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손상 메커니즘

검색결과 182건 처리시간 0.027초

TiN 경질박막의 마모 수명 예측에 관한 연구 (Presumption on Wear life of TiN Film)

  • 정기훈;이영제
    • 한국윤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윤활학회 1997년도 제25회 춘계학술대회
    • /
    • pp.41-46
    • /
    • 1997
  • TiN 코팅은 마모에 대한 저항성 및 고체 윤활 효과가 매우 우수하여 내마모성 및 저마찰이 요구되는 절삭공구나 피스톤 베어링 및 각종 축계의 코팅막으로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재료의 경도와 인성은 서로 상반 관계를 갖고 있어 공학적으로 경도와 인성을 모두 요구하는 표면을 얻기 위해 연질 모재 위의 세라믹 코팅은 그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가장 각광받는 표면처리 방법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TiN과 같은 경질 박막의 공학적 적용시 가장 요구되는 마모수명은 모재의 조도나 경도, 증착 방법, 접촉 상태, 코팅막의 두께 및 마모의 발생 기구 등에 따라 마찰 및 마모 메커니즘의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기 때문에 예측이 거의 불가능한 실정이고, 아직까지 이러한 마모수명 비교 평가방법에 대한 기준 설정 및 정량적 정립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모재의 경도, 조도, 코팅 두께가 다른 TiN 경질 박막에 압입시험과 스크래치시험시 발생되는 균열 발생 메커니즘과 미끄럼 시험시 발생되는 마모 메커니즘의 연계성을 밝히고 압입 및 스크래치 시험시 코팅막이 손상되는 임계하중과 미끄럼 시험시 접촉하중 변화에 따른 마모수명의 정량적 연관성을 찾아보고자 한다.

  • PDF

침입 감내시스템의 고가용성 자가치유 메커니즘 (Highly Available Self-healing Mechanism for Intrusion Tolerant System)

  • 박범주;박기진;김성수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4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2 (1)
    • /
    • pp.646-648
    • /
    • 2004
  • 네트워크 기반 컴퓨터 시스템이 각종 악의적 공격에 의해 손상되더라도, 지속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해주는 침입 감내시스템(Intrusion Tolerance Systems) 설계기법의 중요한 요소 기술 중의 하나는 컴퓨터 시스템의 정량적 신인도(Dependability) 분석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침입 감내시스템의 신인도를 분석하기 위해 자율컴퓨팅(Autonomous Computing)의 핵심 기술인 자가 치유(Self-healing) 메커니즘을 적용하였다. 즉, 주 서버와 보조서버로 구성된 이중계 침입 감내시스템의 상태천이(State Transition)를 자가치유 메커니즘의 두 가지 요소(결함모델 및 시스템반응)를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시뮬레이션 실험을 통해 침입 감내시스템의 가용도(Availability)를 정량적으로 정의하였다.

  • PDF

고체입자충격에 의한 분산강화 스테인리스강의 침식메커니즘 및 침식저항성 고찰 (Study of the Cavitation Erosion Mechanism and Erosion Resistance on the Dispersion Strengthened Stainless Steel by Solid Particle Collapse)

  • 한병선;홍성모;이민구;박진주;이상훈;이창규
    • 한국표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표면공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9-29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분산강화 스테인리스강을 이용하여 케비테이션 발생 시 고체입자충격에 의한 재료의 침식메커니즘 및 침식저항성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케비테이션 시간에 따른 침식저항성 측정결과, 기존재료에 비해 분산강화된 시편의 무게손실량이 낮았으며 침식잠복기가 짧고 침식속도가 낮아 전반적으로 우수한 저항성을 보였다. 이것은 침식표면의 손상메커니즘 관찰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리튬이온 배터리의 화재 시험을 통한 열 전달 메커니즘 및 손상 평가 (Evaluation of Heat Transfer Mechanisms and Damage Assessment through Fire Testing of Lithium-Ion Batteries)

