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손상 메커니즘

검색결과 177건 처리시간 0.024초

자가면역 질환과 HERV의 병인학적 관계 (The Etiological Relationship between Autoimmune Diseases and HERVs)

  • 정아람;김희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36-240
    • /
    • 2003
  • 인간의 면역계는 외부의 병원균 등의 침입에 대하여 매우 강력한 방어작용을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때로 면역계의 손상으로 인해 비정상적인 면역작용이 유발됨으로써 면역성 질환이 야기되기도 한다. 특히, 자가면역 질환은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며 심각한 위험을 초래하기도 한다 이들 질환에 대한 활발한 병인학적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 정확한 메커니즘을 밝히지는 못하고 있다. 자가면역성 당뇨병의 원인 유전자로 인간의 게놈에 내생하고 있는 HERV가 거론된 후, 사이토카인의 변화나 외생 레트로바기러스의 감염에 의해 HERV의 발현이 활성화되어 superantigen으로 작용함으로써 비정상적인 면역반응이 유도된다는 새로운 사실이 밝혀져 많은 주목을 끌고 있다. 이는 내생 레트로바이러스 유래의 superantigen과 인간의 질병과의 관련성을 비교적명확하게 제시함으로써, 자가면역 질환의 극복을 위한 향후 연구에 주요한 실마리를 제공하고 있다.

유도대전소자모델(FCDM)을 이용한 ESD에 의한 반도체소자의 손상 메커니즘 해석 (An Analysis of Damage Mechanism of Semiconductor Devices by ESD Using Field-induced Charged Device Model)

  • 김두현;김상렬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57-62
    • /
    • 2001
  • In order to analyze the mechanism of semiconductor device damages by ESD, this paper adopts a new charged-device model(CDM), field-induced charged nudel(FCDM), simulator that is suitable for rapid routine testing of semiconductor devices and provides a fast and inexpensive test that faithfully represents ESD hazards in plants. The high voltage applied to the device under test is raised by the fie]d of non-contacting electrodes in the FCDM simulator. which avoids premature device stressing and permits a faster test cycle. Discharge current md time are measured and calculated The FCDM simulator places the device at a huh voltage without transferring charge to it, by using a non-contacting electrode. The only charge transfer in the FCMD simulator happens during the discharge. This paper examine the field charging mechanism, measure device thresholds, and analyze failure modes. The FCDM simulator provides a Int and inexpensive test that faithfully represents factory ESD hazards. The damaged devices obtained in the simulator are analyzed and evaluated by SEM Also the results in this paper can be used for to prevent semiconductor devices from ESD hazards.

  • PDF

$Ar/Cl_2$ plasma에서 $CH_4$ 첨가에 따른 BLT 박막의 식각특성 및 선택비 향상 (Improving the etch properties and selectivity of BLT thin film adding $CH_4$ gas in $Ar/Cl_2$ plasma)

  • 김종규;김관하;김경태;우종창;김창일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7년도 제38회 하계학술대회
    • /
    • pp.1321-1322
    • /
    • 2007
  • $Ar/Cl_2$, $Ar/CH_4$$Ar/Cl_{2}/CH_{4}$ 유도결합 플라즈마의 가스 혼합비에 따른 BLT 박막의 식각 메커니즘과 선택비, 식각 후 박막 표면의 조성변화를 조사하였다. BLT 박막의 최대식각률은 $Ar/Cl_2$ 플라즈마에서의 Ar 가스 혼합비가 80%일 때 50.8 nm의 값을 보였다. 이 때, 1sccm의 $CH_4$ 첨가를 통하여 선택비와 식각률을 개선할 수 있었다. 박막 표면의 xPS 분석을 통해 BLT 박막 표면의 조성변화는 Cl 원자와의 반응에 의한 화학적 식각 손상이 H 원자와의 반응에 의한 그것보다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대형 증기터빈 물유입에 의한 손상메커니즘 분석과 원상복구특성 연구 (Study on Damage Mechanism Analysis and Recovery Characteristic of the Large Scale Steam Turbine Cased by Water Induction)

