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좌반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3초

한국어 어말어미 산출관련 대뇌 활성화 (Cerebral activation related with morphological priming effect in production of Korean Endings)

  • 황유미;신정무;임수미;류근택;강현수;이광오;남기춘
    • 한국인지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인지과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73-277
    • /
    • 2005
  • 본 연구는 한국어 어말어미 산출시 나타나는 대뇌 활성화 영역을 살펴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두 가지 실험이 실시되었다 실험 1은 어말어미의 기본형을 주고 이를 의문형, 명령형으로 산출하는 고립단어 실험을 실시하였다. 통제 조건으로 모음변환조건(C1)과 아라비아문자보기(C2)를 사용하였다. 실험 1의 결과 ‘어말어미-C1’ 조건에서 좌반구의 측두엽과 전두엽부분의 의 활성화 superior temporal gyrus와 inferior frontal gyrus의 활성화가 관찰되었다. ‘어말어미-C2’ 의 조건에서 우반구에서 후두엽의 활성화와 좌반구에서의 후두엽, 전두엽, lingual G, Cuneus, fusiform G, inferior occipital G에서의 활성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실험 2는 명령형과 의문형 어미의 형태점화효과와 관련된 대뇌 활성화 영역을 관찰하기 위하여 Er-fMRI 기법을 이용하여 실시되었다. 실험 조건은 어미동일조건, 어간반복조건, 무관련 조건으로 구성되었다. 피험자들은 점화자극이 제시된 후 신호가 제시되고 나오는 표적단어를 의문형 또는 명령으로 산출하도록 하는 과제를 실시하였다. 뇌 활성화 영역을 분석한 결과 의문형과 명령형을 산출할 때의 활성화 영역에서 $^{\ast}^{\ast}^{\ast}$를 볼 때의 영역을 빼기 (substraction)한 결과 공통적으로 좌반구 브로카 영역이 활성화되었고, 의문형과 명령형 안에서 어미동일조건에서 무관련 조건을 뺀 경우에는 좌반구의 superior temporal G 영역의 활성화가 관찰되었다. 이들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어말어미 산출 그 자체와 직접 관련되는 영역으로는 좌반구의 측두엽과 전두엽 부분이 관찰되었다. 특히 한국어 어말어미 산출시 나타나는 형태점화 양상과 관련된 대뇌영역으로 발견된 브로카 영역에서의 활성화는 어미 변환과 관련된 영역이라기보다는 산출시 관련되는 articulation, motor coordinate관련 영역으로 추정되고, 측두엽의 활성화는 형태소, 의미 관련 지식의 data base로 추정된다. 또한 우반구 전두엽 부분에서 관찰된 활성화는 억제관련 영역으로 짐작된다.

  • PDF

한국 정상 성인의 틀린 믿음 과제 수행 시의 뇌 활성화: fMRI 연구 (Brain Activation During False-Belief Task Performance in Korean Healthy Adults: An fMRI Study)

  • 박민;이승복;김민정;정효선;정우림;윤효운;김혜리
    • 인지과학
    • /
    • 제19권4호
    • /
    • pp.397-417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기능적 자기공명영상 기법을 이용하여, 정상 성인이 한국어 틀린 믿음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활성화되는 뇌 영역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 1에서 일차 틀린 믿음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양측 설전소엽과 측두-두정 인접부, 좌반구의 하두정소엽, 후측 대상회, 중전두회 등의 뇌 활성화가 관찰되었다. 실험 2에서 이차 틀린 믿음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에는 좌반구의 중전두회와 내전두회와 우반구의 설전소엽, 중전두회, 측두-두정 인접부 영역이 활성화되었다. 이런 결과는 성인이 마음이론 이야기를 이해하는 방식은 보편적임을 시사하는 것이다.

  • PDF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에 나타난 한글 의미.통사 문장 처리의 해리 (Dissociation of the semantic and syntactic processing reflected on fMRI in Korean sentences)

  • 이홍재;이동훈;남기춘;이은정;문찬홍;유재옥;나동규
    • 한국인지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인지과학회 2000년도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pp.405-410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하여 한글 문장의 의미와 통사 처리에 관한 뇌의 활성화 양상을 비교함으로써 한글문장 이해의 과정에 대한 신경해부학적 증거를 찾고자하였다. 6명의 자원자를 대상으로 문장진위판다과제를 이용하여 활성화를 유도하였다. 1.5T 초전도 자기공명영상 장치에서 EPI로 BOLD 기법을 이용하여 기능적 영상을 얻었으며, 영상 후 처리는 SPM99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의미관련·통사관련 문장 모두 좌·우 전두회(frontal gyrus) 영역에서 활성화되었다. 의미와 통사처리 영역을 구분하기 위하여 감산법을 적용한 결과, 의미처리는 좌반구의 중측두회(middle temporal gyrus) 영역에서, 통사처리는 우반구의 하전두회(BA44) 부위에서 더 많이 활성화되었다. 의미처리에서 더 우세한 성향을 띠는 부위로 밝혀진 중측두회 영역은 의미처리시에 활성화되는 영역으로 보고하는 기존의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이다. 의미와 통사 문장처리시의 뇌 활성화 양상은 뇌의 여러 영역에서 중첩되어 있기는 하지만, 특정영역에서의 차이를 보이고 있으므로, 의미와 통사처리기는 다른 기전(mechanism)에 의해서 일어남을 시사해 준다.

