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태적 관리

Search Result 2,262,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A study on the ecotoxicological management standards set by the Algae(Closterium) (반달말을 이용한 생태독성 관리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 Ryu, Je Ha;Kim, Sang Gil;Kim, Sun 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79-579
    • /
    • 2015
  • 최근의 환경부의 환경관리정책은 기존의 BOD나 COD로 대표되는 이화학적인 분석으로 수질항목을 측정 분석하여 환경규제로 활용되고 있는 상황에서 환경용량 기반의 수용체 중심의 통합관리방안을 추가하여 규제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수질관리부분에서도 2006년 "물환경관리 기본계획('06-'09)"을 수립하여, 생태적으로 건강하고 유해물질로부터 안전한 물환경조성 목표하에 오염원 중심에서 수용체 중심 즉, 통합적인 수질관리 방향으로 추진되고 있다. 하지만 하 폐수에 함유된 모든 유해화학물질에 대하여 배출허용기준을 설정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환경부에서는 "생태독성 통합관리제도(WET : Whole Effluent Toxicity)"를 도입, 2007년 상기법의 시행규칙 개정을 통하여 배출허용기준에 생태독성기준을 추가하여 관리하고 있다. 생태독성을 평가하는 생물군에는 박테리아, 조류, 물벼룩, 어류 등 다양한 생물종이 있으며 국내에는 물벼룩을 이용하여 TU라는 생태독성단위를 이용하여 규제 및 관리를 시행하고 있으나 단일 생물종으로만 관리할 경우 생물의 내성 및 특정 유해물질에만 반응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어 여러 가지 복합적인 화합물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복수종에 대한 관리 및 규제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반달말(조류)를 이용한 WEMS(Water Enviroment Monitoring System)를 이용하여 하천 호소 및 정수장, 하 폐수처리장등 다양한 현장에 적용하여 화학물질군에 대한 독성의 특성을 파악과 더불어 통계학적 처리를 이용하여 수질관리에 대한 방법을 제시하고 과학적이고 현장 특성에 맞는 경보 수준을 통해 수생태관리에 관리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Public Managers' Decision-Making and Their Psychology on Managing Ecosystems (생태계 관리에 대한 공무원의 의사결정과 그 심리)

  • Lee, Jeongseok
    •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 /
    • v.11 no.3
    • /
    • pp.3-24
    • /
    • 2012
  • Many ecosystems in Korea are currently managed by government organizations. Thus, public managers' decision-making has great influence on the management of ecosystems in Korea, and their decision-making could influence the matter of whether the ecosystems of Korea are managed effectively. This paper regards the goal of management of ecosystems as securing the sustainablilty of target ecosystems, and investigates public managers' decision-making and their psychological attitude on the management of ecosystems. Basically, managerial activities on ecosystems have uncertainties and usually public managers utilize the knowledge of law, science, intergovernmental relations, and local governance as their references for decision-making. To elucidate public managers' managerial decision-making on ecosystems, this paper adopts some psychological theories in explaining the judgment of human beings under uncertainties. Effective ecosystem management by public managers can be judged by how public managers adopt and utilize all of the above mentioned four kinds of knowledge on ecosystem management. An important factor in order to let them utilize the four kinds of knowledge is policy support. Therefore, as conclusion, this paper recommends some relevant policy measures that can support the ecosystem management of public managers.

  • PDF

Foundation of Park Management Plan to Consider Ecological Aspects Based on Environment.Ecology Research and Analysis in Bulamsan Urban Nature Park (불암산도시자연공원의 환경생태 현황 조사.분석을 통한 생태적 측면에서의 공원관리계획 수립)

  • Lee Soo-Dong;Choi Jin-Woo;Lee Kyong-Jae;Han Bong-Ho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0 no.2
    • /
    • pp.170-187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c datd for establishing a basic park management plan for Bulamsan Urban Nature Park. This research surveys very closely about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natural ecosystem based on the examination and analysis of the present condition. This research suggests development and management methods for environment-friendly park by understanding damages on the ecosystem due to overuse, as well as park facilities and their effects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using quantative analysis. The three steps: researching the present condition research, ecosystem evaluation, and park management plan were taken in order. The present condition research is based on the general condition, natural environment, and natural ecosystem data. In the ecosystem evaluation, wildlife habitats evaluation, landscape evaluation, and biotope type research which is a materialized form of the plant ecosystem were excuted based on the present condition research data. In the park management plan step, 1) classified ecosystem and landscae preservation zone, ecosystem protection zone and ecosystem restoration zone as ecosystem and landscape preservation plan, 2) plannings for ecosystem, fine landscape preservation, damaged area restoration and recovery plan were established in order to suggest environment-friendly plan,