  • 김두영;박광하;이봉희
    • 동력기계공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22-29
    • /
    • 2011
  • In this study, the damage mechanism of large scale steam turbine due to water induction was analyzed and recovery characteristics were reviewed. A turbine consists of the rotating rotor and the stationary casing, and the clearance between them is very small for the efficiency enhancement. If water induction, while relatively cold steam or water is introduced into turbine, occurs, the considerable humping is caused at the casing near the initial water induction point and that induces the rubbing between rotor and casing. Finally, it leads to the catastrophic failure. Bowed rotor has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the recovery depending on damage degree. The elastic deformation due to light rubbing is recovered by turning the rotor with 3 rpm under normal operation condition, but most plastic deformation due to rubbing deforms the local microstructure and that results in permanent deformation which could not be recovered under normal operation condition. Bowed rotor has diverse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recovery method, and the method is empirical and needs the cutting edge technology. Careful recovery treatment of the rotor will eliminate the risks and secure the high quality rotor similar to new rotor. If any critical error is made during the recovery, the rotor would not be recovered permanently and it should be scrapped.

2점절 차단기 균압용 콘덴서 절연파괴 고장 메커니즘 및 성능검증 방법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erformance Verification Method and Failure Mechanism of Grading Capacitor of a Two-break Circuit-breaker)

  • 오승열;한기선;김태균
    • KEPCO Journal on Electric Power and Energy
    • /
    • 제5권1호
    • /
    • pp.11-15
    • /
    • 2019
  • 최근 송전전압 격상으로 인해 차단기 또한 정격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차단부의 전압 정격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차단부 2개 이상을 직렬로 구성하는 다점절 차단기가 설치되어 운용되고 있다. 다점절 차단기에서 차단부 극간에 설치되는 균압용 콘덴서는 점절간 균등한 전압분배와 초기 과도회복전압을 저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하지만, 세계적으로 실계통 사용에서 균압용 콘덴서는 기계적인 손상, 절연파괴에 의한 폭발 등 다수의 고장이 발생하고 있어, 이에 대한 원인 규명과 새로운 성능 검증방법에 대한 연구 필요성이 제기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전 계통에서 주로 발생한 균압용 콘덴서의 절연파괴 원인을 규명하고 이에 대한 제품 성능검증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콘텐츠 무해화 및 재조합 기술 연구 분석 및 고찰 (An analysis of Content Disarm and Reconstruction)

  • 오소현;아비르;박종혁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206-208
    • /
    • 2023
  • 비대면 활동 및 원격 작업 증가에 따라 문서 파일을 이용한 사이버 공격 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별도의 실행 파일 대신 문서 내의 기본적인 기능을 악용하는 문서 공격은 기존의 악성코드 탐지 메커니즘을 우회할 수 있기 때문에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여러 기술 중 CDR 기술은 악성 행위에 이용될 가능성이 있는 액티브 콘텐츠를 제거하거나 비활성화하여 사전에 악성코드로 탐지되지 않았던 파일에 대한 보안성을 제공하지만, 문서의 내용을 분석하고 안전하게 재조합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여 전달하고자 했던 내용을 제대로 표현할 수 없게 되거나, 파일을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파일을 후처리하는 방식으로만 CDR을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확장 프로그램이나 가상 환경 등을 이용해 문서의 작성 단계에서부터 CDR 처리과정을 거치게 하는 방법을 제안하여 파일 손상이나 내용 누락 문제를 완화하고 사용자의 업무 효율을 높이는 동시에 강화된 보안성을 제공한다.

플라보노이드의 세포외 기질 관련 유전자 발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Genes Related to Extracellular Substrates of Flavonoids)

  • 이재은;박세연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1010-1021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flavonoid apigenin과 baicalein의 세포 실험으로 콜라겐 회복효과를 확인하고 전사체 비교 분석을 통하여 collagen 회복 효과를 뒷받침할 수 있는 결과를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apigenin과 baicalein은 HS68 세포주에서 UV에 의해 손상된 I형 collagen 회복에 효과를 보였으며, 두 물질 모두에서 ECM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 변화를 확인하였다. ECM을 조절하는 공통적인 메커니즘을 보일 뿐 아니라 각각 다른 범주의 유전자들을 변화시키는 결과도 보여서, 세포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예측할 수 있었다.