  • PDF

간격효과의 부호화 기전: An event-related fMRI 연구 (Encoding Mechanisms of Spacing Effect: An event-related fMRI Study)

  • 박태진
    • 인지과학
    • /
    • 제16권4호
    • /
    • pp.255-270
    • /
    • 2005
  • 항목이 연달아 반복되는 경우(집중반복)보다 간격을 두고 반복되는 경우(간격반복) 기억 수행이 더 우수한 현상을 간격효과라 한다. 단서기억과제(재인과제)의 간격효과 및 성공적 부호화와 관련된 신경기전을 밝히기 위해 event-related fMRI연구를 수행하였는데, 부호화단계에서 단어의 반복제시 간격을 조작하고서 fMRI 영상을 구하였다. 그 결과, 재인 수행에서 전형적인 간격효과가 관찰되었고 집중반복조건에 비해 간격반복조건 뿐만 아니라 비반복조건에서 좌반구의 배외측 전두피질(DLFC), 복외측 전두피질(VLFC)의 높은 활성화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간격효과 및 이와 관련된 성공적 부호화가 높은 수준의 주의통제와 의미적 처리에 기인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 PDF

쌍선형 변환에 의한 연속 시간계의 설계 (Design of Continuous-Time System Using Bilinear Transformation)

  • 김상봉;안휘웅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5권3호
    • /
    • pp.137-142
    • /
    • 1989
  • 본 논문에서는 연속시간계의 설계 문제에 있어, 연속계의 설계방법 그대로서는 설계 불가능한 하나의 문제, 즉, 복소좌반 평면상의 어떤 지정한 폐영역내의 극배치 문제를 쌍선형변환법을 이용해서 해결하는 하나의 설계방법을 제안했다. 실제적인 시스템 설계의 경우, 폐루우프 계의 특성근을 정확히 지정된 위치에 배치하여야만 할 경우는 드물고, 대개의 경우, 어떤 희망하는 영역내에 배치하면 충분하다. 특히 구체적으로 극을 지정하는 지침에 결핍되어 있을 경우나, 폐루우푸 계의 특성인 속응성, 진동특성, 안정도 등을 고려할 경우, 그 극을 지정 위치에 배치하기보다도 어떤 지정한 영역내에 배치하는 쪽이 유효하다고 할 수 있으므로, 다변수제어계의 설계 문제에 있어, 그 가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 PDF

지향성 탐지 기제에서의 개인차: 전공에 따른 뇌 활성화 영역 (Individual Differences in Intentionality Detection: Brain Activation Areas According to College Major)

  • 박민;윤효운;정우림;김혜리;이승복
    • 인지과학
    • /
    • 제18권2호
    • /
    • pp.139-157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마음이론의 기본적 기제로 알려진 지향성 탐지 기제에서의 개인차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비되는 두 가지 전공 영역의 참가자들이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기능적 자기공명 영상을 촬영하여 뇌 활성화 영역을 비교해보았다. 공학 전공자의 경우에는 우반구의 하두정소엽과 상두정소엽이 활성화되었던(이승복 등, 2006) 반면, 동일한 지향성 탐지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심리학 전공자는 좌반구의 하전두회, 방추상회, 상측두회와 우반구의 방추상회와 변연상회가 활성화되었다. 이런 결과는 참가자의 전공 배경에 따라 지향성 탐지를 하는 동안 활성화되는 뇌 영역들에 차이가 있음을 분명히 보여준다. 지향성 탐지 과제 수행과 참가자 특성간의 관계를 논의하였다.

  • PDF

헛디딤 탐지의 신경 상관: 기능적 자기공명 영상 연구 (Neural Correlates of Faux Pas Detection: An fMRI Study)

  • 박민;이승복;윤효운;김혜리
    • 인지과학
    • /
    • 제21권1호
    • /
    • pp.77-93
    • /
    • 2010
  • 본 연구는 마음이론 능력 측정 과제의 하나인 헛디딤 탐지를 수행하는데 관여하는 신경상관 영역을 확인하려는 것이었다. 기능적 자기공명영상 기법을 이용하여 헛디딤 이야기 문장과 헛디딤을 포함하지 않는 통제 이야기 문장을 제시하였을 때 나타나는 뇌 활성화 영역을 비교하였다. 양 반구의 상전두회(BA 6/9)와 설전소엽(BA 7), 좌반구의 내전두회(BA 9), 상측두회(BA 38), 하측두회(BA 20)와 우반구의 하두정소엽(BA 40), 중심후회(BA 1), 설회(BA 18), 횡전두회(BA 41) 등의 영역에서 활성화가 나타났다. 헛디딤 탐지를 하는 동안 안와전두피질과 편도의 활성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런 결과는 마음이론과 관련된 뇌 활성화는 과제가 이끌어내는 마음상태의 유형에 달려있음을 시사한다.