  • 신정호;김용현;김은주;배영철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669-676
    • /
    • 2024
  • 본 논문은 리튬이온 배터리의 화재 시험을 통해 배터리 손상 및 열 전달 메커니즘을 평가하고,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 각 섹터의 온도 변화는 T1, T2, T3 지점에서 측정하며, 발화 전극에 전기 투입 후 10분 동안 주변 셀들의 반응을 관찰하고 기록한다. 시험 결과, A 섹터와 B 섹터의 배터리는 완전 발화하여 심각한 물리적 손상을 입고, C 섹터의 배터리는 발화되지 않고 큰 손상을 입지 않는다. 이를 통해 섹터 간 간격이 발화 및 열 전파를 저감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한다. 본 논문은 리튬이온 배터리의 열 관리 시스템 설계 시 섹터 간 간격을 고려하여 발화 및 열 전파를 저감할 수 있는 중요한 설계 요소임을 시사하며, 향후 다양한 배터리 모델과 조건을 통해 추가적인 시험을 수행하여 BMS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킬 방안을 제안한다.

전자부품 플라스틱 패키지의 신뢰성과 습기 영향

  • 임지혁;박희진;함석진
    • 기계저널
    • /
    • 제52권7호
    • /
    • pp.45-49
    • /
    • 2012
  • 폴리머 재료들이 포함된 전자 패키지의 신뢰성 문제는 습기의 영향이 매우 크다. 습기와 연관된 파손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폴리머 재료들의 흡습 특성을 측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습기 확산 메커니즘 및 폴리머의 손상과 접착력 저하에 대한 엄밀한 연구가 필요하다.

  • PDF

PFC2D에서의 발파에 의한 파괴 메커니즘의 수치적 모델링 (Numerical Simulation of Fracture Mechanism by Blasting using PFC2D)

  • 정용훈;이정인;전석원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6권6호
    • /
    • pp.476-485
    • /
    • 2006
  • 발파에 의한 암반의 손상이나 파쇄는 폭약의 폭굉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파와 가스팽창의 영향에 의해 야기된다. 발파에 의한 파괴 메커니즘을 완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두 메커니즘을 같이 연구해야한다. 본 연구에서는 개별 요소법에 기초한 수치해석 프로그램인 PFC2D를 이용하여 발파공 벽면에 작용하는 폭굉압과 가스압을 동시에 모델링 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암반 내 균열 발생을 확인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또한 시멘트-모르타르 블록에서의 모형 발파시험을 수치해석을 수행함으로써, 개발된 알고리즘을 검증하였다.

전기적 피로하중을 받는 압전 작동기의 손상 메커니즘 (Damage Mechanisms of a Piezoelectric Actuator under Electric Fatigue Loading)

  • 우성충;구남서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2권10호
    • /
    • pp.856-865
    • /
    • 2008
  • Damage mechanisms in bending piezoelectric actuators under electric fatigue loading are addressed in this work with the aid of an acoustic emission (AE) technique. Electric cyclic fatigue tests have been performed up to $10^7$ cycles on the fabricated bending piezoelectric actuators. An applied electric loading range is from -6 kV/cm to +6 kV/cm, which is below the coercive field strength of the PZT ceramic. To confirm the fatigue damage onset and its pathway, the source location and distributions of the AE behavior in terms of count rate and amplitude are analyzed over the fatigue range. It is concluded that electric cyclic loading leads to fatigue damages such as transgranular damages and intergranular cracking in the surface of the PZT ceramic layer, and intergranular cracking even develops into the PZ inner layer, thereby degrading the displacement performance. However, this fatigue damage and cracking do not cause the final failure of the bending piezoelectric actuator loaded up to $10^7$ cycles. Investigations of the AE behavior and the linear AE source location reveal that the onset time of the fatigue damage varies considerably depending on the existence of a glass-epoxy protecting layer.