사전균열로 손상된 RC 보의 탄소섬유시트 보수 후의 균열성장 및 박락거동 (Crack Growth and Debonding Behaviors of the Pre-cracked RC Beams Repaired with Carbon Fiber Sheets)

  • 김충호;고신웅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0권5호
    • /
    • pp.121-129
    • /
    • 2006
  • 본 연구는 균열이 발생한 R/C보를 탄소섬유시트(Carbon fiber sheet)로 보수했을 경우 시트의 박락과 균열의 확대 및 성장 메커니즘을 조사한 것이다. 실험변수는 하중형식, 재하속도, 사전균열 유무 등이다. 실험에서, 보의 파괴는 전단력 급변에 의한 재하점 직하부의 단차박리의 발전과 전파로 시작됨이 확인되었지만, 파괴기구는 하중형식, 재하속도, 사전균열 유무 등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특히, 사전균열을 갖는 보의 경우, 균열의 성장은 재하점 직하의 특정한 균열에 집중되고, 이 균열의 확장에 의한 탈착이 보의 파괴를 이끌었다.

랫드에서 방광기능 향상의 엔지니어링 중간엽 줄기세포의 조직학적 소견 (Histological Examination of Engineered Mesenchymal Stem Cells Improve Bladder Function in Rat)

  • 조은경;전승환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12-118
    • /
    • 2020
  • 이 연구의 목표는 엔지니어링 중간엽 줄기세포에 의해 발현된 SDF-1의 효과를 규명하고 신경인성방광 랫 모델에서 관련 메커니즘을 조사하는 것이다. Sprague-Dawley 랫(N=48)을 대조군, 신경인성방광군, 신경인성방광군+imMSC군 및 신경 인성방광군+SDF-1 eMSC 군으로 무작위 선정하였다. 신경인성방광 랫 모델은 양측 골반 신경 손상으로 유도하였으며 골수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를 immortalized한 MSC (empty vector)와 upregulated SDF-1한 MSC ( immortalized+SDF-1 치료유전차 발현)로 엔지니어링 하였다. 엔지니어링 중간엽줄기세포를 양측 골반 신경 손상부위와 방광에 주사하여 생착시켰다. 주사 4주 후 치료 효과를 양측골반신경 및 방광 조직을 마손 삼색 염색 및 면역 염색으로 분석하였다. 신경인성방광군+SDF-1 eMSC 군에서 방광 평활근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신경마커 베타-III 튜불린 및 SDF-1 발현 또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05), 이를 통해 손상된 신경을 복구하고, 신경인성 방광 랫 모델의 방광조직을 회복시켰다.

4-Hydroxynonenal의 미토콘드리아 탈분극을 통한 혈관 내피 세포의 세포사 유도기전 (4-Hydroxynonenal Induces Endothelial Apoptosis through Mitochondrial Depolarization)

  • 강대연;이지영;김민선;김철홍;김형근;이선미;권영미;이재원;백형석;유병팔;정해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11호
    • /
    • pp.1513-1520
    • /
    • 2008
  • 4-Hydroxynonenal (4-HNE)는 세포내 레독스의 균형을 깨뜨려 혈관 기능 손상을 일으킨다. 본 연구자들은 HNE의 축적이 야기하는 혈관 기능 손상기전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하여 혈관 내피 세포의 미토콘드리아 세포사 메커니즘을 규명하였다. HNE를 처리한 세포에서는 미토콘드리아 막전위 소실과 그에 따른 cytochrome C의 방출이 유도되었으며, Bax의 증가 및 Bcl-2의 감소가 관찰되었다. ROS 제거제인 NAC와 peroxynitrite 제거제인 페니실라민은 HNE가 유도하는 ROS 생성을 차단하여 cytochrome C 방출과 세포사를 억제하였다. 세포에 HNE와 zVAD-fmk (caspase 저해제)를 같이 처리하면 HNE가 유도하는 세포사를 억제하지 못하는데 이는 HNE에 의한 세포사가 caspase에 비의존적 단계일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위의 결과들은 HNE가 유도하는 혈관 내피 세포의 세포사 매커니즘은 미토콘드리아 막전위의 탈분극에 의해 촉발되며 이는 혈관계 항상성의 악화와 노화에 의해 수반되는 혈관기능 손상을 유도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