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설계VE

검색결과 179건 처리시간 0.026초

공동주택 시공VE 사례분석을 통한 설계VE 효율화방안 (The Efficiency Scheme of Design VE through the Case Studies of Construction VE for Apartments)

  • 김용수;김영훈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59-67
    • /
    • 2010
  • 본 연구는 공동주택 시공VE 사례조사를 통한 설계VE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설계VE의 효율화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국내 5개 건설사의 공동주택 시공VE 현황을 조사하였다. 또한 5개 건설사에서 수행한 공동주택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시공VE 적용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과 방법에 따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설계VE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시공VE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활용에 필요한 정보판리 제계를 제시하였다. 둘째, 시공VE 업무체계 개선을 통한 설계VE 수행 프로세스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공통주택의 효율적인 설계VE 대상 선정을 위한 고려사항과 설계단계별 중점 VE대상을 제시하였다.

VE프로세스 개선을 위한 모바일 기반의 설계VE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Mobile-Based Design Value Engineering(VE) Supporting System for VE Process Improvement)

  • 송창영;양병수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433-443
    • /
    • 2021
  • 설계VE는 정확한 기능분석 및 대안창출을 통해 최상의 가치를 창출하는 조직적 노력으로써, 설계VE 수행절차에 따라 해당분야 전문가집단이 모여 VE워크샵을 반드시 특정 장소에서 일정기간 내에 수행해야 한다. 설계 VE는 준비단계, 분석단계, 실행단계로 구성하고, 각 단계별로 다양한 운용기법과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기능평가, 성능평가, 아이디어평가 등을 정량적인 협의를 통해 이끌어낸다. VE팀원들은 약 3일~5일간 실시되는 워크샵 기간을 정하고 특정 장소를 지정하여 VE검토대상에 대한 가치창출의 노력을 하고 있다. 그러나 VE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최상의 가치를 창출해야 하는 모든 과정을 특정한 일정 이내에 한정된 장소에서 해결하는 것은 많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국내 VE 워크샵의 경우 설계VE 필요성을 간과하여 워크샵을 단기간 내에 진행하고 있어서, VE팀원은 제한된 시간 내에 모든 설계VE 프로세스를 수행하여야 한다. 이러한 시간과 공간의 제약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설계VE 지원시스템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설계VE팀원의 효율적인 설계VE 업무를 지원하도록 모바일 환경기반의 설계VE 지원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모바일 디바이스를 활용한 설계VE 지원 체계는 VE 워크샵 이전부터 설계도서 및 VE관련 자료를 선검토 하고, 설계VE 워크샵 일정에서 결정한 기능평가 또는 아이디어 평가결과를 워크샵 이후에도 편리하게 재수정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공동주택 설계VE 현황 설문조사를 통한 문제점 분석 및 개선방안 (Problem Analysis and Improvement Scheme Based on Questionnaire Survey to Design VE Status for Apartment Buildings)

  • 김영훈;김용수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51-58
    • /
    • 2010
  • 본 연구는 공동주택 설계VE 현황 설문조사를 통해 문제점을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설계사와 건설사의 공동주택 설계VE 유경험자를 대상으로 설계VE 현황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상기와 같은 목적과 방법에 따라 도출된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공동주택 설계VE의 문제점은 제도적 측면에서 설계VE 규정이 미흡하고 자발적인 설계VE 수행이 어려운 실정이며, 수행 측면에서는 공통주택의 특성에 적합한 설계VE 절차 이행이 미흡하다. 2) 공동주택 설계VE 적용의 개선방안으로는 제도적 측면에서 공통주택 설계VE 적용기준을 확대 시행해야 하며, 설계주제를 대상으로VE성과에 대한 인센티브 제도를 정비하고 설계VE 수행 측면에서는 공동주택 특성에 적합한 VE 절차를 개발, 제시하였다.

