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0-mode

검색결과 4,578건 처리시간 0.039초

응집 및 응축과정에 의한 대기 에어로졸 크기 분포에서의 coarse mode의 영향 (Effects of coarse mode aerosol on the size distribution by coagulation and condensation processes)

  • 정창훈;김용표;이규원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58-159
    • /
    • 2000
  • 내기중의 입자 (aerosol)는 크게 직경이 0.01-0.1 $\mu\textrm{m}$ 대의 Aitken mode와 0.1-1 $\mu\textrm{m}$ 부근의 accumulation mode, 그리고 1 $\mu\textrm{m}$ 이상의 coarse mode로 분류할 수 있으며 대기 중에서 부유하여 서로응집(coagulation) 과 응축(condensation)풍의 과정을 겪으며 변화한다. 일반적으로 Aitken mode 의 입자들은 nucleation 둥에 의해 발생된 입자이며, accumulation mode는 Aitken mode입자간의 응집, 인위적인 배출 둥에 의하여 생성된 입자이다. Coarse mode는 주로 자연적으로 생성된 입자이며 주로 침적에 의해 제거된다. (중략)

  • PDF

의료용 선형가속기의 Flattening Filter Mode와 Flattening Filter Free Mode 간에 광중성자 선량 평가 (A Study on the Photoneutron Dose Estimation in Flattening Filter Mode and Flattening Filter Free Mode for Medical Linear Accelerator)

  • 양오남;임청환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0권2호
    • /
    • pp.297-30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최신형 선형가속기 TrueBeam을 대상으로 10 MV FF mode와 FFF mode간 광중성자의 발생량을 평가하였고, FFF mode에서 10 MV, 15 MV 에너지 변화에 따라 발생되는 광중성자의 발생량을 평가하였다. 발생된 광중성자는 13개 측정점에서 평가하였으며, 발생된 광중성자 수집을 위해서는 한국천문연구원에서 개발한 조직등가비례계수기(KTEPC)를 이용하였다. 10 MV FF mode와 FFF mode 간 측정결과에서 10 MV FF mode가 모든 측정 점에서 높게 측정되었으며, Superior 방향에서 0.455 mSv와 0.152 mSv로 가장 많은 차이를 보였으며, FF에서 33% 이상 많은 광중성자가 발생하였다. FFF mode에서 10 MV, 15 MV 에너지에 따라서는 15 MV에서 모든 방향에서 높게 평가되었고, 방향 기준으로는 Superior 방향에서 0.402 mSv로 가장 높게 평가되었으며, 전체 평균 6.9%로 높게 측정되었다.

Conversion coefficients for the estimation of effective dose in cone-beam CT

  • Kim, Dong-Soo;Rashsuren, Oyuntugs;Kim, Eun-Kyung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44권1호
    • /
    • pp.21-29
    • /
    • 2014
  • Purpose: To determine the conversion coefficients (CCs) from the dose-area product (DAP) value to effective dose in cone-beam CT. Materials and Methods: A CBCT scanner with four fields of view (FOV) was used. Using two exposure settings of the adult standard and low dose exposure, DAP values were measured with a DAP meter in C mode ($200mm{\times}179mm$), P mode ($154mm{\times}154mm$), I mode ($102mm{\times}102mm$), and D mode ($51mm{\times}51mm$). The effective doses were also investigated at each mode using an adult male head and neck phantom and thermoluminescent chips. Linear regressive analysis of the DAP and effective dose values was used to calculate the CCs for each CBCT examination. Results: For the C mode, the P mode at the maxilla, and the P mode at the mandible, the CCs were 0.049 ${\mu}Sv/mGycm^2$, 0.067 ${\mu}Sv/mGycm^2$, and 0.064 ${\mu}Sv/mGycm^2$, respectively. For the I mode, the CCs at the maxilla and mandible were 0.076 ${\mu}Sv/mGycm^2$ and 0.095 ${\mu}Sv/mGycm^2$, respectively. For the D mode at the maxillary incisors, molars, and mandibular molars, the CCs were 0.038 ${\mu}Sv/mGycm^2$, 0.041 ${\mu}Sv/mGycm^2$, and 0.146 ${\mu}Sv/mGycm^2$, respectively. Conclusion: The CCs in one CBCT device with fixed 80 kV ranged from 0.038 ${\mu}Sv/mGycm^2$ to 0.146 ${\mu}Sv/mGycm^2$ according to the imaging modes and irradiated region and were highest for the D mode at the mandibular molar.

