT life cycl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Architecture
/
v.9
no.2
/
pp.167-176
/
2012
In Korean military measuring systems interoperability is based on LISI (Level of Information System Interoperability) model at the requirement generation and acquisition process. However, LISI model cannot be used for interoperability measurement of system of systems (SoS) because LISI model is focused on interoperability measurement of a given system or system pair. Also, LISI model cannot provide quantitative information for interoperability decision because of qualitative rather than quantitative approach. This paper proposes a quantitative interoperability measurement methodology of SoS. At the proposed methodology, mission threads and supporting systems are identified using architecture approach, and Interoperability of SoS is measured with systems multiplicity and resemblance coefficient. Finally, a case study is presented to show the usefulness of the methodology.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2011.06a
/
pp.1-4
/
2011
본 논문은 현재 국방 체계의 상호운용성 수준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사용하는 LISI 모델에 대해 개선되어야 할 내용을 제시한다. 우리 군은 국방 체계에 대해 상호운용성 수준 측정을 위해 LISI를 기반으로 한 자동화 도구를 활용하는 등 상호운용성 확보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소요제기/개념단계, 설계 단계에서 적용되는 LISI 모델에는 미흡한 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아키텍처 구축 시 LISI를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상호운용성이 확보 가능한 아키텍처를 구축하기 위해 서는 LISI를 기반으로 아키텍처 대안들을 평가함으로써 향후 개발에 적용될 아키텍처가 상호운용성 요구를 달성하고 있음을 검증해야 한다. 더불어 본 논문은 LISI 모델 기반 상호운용성 평가를 위해 주요하게 고려되는 능력모델에 대한 절차(P), 응용(A), 기반구조(I), 데이터(D) 내용을 참조모델을 통해 최신화하는 방안에 대해 제안한다.
지형공간 정보 시스템의 상호운용성 및 메타데이터에 관한 관련 연구의 대부분은 모델의 개발과 표준 사양의 정의, 데이터 포맷의 표준화 등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시스템 상호 운용성을 고려한 메타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구체적인 설계와 구현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아직적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지금까지의 지형공간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와 관련된 기술 표준화 동향을 수용하며 이기종 분산환경에서 지형공간정보의 상호운용성을 지원하기 위한 메타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통합메타데이터 저장소의 형태로 구현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설계된 메타데이터 관리자의 시스템 구성요소들의 기능 명세를 세부적으로 정의하여 상호운용성을 제공하는 메타데이터의 관리방법으로써의 통합메타데이터저장소 시스템과 관리자의 기능을 제시하도록 한다.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