턴키 및 대안입찰사업의 설계VE 성과분석 (An Implementation Analysis of Design VE to Turn-key and Alternative Project)

  • 김기한;이현석;임희동;김병수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011-1014
    • /
    • 2007
  • 건설시설물의 기능향상과 경제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도입된 설계VE제도는 2005년 12월부터 100억 이상 건설공사에 확대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VE가 형식적이고 결과 중심적으로 실시되고 있어 VE를 통한 가치창출의 극대화라는 VE본연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국내에서 실시된 턴키 및 대안입찰사업의 설계VE 사례를 통하여 설계VE의 성과를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국내 건설VE 운영현황과 발전방향 (Implementation Status and Improvement Strategy of the Value Engineering in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 서용칠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37-144
    • /
    • 2007
  • 국내에서 활용가능한 VE형태는 2000년 3월 제정된 건설기술관리법 시행령 제38조13(설계의 경제성등 검토)에 근거한 설계VE와, 국가계약법 시행령 제65조에 근거한 기술개발보상제도에 의한 시공VE이다. 특히 건설기술관리법 시행령과 건설교통부의 설계VE 시행지침의 수립은 그간 민간 및 타 분야에서 활용되었던 VE를 제도적으로 규정함으로써 체계적인 VE를 실행할 수 있는 된 계기가 되었고, 이후 VE는 질적, 양적으로 증가하게 되었다. 또한 2005년에는 건설기술관리법 시행령을 개정하여 설계VE 대상공사를 당초 500억이상의 공사에서 100억이상의 공사로 확대하였으며, 건설교통부 및 조달청에서 각각 고시한 건설사업관리자 사업수행능력 세부평가기준에서 설계VE 우수업체에 가점을 부여하는 등 국내 건설VE는 계혹해서 확대될 전망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입된지 25년이 된 기술개발보상제와 7년이 지난 설계VE의 운영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VE적용성과를 더욱 높일 수 있는 발전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교육시설 설계VE의 대안 유형화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Typology of Alternatives in the Design VE of Educational Facilities)

  • 최광모;송정화;오건수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2부
    • /
    • pp.649-652
    • /
    • 2010
  • 교육시설에 BTL사업이 활성화됨에 따라 해당 사업의 규모가 급격히 확대되고 있다. 이에 교육시설 설계에 있어서 창의적이고 효율적인 대안설계를 제안해야함에 따라 설계VE 영역의 중요성이 부각되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현재의 설계VE 진행절차는 준비단계, 분석단계, 실행단계로 이어지며 각 단계별로 다양한 운용기법과 분석방법으로 진행되고 있다. 특히 그동안 진행되었던 다수의 교육시설 설계VE 사례를 살펴본 바에 의하면, 설계VE 과정에서 VE대상 선정 시 동일하거나 유사한 방법이 나타나고, 최종 대안 역시 프로젝트 별로 유사한 패턴을 보이고 있음에도, 기존 설계VE의 전 과정이 반복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처럼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나타나는 대안들을 유형화 하여 설계VE 절차를 간소화함으로써 VE활동 기간을 단축시켜 효율성을 높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존 교육시설 설계VE 사례들을 통해 다양한 VE대안들을 분석하여 유형별로 정리한다. 그 결과로 유사한 패턴이 나타나는 최종 대안들을 교육시설의 공간과 각 공간에 따른 공종별로 구분하여 유형화하고자 한다. 이는 교육시설 설계VE 활동 시 유형화 된 대안을 활용하여 기능분석 등의 단계를 생략함으로써 설계VE 활동 기간 단축과 투입 노력을 축소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며, 설계VE에 있어서 보다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 PDF

건설사업 설계초기단계 VE 적용방안 (Application of Value Engineering to Early Design Phases in Construction Projects)

  • 이승훈;구교진;현창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6권3호
    • /
    • pp.156-166
    • /
    • 2005
  • 본 연구는 설계초기단계에 적합한 VE 적용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VE방법론은 설계단계 초기에 적용할 경우 더욱 효과적이므로 본 연구는 설계 프로세스 초기단계의 설계YE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관련 연구문헌의 고찰과 실무경험을 바탕으로 국내 건설산업에서 설계VE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1)설계단계별 VE실시시기를 구분하고, (2)건설산업에 적합한 VE대상선정 방법을 제안하며, (3)기능분석 프로세스를 보다 합리적이고 실용적으로 개선함으로써 (4)전체 설계VE 수행절차를 효율적으로 개선하고자 하였다.