Mode Selection of Leaky Lamb Waves in Steel Plate

  • ;;;나원배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6-12
    • /
    • 2008
  • The dispersion and attenuation of Lamb and Leaky Lamb waves propagating in a 1 mm-thick steel plate were investigated. For acquiring a long(or large) range inspection capability, the fundamental symmetric and anti-symmetric wave modes(S0 and A0) over law frequencies were studied. Based on the dispersion curves, as well as pitch-catch and multi-mode simulations, it was shown that the S0 mode over law frequencies is the proper mode to minimize the dispersion and attenuation. In addition, it was shown that the S0 mode couldbe easily distinguished under multi-mode simulation since it has a larger group velocity than the A0 mode.

고효율, Temperature/voltage 변화에 둔감한 Triple-mode CMOS DC-DC Converter (A High-Efficiency, Robust Temperature/voltage Variation, Triple-mode DC-DC Converter)

  • 임지훈;하종찬;김상국;위재경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5권6호
    • /
    • pp.1-9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temperature/voltage에 둔감한 triple-mode CMOS DC-DC Converter를 제안한다. 제안된 triple-mode DC-DC converter는 단일 배터리의 수명에 따른 전압변화(3.3-5.5V)로부터 일정 또는 다양한 출력전압(0.6-2.2V)을 생성한다. 제안된 triple-mode CMOS DC-DC converter는 Pulse Width Modulator(PWM) 모드, Pulse Frequency Modulator(PPM) 모드, 그리고 Low Drop-Out(LDO) 모드, 이렇게 세 가지 모드로 동작한다. 또한, 제안된 회로는 temperature/voltage 변화에 의한 칩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temperature/voltage 변화에 둔감한 저 전력 1MHz CMOS ring oscillator를 사용한다. 제안된 triple-mode DC-DC converter는 단일 입력 전원소스(3.3-5.5V)에서 출력 전압(0.6-2.2V)을 생성하며, 출력 전압 ripple은 PWM mode에서 10mv, PFM mode에서 15mV, 그리고 LDO mode에서는 4mV 이하이다. 또한, 제안된 회로의 효율은 PWM mode에서 93% 이상이며, $-25-80^{\circ}C$의 온도변화에도 각 모드에서의 출력 전압 레벨의 오차는 단지 0.8% 이하로 유지한다 제안된 회로의 검증을 위해 CMOS $0.35{\mu}m$ 공정을 이용한 시뮬레이션 및 칩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소아 전산화단층촬영에서 Volume Mode의 유용성 연구 (The Study of Effectiveness of Volume Mode in Pediatric CT)

  • 박연;김상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0호
    • /
    • pp.425-431
    • /
    • 2014
  • 본 연구는 ATOM Phantom을 이용하여 선량, 화질을 비교 분석 하여 Volume mode의 유용성 밝혀 소아 CT 검사에 적극적으로 사용하기 위함이다. Helical mode Noise와 Volume mode의 Noise, HU, SNR은 p>0.05 이므로 통계적으로 유이한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각 부위별 선량값은 모두 p>0.05 이므로 통계적 유이한 차이가 없었으나 DLP값이 Helical mode보다 Volume mode가 더 낮게 측정되었다. 유효선량 역시 Volume mode가 Helical mode 보다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정성적 분석에서는 Mode에 따른 조건 별로 각각 Helical: 2.6, 3.3, 4.36 Volume: 2.8, 3.64, 4.44, Mode별 Follow up 영상평가 결과로는 Helical mode가 3.8 Volume mode가 3.83점으로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5세 이하의 소아 CT검사에 있어서 640-MDCT Volume scan이 Helical mode와 비교해 낮은 선량으로 영상의 질이 큰 차이가 없기에 소아 CT 검사에는 유용 하다고 생각된다.

비소멸 모드 해석을 이용한 유전체 삽입 원통형 공동 공진기 하이브리드 공진 모드 구분 (A Hybrid Resonant Mode Identification using Non-decaying Mode Analysis in Dielectric Loaded Cylindrical Cavity Resonators)

  • 이원희;허정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655-662
    • /
    • 2003
  • 유전체 봉이 삽입된 원통형 공진기의 정밀한 필드 해석이 비소멸 모드와 컨투어 그래프 방법에 의해 제안되었다. 공진주파수들과 저차 모드들이 유전체 봉이 삽입된 원통형 공진기에 대해 계산되었다. 공진기의 설계를 위해 모드 차트가 제안되었다. 비소멸 모드 해석을 사용하여 하이브리드 모드들(TE, TM, HEM 모드)이 상세하게 해석되었고, 모드 차트를 완성하였다. 이론적 타당성은 실험에 의해 확인하였다. 이론과 실험 결과는 전반적으로 만족하였다. TE 모드, TM 모드, HEM 모드의 실험값과 이론값의 평균 오차는 각각 0.20 %, 0.14 %, 0.28 %이다.