음향방출 기법을 이용한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체의 정량적 손상평가 (Quantitative Damage Evaluation of Fiber-Reinforced Cement Composite Using Acoustic Emission Technique)

  • 이영오;윤여진;윤현도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457-464
    • /
    • 2009
  • 섬유는 가교작용에 의한 시멘트 복합체의 파괴를 조절할 수 있는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체의 중요한 재료로 섬유의 혼입률에 따라 다른 파괴메커니즘을 나타내기도 한다. 일반적인 연구에서 섬유를 보강한 시멘트 매트릭스의 마 이크로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체의 파괴거동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섬 유보강 시멘트 복합체의 파괴거동을 평가하기 위하여, 반복압축, 휨하중 하에서 음향방출 기법에 의한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체의 손상을 평가하고 분석하였다. 실험체는 PVA 섬유를 0, 1.0, 1.5, 2.0%를 치환한 총 4개의 실험체를 계획하였 다. 기존 연구의 경우 기본적인 AE 신호에 의한 분석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나 이 연구에서는 이전 연구자들에 의해 제 시되었던 음향방출 기법을 이용한 정량적 손상평가를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체에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펠리시티비에 의 한 손상평가의 경우 기존 연구 결과와 같이 모든 실험체에서 카이저 효과와 함께, 펠리시티비가 0.4~1.1로 나타나 펠리 시티비에 의한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체의 손상 정도를 평가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휨 실험체의 경우 손상 을 평가하기 위하여 calm ratio, b-value 및 felicity ratio를 사용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체의 손 상을 평가하는데 있어 음향방출 기법을 활용한 정량적 손상평가 방법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고 차후 연구를 위한 기 본 데이터를 확보하고자 한다.

고압가스 연료탱크의 손상평가를 위한 음향방출 변수의 분석 (Damage Evaluation for High Pressure Fuel Tank by Analysis of AE Parameters)

  • 지현섭;이종오;주노회;이종규;소철호
    • Composites Research
    • /
    • 제24권4호
    • /
    • pp.36-40
    • /
    • 2011
  • 본 논문은 자동차용 type II CNG 연료탱크의 손상평가를 위하여 파열시험 중 발생하는 음향방출 변수의 분석에 관한 연구이다. 음향방출 신호의 kaiser effect, felicity effect 및 creep effect의 관찰과 전체 hits에서 진폭 60dB이상의 hits가 차지하는 비율 계산으로 연료탱크의 손상도를 평가할 수 있었으며, 평균 rise time, 평균 진폭 및 평균 initial, reverbration 주파수를 분석함으로써 압력용기의 손상메커니즘을 추정하였다.

음향방출 에너지 기반 손상 위치표정 기법을 이용한 복합재 CNG 탱크의 충격 신호 위치표정 (Impact Source Location on Composite CNG Storage Tank Using Acoustic Emission Energy Based Signal Mapping Method)

  • 한병희;윤동진;박춘수;이영신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391-398
    • /
    • 2016
  • 음향방출기법은 구조물에 존재하는 손상 및 손상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가장 유효한 비파괴검사 수단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손상위치표정 기법은 탄성파 전파 속도에 크게 의존하는 기법의 한계에 의하여 복합재료 또는 이종의 재료로 구성된 구조물에서의 손상을 탐지하기 어려운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압축천연가스(CNG) 저장용기는 무게와 강성의 효율을 위하여 복합재료를 사용하여 외부를 보강하는 새로운 형태의 구조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다층 복합소재의 사용으로 기존의 손상탐지기법으로는 저장용기의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 혹은 결함에 의한 저장탱크에 발생한 손상의 측정이 매우 어렵게 되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에너지 기반 contour D/B map 기법을 이용하여 4 가지 형식의 CNG 저장탱크에 발생한 외부 충격 신호의 손상 위치를 측정하였다. 각각의 형식의 저장탱크에서 측정된 손상 위치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새로운 기법의 측정 성능을 알아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