공공부문 설계시공일괄사업의 설계VE 인센티브 적용방안 (Application of Incentive on Design VE to Public Design-Build Projects)

  • 이헌우;정재훈;김해곤;구교진;현창택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6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84-288
    • /
    • 2006
  • 건설교통부에서는 설계시공일관사업을 포함한 총공사비 100억원 이상인 모든 공사에 설계VE 적용을 의무화하고 있다. 현행 설계시공일관사업에서는 입찰을 통해 확정된 총액금액으로 설계가 진행되어 실시설계단계에서 VE의 실시 명분이 미흡한 상태이다. 그러므로 설계시공일관사업에서 설계VE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설계VE 적용 결과에 따른 절감액의 배분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행 설계시공일관방식의 특성과 설계VE 적용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설계시공일관사업에서 설계VE 적용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인센티브의 활용방법을 제안한다.

  • PDF

설계VE에서 기능정의를 위한 절차 및 방안 (Procedures and Strategies for a Function Definition in the Design Phase VE)

  • 이현종;박인우;현창택;구교진;홍태훈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51-156
    • /
    • 2007
  • 2006년부터 VE 대상프로젝트가 확대되고, 기본설계와 실시설계단계에 각 1회씩 설계VE를 적용토록 규정되어 설계단계별로 VE가 각각 적용되는 프로젝트가 늘어나고 있다. 그리고 원가절감과 성능향상으로 프로젝트 가치를 높인 설계VE 사례도 많아지고 있다. 하지만 기본설계와 실시설계단계의 조건에 적합한 VE 수행방안에 대한 연구가 미진하고 참여자들의 경험과 이해가 부족하여 단계별 설계VE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본설계단계와 실시설계단계로 나누어 VE를 수행한 실무사례를 분석하여 기능정의와 아이디어 창출간의 연관관계 및 각 설계단계에서 기능정의를 수행할 때 발생하는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문제점을 해결하고 효과적인 설계VE를 수행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설계프로세스의 흐름에 맞추어 기본설계에는 공간기능에 대하여하고 실시설계에는 부위에 대하여 기능정의를 수행한다. 이때 상위의 레벨에는 하위의 레벨의 기능정의가 연계되는 기능분류체계 (FBS : Function Breakdown Structure)를 제안하였다. 둘째, 기본설계와 실시설계단계의 기능정의를 수행하는 프로세스 (FDP : Function Definition Process)를 제안하였다. 셋째, 실시설계단계에서는 부위별 요구 성능 평가 매트릭스 (EFM : Element Function Matrix)를 적용하여 기능정의와 아이디어 창출이 연계되도록 하였다. 설계VE의 주요 부분인 기능정의 과정에 대한 문제점을 도출하여 해결방안을 제시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설계VE의 수행을 기대할 수 있다.

  • PDF

도로교차로 설계VE 경진대회 사례분석 (The Case Analysis on the Road-Crossroad Design VE Competition)

  • 김기한;김병수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8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839-842
    • /
    • 2008
  • 건설VE는 건설시설물의 성능을 제고하고 생애주기비용을 절감하고자 도입된 제도로서 2005년 12월 100억 이상건설공사에 확대 적용된 이래로 건축 및 토목공사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 국내에는 VE전문가가 부족한 실정이고 VE를 통한 가치창출의 극대화라는 VE본연의 목적보다는 예산절감을 위한 도구로서의 인식이 더 강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공사 중 교차로 설계VE경진대회 사례를 대상으로 국내에서 가장 널리 활용되고 있는 Job Plan에 의한 VE절차의 충실도와 VE성과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설계VE의 질적향상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