炭素纖維强化 複合材料의 혼합모우드 層間破壞靭性値에 대한 硏究 (A study of mixed-mode interlaminar fracture toughness of graphite/epoxy composite)

  • 윤성호;홍창선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198-207
    • /
    • 1986
  • 본 연구에서는 Fig.1과 같이 시편 부위에 균일응력분포가 작용하도록 M.Arcan 등에 의해 제시된 비대칭형상의 시편고정물에 층간균열을 가진 시편을 부착한 다음 하중각도를 바꾸어가며 모우드 II뿐 아니라 혼합모우드 및 모우드 I까지도 실험 할 수 있는 실험장치를 사용하여 균열면에서의 섬유방향이 〔0/0〕이고 초기균열길이비가 0.4, 0.5, 0.6인 시편의 모우드I, 혼합모우드 및 모우드II 층간파괴인 성치들을 실험 적으로 구해 혼합모우드 파괴결정조건식들에 적용시켜 보았다. 또한 균열면에서의 섬유방향이 〔0/0〕, 〔0/30〕, 〔0/45〕및 〔0/60〕인 경우의 층간파괴인성치와 이때 의 파괴현상에 대해 관찰하였다.

Accurate Measurements of the Unloaded Q of a Dielectric-loaded High-Q $TE_{01{\delta}}$ mode Cavity Resonator with HTS Endplates

  • Kwon, H.J.;Hur, Jung;Lee, Sang-Young
    • Progress in Superconductivity
    • /
    • 제1권1호
    • /
    • pp.36-41
    • /
    • 1999
  • Methods for mode identification and accurate measurements of the unloaded Q ($Q_0$) of a dielectric-loaded $TE_{01{\delta}}$ mode cavity resonator with HTS endplates are proposed. A resonator with a sapphire rod and $YBa_2Cu_3O_{7-x}$(YBCO) endplates was prepared and its microwave properties were studied at temperatures above 30 K. The $TE_{01{\delta}}$ mode $Q_0$ of the resonator, designed to work as a tunable resonator with variations in the gap distance (s) between the sapphire rod and the top YBCO, was more than 1000000 at s = 0 mm and at 30 K with the resonant frequency of 19.56 GHz. The $TE_{01{\delta}}$ mode $Q_0$ decreases as s increases for s < 2 mm until mode couplings between the $TE_{01{\delta}}$ mode and other modes appeared at s = 2 mm. Significant dependence of the $TE_{01{\delta}}$ mode $Q_0$ on the input and output coupling constants was also observed. Applications of the open-ended $TE_{01{\delta}}$ mode cavity resonator for a tunable resonator with a very high Q as well as a characterization tool for the surface resistance measurements of HTS films are described.

  • PDF

Burst형과 고빈도형 경피신경전기자극치료가 실험적 동통역치와 체온에 미치는 영향 비교 (A Study Comparing the Effects of Burst Mode and High Rate Mode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on Experimental Pain Threshold and Skin Temperature)

  • 김선엽;최흥식;권오윤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465-479
    • /
    • 1995
  • We randomly assigned 61 healthy subjects(male 14, female 47) to compare the experimental pain threshold and skin temperature between high mode TENS and burst mode TENS. In this study, 61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 high mode TENS(n=20), burst mode TENS (n=20), and control group(n=21). Experimental pain thresholds and skin temperatures were measured before, immediately after cessation of stimulation, and at 30 minutes post stimulation. Stimulation was applied to the dorsal surface of the forearm(L14, LI10). Pain thresholds were measured by chronaxie meter. Skin temperature were measured by electrical digital thermometer.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pain threshold and skin temperature at before TENS stimulation among the three groups(p>0.05). 2. The pain threshold and skin temperature in burst mode TENS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and longer effect than that in high mode TENS group and control group(p<0.01). 3. The pain threshold in burst mode TENS group decreased to prestimulation levels by 30 minutes poststimulation. 4. The skin temperature in burst mode TENS group decreased to prestimulation levels by 20 minutes poststimulation. 5. The skin temperature was significantly difference among three group at immediately after, and at 30 minutes poststimulation and the skin temperature in burst mode TENS group was significantely higher than that in two groups(p<0.001). 6. The increasing rate of pain threshold in high mode TENS group after immediately cassation of stimulation was 24.3%(p<0.001). 7. The increasing rate of pain threshold in burst mode TENS group after immediately cessation of stimulation was 93.5% (p<0.001).

  • PDF