해안 서식지 분류를 통한 생태계 단위 설정 -태안해안국립공원을 대상으로-

  • 신수영;박종화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1999.12a
    • /
    • pp.16-20
    • /
    • 1999
  • 우리나라 특히 서ㆍ남해안은 전형적인 리아스식 해안으로 해안선 출입이 잦아 해안의 대표적인 지형들이 골고루 발달해 있는 곳이며, 해안생물자원도 풍부한 지역이다. 종래의 생태계 조사방법은 종목록을 작성하는 수준이었기 때문에 자연자원과 생태계 보존 및 관리에 필요한 해안생태계의 서식지 유형을 분류하여 지도화하는 작업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 연구는 태안해안국립공원 지역을 대상으로 다음의 세가지 연구를 시행하였다. 첫째, 해안생물의 서식 기반이 되는 물리적 요소인 기질, 경사도, 파랑에너지에 입각하여 서식지 유형을 분류하였다 둘째, 해안의 생태계 보존 및 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토지이용 현황을 원격탐사를 이용하여 분류하였다. 셋째, 서식지와 토지이용을 결합하여 암석해안과 갯벌(모래, 펄)의 생태계 단위를 설정하였다. 이러한 생태계 단위는 생태적으로 관리전략을 세울 수 있는 토대가 될 수 있다.

  • PDF

Studies on the Management Plan in Urban Ecological Protected Area of Seoul - A Case Study of the Baeksil Valley Ecological Scenery and Conservation Area - (서울 도시생태 보호지역 관리계획 연구 - 백사실계곡 생태·경관보전지역을 대상으로 -)

  • Park, Seok-Cheol;Han, Bong-Ho;Kwak, Jeong-I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3 no.6
    • /
    • pp.109-126
    • /
    • 2015
  • This study is for constructing detailed data to secure biological diversity and maintain a healthy ecosystem in Backsasil Valley Ecological and Scenery Conservation Area, and for preparing an ecological management plan fit for the protected area. The period for this study was from April 2010 to May 2013. Recently, the increase of visitors to Baeksasil Valley, as well as the plantation and dissemination of introduced vegetable species, become factors accelerating ecological disturbance. Major research contents included the reviews of the management system of the protected areas, the necessity of ecological management at the basin level, establishing the system of a management plan, research and analysis of environment ecology, analysis of threatening factors, goal-setting, management strategies, and a plan through SWOT analysis. Survey items were the natural environment, major components of ecosystem, and human-use. The goals of ecological management were basin zone management for amphibians,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forest vegetation for conservation habitat of Dryocopus martius, conservation habitat of Zelkova serrta for nature landscape, and management of users for environment protection. The conservation management plan at a basin zone level contains the management of point and non-point pollution sources in the upstream, securing growing conditions for native plants, securing safe habitats for amphibians, and securing of habitats for major wild birds. Also, restoration of natural forests, management of native plants and introduced vegetable species, and restoration of degraded forest paths are suggested for the restoration plans.

Network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Marine Ecosystem Management Plans (국내외 해양생태계 관리계획의 네트워크 분석)

  • Jeong, Sehwa;Kim, Yeongha;Yeo, Unsang;Sung, Kijune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30 no.1
    • /
    • pp.24-34
    • /
    • 2021
  • Many countries have established and implemented marine ecosystem management plans to solve various problems arising from excessive development and use of marine and coastal areas. In this study, network analysis was applied to compare and understand marine ecosystem management's direction and characteristics in Korea and other maritime countri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words 'strengthen,' 'promote,' 'improve,' and 'establish' were the keywords used a lot in domestic and foreign marine ecosystem management plans. Establishing a foundation for marine ecosystem management, establishing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partnerships, and strengthening climate change adaptation was commonly included. However,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detailed management plans. In foreign countries, it aims to present management measures for certain species and improve the existing institutional foundation. Still, in Korea, it aims to strengthen the comprehensive management of marine life and establish an institutional foundation for marine ecosystems.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understand the direction of domestic and overseas marine ecosystem management and establish a domestic marine ecosystem management plan in the future.

Technical and Institutional Directivity of Instream Flow and Environmental Ecological Flow (하천유지유량과 환경생태유량의 기술·제도적 방향성)

  • Kang, Seong Kyu;Choi, Si Jung;Kim, Hyun Jung;Lee, Dong Ry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420-420
    • /
    • 2019
  • 법적인 정의를 차치하고 나면 하천유지유량의 정의는 사람과 자연이 한정된 수자원을 바람직하게 공유하기 위한 유량 측면의 범위로 나타낼 수 있다. 하천유지유량의 산정과 관리는 사람의 물이용과 배치되면서 동시에 진행해야 하는 하천수 관리의 핵심요소이다. 물관리 일원화 이전에 물관리 업무가 분산되어있는 상황에서 당시 환경부는 환경생태유량이라는 건강한 생태계유지에 주 목적이 있는 개념을 생산하였고, 시범사업을 거쳐 고시를 추진하고 있다. 하천유지유량과 환경생태유량은 다루는 범위와 공간적 차이가 있을 뿐이며 근본적인 개념과 생성의 원인은 같은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천유지유량과 환경생태유량의 개념과 본질을 살펴보고 효율적인 제도적 장치 마련의 방향성, 기술적 방향성에 대해 논하였다.