  • PDF

조선시대 좌반류(佐飯類)의 종류에 대한 문헌적 고찰 (A Literature Review on the Type of Joseon Dynasty Jwabans)

  • 오순덕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39-248
    • /
    • 2011
  • This article examines the types of Jwabans as recorded in 21 old books of the Joseon dynasty (1392-1909). The ingredients used in Jwabans during the Joseon dynasty were root vegetables, sea algae, seeds nuts, bird, meat, and fish. In the early, middle, and late eras of the Joseon dynasty, 10, nine, and 181 kinds of Jwabans were prepared, and two, one, and seven kinds of Jwabans were prepared using root vegetables (根菜類). During the early and late eras of the Joseon dynasty, one and 14 kinds of Jwabans were prepared using sea algae (海藻類), respectively, and four kinds of Jwabans were prepared using seeds nuts during late eras of the Joseon dynasty (種實類). During the early, mid and late eras, one, two, and 17 kinds of Jwabans were prepared using bird (鳥類), three, one, and 47 kinds of Jwabans were prepared using meat (肉類), and one, five, and 81 kinds of Jwabans were prepared using fish (魚類). The frequency of the Jwabans ingredients in order were fish (30.5%), meat (23.5%), pheasant (7%), root vegetables (5%), abalone (全鰒) (5%), laver (海苔) (4%), shellfish (貝類) (3%), fish eggs (魚卵) (2.5%), fleshy prawn (大蝦) (2.5%), sea tangle (昆布) (2%), dried tangle (海草) (1.5%), sparrow meat (雀肉) (1.5%), and etc during the Joseon dynasty. It seems that the appearance and supplementation with different ingredients increased throughout the Joseon dynasty. This may be associated with the commercial industrial development that prevailed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Further study will be conducted on recipes and ingredients recorded in these old books to develop a standardized recipe to globalize Jwabans.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에 나타난 한글 의미.통사 문장 처리의 해리 (Dissociation of the semantic and syntactic processing reflected on fMRI in Korean sentences)

  • 이홍재;이동훈;남기춘;이은정;문찬홍;유재욱;나동규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00년도 제12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405-410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하여 한글 문장의 의미와 통사 처리에 관한 뇌의 활성화 양상을 비교함으로써 한글문장 이해의 과정에 대한 신경해부학적 증거를 찾고자 하였다. 6명의 자원자를 대상으로 문장진위판단과제를 이용하여 활성화를 유도하였다. 1.5T 초전도 자기공명영상 장치에서 EPI로 BOLD 기법을 이용하여 기능적 영상을 얻었으며 영상 후 처리는 SPM99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의미관련 통사관련 문장 모두에서 좌 우 전두회(frontal gyrus) 영역에서 활성화되었다. 의미와 통사처리 영역을 구분하기 위하여 감산법을 적용한 결과, 의미처리는 좌반구의 중측두회(middle temporal gyrus) 영역에서, 통사처리는 우반구의 하전두회(BA44) 부위에서 더 많이 활성화되었다. 의미처리에서 더 우세한 성향을 띠는 부위로 밝혀진 중측두회 영역은 의미처리시에 활성화되는 영역으로 보고하는 기존의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이다. 의미와 통사 문장처리시의 뇌 활성화 양상은 뇌의 여러 영역에서 중첩되어 있기는 하지만, 특정영역에서의 차이를 보이고 있으므로, 의미와 통사처리는 다른 기전(mechanism)에 의해서 일어남을 시사해 준다.

  • PDF

뇌졸중 후 중추성 통증으로 인한 좌반신비증 치험 1례 (A Case Report of Central Post-Stroke Pain Patient Treated by Moxibustion Therapy)

  • 이미림;이유리;민경동;조기호;문상관;정우상
    • 대한중풍순환신경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35-40
    • /
    • 2015
  •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clinical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moxibustion on a patient with left side paresthesia induced by central post-stroke pain. ■ Methods A patient with left side paresthesia diagnosed with central post-stroke pain was treated with moxibustion, herbal medication, acupuncture, electro-acupuncture(EA). Then we evaluated the improvement by Mcgill pain score and Questionnaire of BiJeung. ■ Results Decrease of Mcgill pain score, Questionnaire of BiJeung were observed after the moxibustion treatment. ■ Conclusion This study proved the effect of moxibustion treatment on left side paresthesia due to central post-stroke pai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