  • PDF

Risks Incurred by Release of Animals into the Natural Ecosystem in Korea and Its Risk Management (국내 동물의 야생생태계 방출로 인한 위해성 및 위해성 관리방안)

  • Bang, Sang-Weon;Kim, Ae-Sun
    •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 /
    • v.10 no.1
    • /
    • pp.3-25
    • /
    • 2011
  • Recently, a number of local governments as well as private organizations have spearheaded the release of animals into the natural ecosystem in Korea. In 2002, most of these animals released were mammals and birds, but the parameter was gradually expanded to include fish, amphibians, and invertebrates in addition to mammals and birds in 2007, with an increased overall number of animals released. Such increase has not only posed ecological, economic, and public health risks, but also yielded an increase in damages incurred by releasing animals historically or ecologically alien to a given region without thorough risk assessment. The most significant cause of such risks was a critical lack of risk management and regulatory schemes addressing the release of animals into the natural ecosystem. In stark contrast, developed countries long before established the requisite risk management and regulatory schemes either by complying with the IUCN/SSC's Guidelines for Re-Introductions or devising them independently. In this context, the current study has examined the release of animals into the natural ecosystem in Korea and, based on the investigation, asserted a strong need for proper risk management. Moreover, the study has presented systematic risk management and regulatory schemes suitable for the Korean milieu based on a comparative analysis of those employed in developed countries.

  • PDF

Status and plan of 'Operation rule improvement and ecological restoration plan of Nakdong estuary' ('낙동강하굿둑 운영개선 및 생태복원 방안 연구 용역' 추진현황 및 계획)

  • Noh, Hee Kyung;Ryu, Hyung Kwan;Ryu, Jong Hyun;Kim, Hwa Young;Chun, Ja 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1-22
    • /
    • 2020
  • 낙동강 하굿둑(이하 하굿둑)은 1987년 부산 사하구와 강서구 사이에 건설되어 하류 지역의 바닷물 유입을 막아 부산, 울산, 경남 등에 안정적으로 생활·농업·공업 등의 분야에 용수를 공급하는 역할을 해왔다. 현재, 하굿둑의 수문은 낙동강 상류로부터 하류로 흘러내려오는 민물(담수)을 방류하기 위해서만 하굿둑 수문을 개방하고 있다. 하구는 하천의 담수와 바다의 염수가 서로 만나는 구역으로 바닷물과 염수의 밀도차에 의한 혼합으로 자연상태의 하구에서는 담수와 염수가 섞이는 기수역이 형성되며, 이러한 특성으로 하구 인근의 지역에서는 일반적인 하천 및 해양, 연안과는 분명히 구별되는 생태계가 조성된다. 하굿둑 건설이후 바닷물(해수)과 민물(담수)이 만나는 낙동강 어귀에 기수생태계가 사라지면서 바닷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여 생태계를 복원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으며, 하굿둑이 지역에 기여해온 사실은 분명하나 하굿둑으로 인해 생태계 단절이 발생하고 기수생태계가 파괴되었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하굿둑을 개방하여 과거 기수생태계를 복원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에서는 하굿둑의 기수생태계 복원을 위해서 관계기관 합동으로 의사결정을 하고 효율적인 개방 방안을 모색하는 실무협의회를 구성하여 운영 중이고, 실무협의회 논의를 통해 5개 주요 관계기관(환경부, 국토부, 해양수산부, 부산광역시, K-water) 공동으로 "낙동강하굿둑 운영개선 및 생태복원 방안 연구용역"을 추진 중이다. 2018년 1단계 용역이 완료되었으며, 2019년부터 2단계 연구용역을 추진 중이고 하굿둑 개방의 수준별로 각종 영향을 검토한 후 대책을 마련하여 기수생태계 복원 방안을 수립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단계 연구용역에서는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기수생태계 복원방안 마련을 위해서 실제로 해수를 유입시키는 3차례의 실증실험 및 수리모형실험 등을 추진한다. 기존 연구들에서도 수문개방에 따른 해수유입 영향에 대해 모델링을 통해서 분석했지만 이는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은 결과로 이번 용역에서는 실제 해수를 유입시키고 염분의 침투 및 각종 수생태 영향을 모니터링 한 후 그 결과를 반영하여 모델링을 고도화하고 있다. 최종적으로 고도화된 모델링 결과를 기반으로 기수생태계 조성 방안별로 염분, 수질, 수생태, 침퇴적 등 각종 분야에 대한 정확한 영향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포함하여 최종적으로 바람직한 기수생태계 복원 방안을 제시할 계획이다. 기수생태계 복원 방안이 계획에만 그치지 않고 실행으로 연결시키기 위해서 필요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공감대를 형성해 나아가고 있으며 지역주민, 전문가, 관계기관 등 민(民)·관(官)·학(學)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여 하구지역내 수량-수질-수생태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복원 방안을 마련 후 사회적인 합의를 추진하여 확정할 예정이며, 하구의 안정적인 관리를 위해 AI 등 4차 산업혁명기술을 적극 적용하는 스마트한 하구물관리(Smart Estuary Watershed Management)"를 활용한 "하구통합물관리" (Estuary Integrated Watershed Management) 등 과학적인 관리를 추진할 계획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